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보이 - 패션 문화잡지 <Oh Boy!> 편집장 김현성의 자연, 사람, 동물 이야기
김현성 지음 / 시드페이퍼 / 2012년 6월
절판


모피코트 한벌을 만들기 위해
30마리의 토끼,
55마리의 밍크,
27마리의 너구리,
100마리의 친칠라,
30마리의 푸른 여우가 희생된다고 합니다.-32쪽

우리나라에서 반려동물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한 가정에서 돌보는 비율이 12% 정도라고 합니다. 100가구 중 88가구는 사정이 생겨 다른 곳으로 보내거나 유기하거나 잃어버리는 것입니다. 그러고 보면, 동물들이 동물을 싫어하는 사람보다 동물을 좋아한다고 착각하는 사람들에 의해 더 고통받는 게 현실인 것 같습니다. -57쪽

오메가3는 필수식품이 아닙니다. 어르신들이 동남아를 여행하며 잔인한 방법으로 도축한, 몸에 좋다는 동물들을 먹는 것과 오메가3의 다른 점은 없습니다. 차이가 있다면 내가 먹는 것의 모양이 죄책감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뿐입니다. -75쪽

에어컨 한대는 선풍기 30대가 사용하는 전력을 소비한다. -149쪽

30년생 원목 한 그루에서 1만장의 A4용지가 생산된다고 합니다. A4 용지 한 박스에 2500장이 들어 있으니까 A4용지 네 박스에 해당하는 양입니다. 이는 반대로 A4용지 네 박스를 아낌으로써 30년생 원목 한 그루를 살릴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159쪽

종잇장처럼 가볍다는 말도 있지만, 사실 우리가 무심코 소비하는 종이는 결코 가볍게 여길 물건이 아닙니다. 펄프와 종이를 생산하는 제지산업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어마어마한 기계와 설비가 필요한 장치산업이고, 작업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과 에너지가 종이 원가의 25%를 차지할 정도로 에너지가 많이 드는 에너지 집약산업입니다. OECD에 따르면, 제지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화학과 철강 산업의 뒤를 이어 3위라고 하니, 종이와 맞바꿔야 할 소중한 자원이 너무나도 많은 것 같습니다. -159쪽

어디에선가 ‘먹는다는 것은 다른 것의 생명으로 내 생명을 이어나가는 것’이라는 구절을 읽었습니다. 먹는다는 것, 결코 쉽지 않은 일이죠? 한번쯤 나는 ‘무엇’을 먹고 있는지 생각해 보세요. 가장 개인적인 공간일 것 같은 한끼의 식탁도 남까지 생각하는 이타적 식탁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187쪽

"잠든 척하는 사람은 깨울 수 없지만 진짜 잠든 사람은 깨울 수 있대요. 어차피 모른 척하고 사는 사람들은 바꿀 수 없지만, 진짜 몰라서 실천하지 못하는 사람은 바꿀 수 있다고 믿어요." - 이효리-29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