오늘 밤 모든 바에서
나카지마 라모 지음, 한희선 옮김 / 북스피어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당신도 들은 게 있겠지만 간이라는 녀석은 침묵의 장기라고 불릴 정도로 좀처럼 비명을 지르지 않는 내장이다. 당신같이 자각 증상이 있어서 입원했다면 굉장한 사태에 이르렀다는 소리야." (18)

그 무렵 나는 가난했지만 그렇기 때문에 자존심 같은 게 있었다. 자신은 특별한 인간이라는 의식, 세상에 녹아들지 못한 채 힘을 어떻게 써야할지 모르기 때문에 더욱더 미친 듯이 심해지는 자신의 재능에 대한 과신과 불안, 그 양쪽이 가슴 깊은 곳에서 검게 소용돌이 치고 있었다.
…지금이라면 아무것도 아닌 하나하나가 당시에는 신경에 거슬렸다. 누르면 녹즙이 나올 것 같은 새파란 청년이었다. (34)

이 남자는 생억지를 쓰는 악동인 동시에 천재 시인이기도 했다. 본인은 아무것도 써서 남기지 않았지만 행동거지, 싸움하는 법, 마시고 쓰러져서 하는 잠꼬대까지 존재 자체가 시처럼 깎아 낸 아름다움을 품고 있었다. 이것을 한마다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덴도지는 삶 자체가 일체의 감상이나 수사법을 제거한, 단단하고 건조한 시 같은 남자였다. 나는 언제나 덴도지의 깊은 목소리와 야윈 가슴의 갈비뼈를 떠올린다. (36)

현역 알코올 중독자인 내가 보건대 알코올 중독이 되고 안 되고는 다음과 같은 대전제가 있다. 알코올이 필요한가, 불필요한가. 술 좋아하는 사람이 알코올 중독이 된다는 견해를 보이는 사람이 제법 있지만, 이것은 타당하지 않다. 알코올 중독의 문제는 기본적으로는 좋고 싫고의 문제가 아니다.
술의 맛을 식사와 함께 즐기고 정신이 적당하게 풀어지는 느낌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알코올 중독은 적다. 그런 사람들은 술을 ‘좋아’하기는 하지만 좀처럼 알코올 중독은 되지 않는다.
알코올 중독이 되는 것은 술을 도구로 생각하는 사람이다. 정말로 나도 그랬다. 이 세상에서 어딘가 다른 곳으로 옮겨가기 위한 도구, 약리 효과를 바라고 술을 택한 인간이 알코올 중독이 된다.
육체와 정신의 진통, 마비, 만취를 갈망하는 이, 그리고 그들의 귀결로서 ‘사후의 불감무각’을 꿈꾸는 이, 그들이 알코올 중독이 된다. 이것은 모든 어딕트(중독, 의존증)에 공통적이다. (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