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인 어려움 속에서도 여전히 시를 쓰기 위해 고뇌하던 키츠가 이끌어낸 개념이 ‘수동적 능력‘이다. 키츠는 이를 공감적 혹은 객관적 상상력으로 말하기도 했다. 이러한 상상력은 마치 ‘에테르 같은 화학물질‘처럼 연금술적인 변용과 순화를 이끌어내어 개별성을 없애준다. 키츠는 이 ‘굴복의 능력(capability of submission)‘으로 개별성을 없애야만 시인이 대상의 진실을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 P37

‘무감각의 감각(the feel of not feel)‘이나 ‘수동적 능력‘ 같은 개념이 결국...‘소극적 수용력‘이라는 개념을 이끌어냈다...키츠는 ‘진정한 재능에는 개성도, 정해진 성격도 없다‘라고 말했지만, 이후 진정한 재능이란 개성이 없는 상태로 존재하며, 어떤 결론에 성급히 도달하려 하지 않고, 불확실하고 회의적인 상태로 존재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능력이야말로 셰익스피어가 그랬듯이 다른 사람이 어떻게 생각할지를 상상하는 힘과 직결된다고 결론 내린 것이다. - P38

뭐든지 알고자 하는 뇌가 알 수 없는 대상을 마주하고 괴로워하는 대표적인 예가 음악과 회화다...원래 음악은 이해를 전제로 하지 않는다. 답이 없는 세상의 여러 문제에 끊임없이 도전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이해를 거부하고 마음속 깊은 곳에 있는 굴곡까지 소리를 전달해 영혼을 흔든다. - P92

"하지만 새삼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었다. 수수께끼나 질문에는 쉽게 답을 내리지 않는 편이 낫지 않을까 하고 말이다. 그 의문을 마음에 품고 이를 사람의 체온으로 성장시켜 더욱 심오한 질문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어떨까? 때로는 한층 더 심오해진 수수께끼가 얄팍한 답변보다 마음에 더 소중하게 남는 듯하다. - P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