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상 입문 - 데리다, 들뢰즈, 푸코에서 메이야수, 하먼, 라뤼엘까지 인생을 바꾸는 철학 Philos 시리즈 19
지바 마사야 지음, 김상운 옮김 / arte(아르테)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현대 사회는 규율 훈련과 생명정치라는 두 바퀴로 움직이고 있다...게다가 오늘날에는 마음의 문제, 혹은 의식을 갖는 방식에 호소해도 어쩔 수 없기 때문에, 단지 이제 곧 즉물적으로 관리, 통제할 수밖에 없다는 경향이 더 강해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생명정치 부분이 강해지고 있는 것입니다...마음의 문제에 관해서도 옛날 같으면 이야기를 더 듣는 것이 중시되었지만, 그러면 시간이 걸리니까 약으로 해결하면 된다는 말이 됩니다. "마음에서 뇌로"라는 최근 정신의학의 전환도 크게 말하면 생명정치의 강화로 볼 수 있습니다. - P100

인간은 다른 동물과는 달리 과잉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능적인 행동을 초과한 행동의 유연성을 가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탈이 생기는 것입니다만, 그것을 가능한 한 일정한 방향으로 질서정연하게 하여 행동의 패턴을 줄임으로써 안심, 안전한 사회를 실현한다는 것은, 말하자면 인간이 의사적으로 동물로 돌아간다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오늘날 사회의 청정화는 인간의 재동물화라는 측면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 P102

성장하고 나서의 욕망에는 일찍이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안심·안전(=쾌락)을 요구하면서 불안이 갑자기 해소되는 격렬한 기쁨(=향락)을 맛본 것의 잔향이 있습니다. - P152

결국 어떤 대상 a를 동경하다가 배신당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인생은 움직이는 것입니다. 이런 논리 자체를 메타로 파악함으로써 욕망을 ‘멸각하는[모조리 없애 버리는]’ 방향으로 향하는 것이 불교적 깨달음일 것입니다. - P1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