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안노 히데야키의 신세기 에반게리온을 알게 된 것은 대학생이 되고 난 이후였다. 나는 일본 애니메이션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고 개나소나 다 알고 있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이름 정도나 들어봤을 뿐이었다. 그런데 당시 한참을 일본 애니메이션에 미쳐있던 여동생이 에반게리온 비디오를 어디선가 구해 오면서 부터 나 역시 이 만화에 반쯤 미치게 되었다. 어느정도로 미쳤었냐면 보고 또 보는 것은 기본이고 심지어 주제가까지 모조리 다 외웠을 지경이었다. 일어를 전혀 할 줄 모르는 (히라가나라도 다 쓸 줄 아나 몰라) 내가. 차마 쪽팔려서 한국말로 가사를 따라적는 짓은 하지 못했지만 주제가를 너무나 많이 들어서 단지 귀익음 만으로 따라부를수 있게 되었다는 것은 참으로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나는 호출기에 이카리 신지군을 메달고 다녔고 여동생이 거의 장인의 정성으로 만든 에바 1호기(초호기) 를 잠시 내방에 가져다 놓기도 하고 코딱지 만한 엔트리 플러그를 잃어버려서 집구석 장판을 들어낼듯 찾아헤매었었다.

에반게리온을 점점 더 좋아하게 된 것은 여동생이 나름대로 구해온 자료를 보면서 부터였다. 에반게리온에 깔린 동양철학과 기독교 사상은 이 만화를 단순하게 애들이 보는 만화 그 이상의 무언가라고 느끼게 했다. 거기다 안노 히데야키의 그 고집스러움은 정말이지 홀딱 반하지 않을수가 없었다. 그는 에바의 디자인을 할때 일부러 완구로 만들기 불가능하게 만들어서 완구회사의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고 현재 애니메이션에서 쓰이는 거의 모든 흥행요소를 과도하게 이용하지만 결국에는 이 눈요기감으로 끌어들인 팬들을 진정한 팬으로 승화시켰다. 비록 극장판에서는 에반게리온에 반 미친 관객들을 이제 그만 현실의 세계로 돌아가라고, 오늘날 에바가 있기까지 지대한 공헌을 했을 그 오타쿠들을 외면하는 엄청나게 용감한 짓을 하긴 했지만 팬들은 결코 나가 떨어지지 않았다. 우리들은 이미 우리를 비웃을망정 멋져요 멋져를 연발할 만큼 거기에 미쳐 있었으니까 말이다. 반복되는 셀. 미사토 대위의 서비스 서비스 씬. 사도 출몰 에바가 나서서 해결 이라는 단순한 스토리 구조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는 모든것이 다 존재하고 있었다. 나는 이 만화가 단지 로봇물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로봇 즉 에바는 안노 히데야키가 하고 싶었던 인간관계에 관한것을 말 하기 위해 또는 팬을 양상해서 중간에 쫑내지 않고 계속 만화를 이어가기 위한 장치였을 뿐이다. 정말로 중요한 것은 그 안에 있는 인간이었다. 나는 이 만화를 보면서 인간과 인간관계. 그리고 의사소통에 대해 해 왔었던 내 생각들과 일치함에 진심으로 감동을 먹었었다.

아까 소파에 드러누워 책을 보다가 불현듯 TV를 켰는데 애니원 채널에서 에반게리온을 해 주고 있었다. 아직은 아스카가 등장하기 전이니 (아스카는 오늘 등장한다.) 초기구나 생각했는데 역시 제 7화밖에 안되었다. 애니원에서 에반게리온은 매주 수, 목, 금 이렇게 3일간 11시 정각에 해 준다. 한 화만 해 주기 때문에 예전에 8개의 에피소드가 들어가있던 비디오를 보던 시절에 비해 말로 할 수 없이 감질나지만 그래도 이게 어딘가. 아직은 초창기라서 팬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서비스컷이 난무하고 그저 그런 애들용 만화처럼 보이지만 조금만 참고 보다가 보면 에바는 진면목을 보여준다. 혹시 보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이 기회에 한번 보길 바란다. 감히 만화 그 이상의 만화라고 추천하고 싶다. 내일 11시. 나는 쪽팔림을 무릅쓰고 에바의 주제가를 따라부르며 설레이는 마음으로 소파위에서 들썩이며 이 만화를 볼 것이다. 아 물론 마지막에 엔딩송인 플라이 미 투더 문까지 따라부를꺼다.

에반게리온은 만화 전문 채널인 애니원에서 매주 수, 목, 금요일날 밤 11시에 방영합니다. 오늘은 제 8화 아스카의 등장 차례입니다. 더빙판이 아니고 자막판입니다. (성우들의 목소리가 압권입니다. 특히 리츠코의 목소리가 예술)


댓글(1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anda78 2005-04-21 0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에바를 해 줍니까? @ㅂ@
그러니까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를 따라 부르셨다는 말씀이지요?
저도 가사 다운 받아 놓고 열심히 따라 불렀더랍니다.
학교에서 상영회도 열구요. ^^
진짜 엄청 열광했었는데.. 그렇군요.. TV에서 자막판으로 해 주다니!

