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편력기 - 유쾌한 지식여행자의 세계문화기행 지식여행자 8
요네하라 마리 지음, 조영렬 옮김, 이현우 감수 / 마음산책 / 2009년 12월
품절


플라스틱 그릇에 담기는 순간, 어떤 요리든 먹이로 전락한다.-84쪽

한자 문화권 사람이 뇌에 정보를 입력하는 경로는 시력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고, 서구인의 뇌는 청력 의존도가 높다. 서구의 알파벳 자체가 음성을 문자화한 것으로, 문자 자체가 청력모드인 것이다... 실제로 '장대한 서사시를 기억하던 세계 각지의 음유시인들이 문자가 발명되지마자 엄청난 지식을 잃어버렸다'라고 소크라테스나 플라톤은 탄식하고 있다... 요건태 논리성은 기억의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고, 문자 의존도가 높은 일본인에 비해, 문자 의존도가 낮은 서구인의 언어 중추는 논리적이 될수밖에 없었던 것은 아닐까.-126쪽

알랭 들롱의 식탁 매너가 너무나 완벽하다는 사실이 도리어 그의 태생이 비천함을 증명한다. 매너를 제 주머니 속의 물건 다룻듯 완전히 몸에 익한 사람은 좀 더 편안한 법이다. - 시오노 나나미-132쪽

안정된 낡은 틀이 있기에 끊임없이 흘러들어오는 새 정보를 담아낼 수 있는 것이 아닐까... 문학이 오래된, 혹은 보편적인 진실을 늘 새로운 방법으로 전달하려 하는 것이라면, 신문은 늘 새로운 진실을 오래된 방법으로 전달하려 한다고도 할 수 있다.-136쪽

욕망과 그것을 실현하는 과정이야말로 문화인 것이다. 그런데 이 욕망과 그것을 실현하는 사이에 놓인 거리가 100년 전보다 더욱 짧아지고 있다. 아니 한없이 제로에 가까워지고 있다. 사실은 품과 시간을 들여 만드는 것이 기쁨이기도 할 텐데, 그것이 점점 생략되고 상품화되고 있다.-180쪽

이해력과 표현력은 하늘과 땅만큼 다르다. 이것은 외국어에서만 그런 것이 아니라, 모국어건, 음악이나 그림이건, 수동적인 지식과 능동적인 지식 사이에는 늘 간격이 있는 것이다.-19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