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
카스 R. 선스타인 지음, 이정인 옮김 / 프리뷰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크 세이지먼은 이렇게 설명한다. "정말 터무니 없는 믿음, 예를 들어 하늘의 달이 치즈로 만들어졌다고 믿는 극소수의 사람들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들은 ‘자기선택’ 과정을 통해서 같은 믿음을 가진 사람들과만 만난다. 그리고는 모든 사람이 자기들과 같은 믿음을 갖고 있다고 믿는다. 왜냐하면 확실한 믿음을 가진 사람들만 말을 하고 그렇지 않은 다수의 사람들은 침묵을 지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인터넷상에서 대단히 심각하게 일어난다. 기이하고 혼란스러운 주장, 혐오스러운 주장을 지지하는 목소리를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곳이 바로 인터넷이다." (116)

로버트 페이퍼는 자살 테러리즘이 일종의 ‘전략적 논리’에 따라 움직인다는 주장을 폈다. "대부분의 테러 공격은 광신적인 개인이 무분별하게 벌이는 단독 행동이 아니라, 조직화된 정치 집단이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벌이는 조직적인 집단행동의 일부이다." 예를 들어 그 목적이란 테러리스트들이 자신들의 고향땅이라고 생각하는 영토를 되찾는 것이다. 자살테러가 증가하는 것은 무분별한 분노의 산물이 아니다. 자살폭탄 테러는 효과를 거둔 경우가 많고, 그래서 테러는 앞으로 더 늘어갈 것이다. (168)

집단이 극단으로 치닫게 되는 것은 보통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한데 모여 분노를 키우고, 행동에 나서기 때문이다. 극단화는 억눌려 있는 신념과 희망을 끄집어내 주기도 하고, 새로운 신념과 희망을 만들기도 한다. 그리고 어떤 권리를 쟁취하려는 운동과 관련된 신념과 희망은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항상 밖으로 드러날 준비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자신의 권리를 추구하려는 사람들에게 집단극단화는 아주 바람직한 수단이다. (171)

특히 미국 헌법에 명시된 여러 장치들은 극단화에 대한 두려움을 나타내고 있으며, 잘못된 판단을 막을 다양한 견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예는 양원제이다. 양원제 의회라는 개념은 양원 중 어느 한쪽이, 헌법입안자들이 보기에는 특히 하원이 단기적인 열정과 집단극단화에 휩싸이게 될 경우에 대비해 고안된 것이었다. 미국 건국 당시 상원은 이런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만들어졌다. 토머스 제퍼슨은 프랑스에서 귀국한 다음 조지 워싱턴을 만나 왜 상원을 만들기로 한 것인지 설명을 요구했다. 워싱턴이 "어째서 커피를 받침 접시에 따라 마시는 거요?라고 묻자 제퍼슨은 이렇게 대답했다. "커피를 식혀 마시기 위해서지요." 그러자 워싱턴은 이렇게 말했다. "우리고 의회의 열을 식히기 위해 상원이라는 접시에 따르기로 한 겁니다." 제임스 윌슨도 양원제에 대해 같은 맥락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단일 의회에서는 폭거, 불공정, 횡포가 갑작스럽고 폭력적으로 일어나기 쉽다." (187~1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