플라시보 2005-04-21 02: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panda78님. 네 에바를 해 주더라구요. 것도 더빙이 아닌 자막으로^^ 흐흐. 소파에 앉아 엉덩이까지 들썩이며 한손에 리모콘 들고 다른 한손에는 오징어 다리 들고 열창했습니다. 오징어에 찍힌 빨간 고추장이 픽 하고 비웃었지만 아랑곳하지 않았답니다.

panda78 2005-04-21 02: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ㅡㅡㅡㅡ^ 고추장이 비웃었군요. 으하하-
저도 지금 불러보니(쿨럭-) 대충 다 기억이 납니다. ^^
아오이 카제가 이마- ^ㅡ^;;
오늘 밤 11시엔 애니원 틀어봐야겠군요- 함께 불러요, 플라시보님. ^m^

플라시보 2005-04-21 0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panda78님. 제와 가 사이에 이응 발음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부르면 젱아가 됩니다. 히힛 오늘밤에 11시에 플라시보와 판다78이 함께 에바 주제가를 떠나갈듯 부르겠군요. 아. 그리고 내일은 귀여운 소류 아스카 랑그레이가 드디어 등장합니다. 남자들을 위해 만들어진 캐릭터로 보여지나 몇화인지 모르겠는데 그녀가 폭주할때 있잖아요. 아. 저 너무 멋져서 그동안 아야나미 레이에 대한 사랑을 쌱 거두고 아스카 팬이 되었지 뭐여요. 여동생도 에바 베스트 장면으로 뽑더군요. 아스카의 폭주^^

瑚璉 2005-04-21 09: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노 감독의 그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에반게리온 프라모델이 꽤 나와 있다지요(-.-;).

paviana 2005-04-21 09: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렀군요..제가 요즘 게임채널들을 왔다갔다 하고 있을때 애니원에서 에반게리온이 하고 있었군요..잊지않고 기억하고 있다가 임요환 안 나올때 잽싸게 보겠어요..
감사합니다.좋은 정보..

BRINY 2005-04-21 11: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바라..거의 10년 된 얘기로군요. 당시 제가 살던 일본 중부 산구석은 TV도쿄가 나오지 않아서 원망x원망하면서 비디오가 나오는대로 비디오를 열심히 빌려봤더랬지요. 지금은 그렇게 몰입할 만한 애니메이션이 별로 없네요. 안노 히데아키는 이상한 영화나 만들고 말이죠.

거닐기 2005-04-21 11: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에바의 팬입니다. 무엇보다 신지가 가출해서 지하철(?)을 타고 계속 이어폰을 들으며 무심하게 타고 내리는 사람들을 보여주던 그 장면이 가장 기억에 남았었습니다.

플라시보 2005-04-21 12: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戶庭無塵님. 네. 귀신같은 반다이사에서 절대 못 만들꺼라 생각했던 에바를 만들었죠. 물론 애들이 조립할 수준은 아니지만 그래도 참 귀신같은 것들이란 생각을 했었습니다.^^

paviana님. 아 게임채널 잘 보시나봐요. 저는 예전에 회사안에 있는 게임방에서 임요한이 왔다고 사람들이 사인받으러 갈때 누구야? 엉? 했던 기억이 납니다. 임요한 팬이신가봐요^^

BRINY님. 그러게요. 에반게리온이 벌써 10년이 훨씬 넘었네요. 에바 이후로는 그와 그녀의 사정을 만들었는데 그것도 꽤나 열심히 봤던 기억이 납니다. (그러고 보니 그 주제가도 외우는군요. 으하하^^) 요즘은 뭘 만드는지 모르겠네요.

거닐기님. 아. 저도 그 장면 기억납니다. 그 장면을 가장 좋아하시는군요. 전 아스카의 폭주 장면이랑 마지막에 신지 주변에 벽이 와르르 무너지면서 모든 등장인물들이 신지를 가운데 세워놓고 둘러서서 박수를 치던 장면이 제일 멋졌습니다.^^


panda78 2005-04-21 15: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히히 맞아요, 카제가 를 카젱아라고 발음했지요. 저도 아스카 좋아해요- ^^ 전 레이를 그리 좋아하지 않고 있었던지라 아스카 등장 씬부터 열광했지요. ;
그리고 극장판에서 신지가 첼로 연주하는 장면도 가슴에 남네요.

플라시보 2005-04-21 15: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panda78님. 아. 전 레이를 처음에는 되게 좋아했어요. 말도 없고 이쁘고^^ 아스카는 어쩐지 미사토처럼 서비스 하는 분위기라서 별로 였었는데 폭주하는거 보고 생각이 휙 바뀌었답니다. 음. 신지 첼로 연주장면 저도 기억나요. 에반게리온 OST도 꽤 들을만한데 (특히 플라이 미 투 더 문 의 버전이 열댓개는 되더군요^^)

panda78 2005-04-21 17: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노래방에서 이 노래를 에바 초반부 엔딩으로 나오던 버전에 맞춰서 부르려니까 안 되더군요. ^^;;
조금 빠른 버전이 제일 좋았는데- 아.. 자꾸 다시 보고 싶어져요. 새록새록 기억나는 것이.. = )
예전에 네르프 신분증도 있었는데 어디 박혀있나 모르겠네요. ㅋㅋ

플라시보 2005-04-21 19: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panda78님 네르프 (이거 뭐가 정확하죠? 너브라 하기도 하고 네르흐라고도 하고..)신분증 그런것도 있었나요?^^

panda78 2005-04-21 19: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발음이 말이죠.. ^^;; 애니에선 주로 네르흐라고 나왔던 것 같구요. 원래는 네르프인데 일본식으로 발음해서 네르흐던가. 제가 주로 자료 퍼 오고 그랬던 곳에서 다수가 네르프라 불러서 저도 네르프로.. ^^;;
그 왜 애니에서 신지랑 레이 등이 들어갈 때 찍는 신분증이요, 사진있고 그런거.. 그걸 복제해서 주민등록증 크기로 만들어서 파는 게 있었거든요. 흐흐. ;;

플라시보 2005-04-21 19: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panda78님. 아 그런걸 똑같이 만들어 팔았군요. 흐흐. 그때 봤더라면 저도 댐시 하나 만들었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