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teen_포틴 작가정신 일본소설 시리즈 3
이시다 이라 지음, 양억관 옮김 / 작가정신 / 200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4teen은 14살난 남자 아이 넷의 이야기이다. 14이면 우리나라로는 중학교 2학년이다. 초등학생처럼 완전히 아이도 아니고 그렇다고 고등학생처럼 어른에 가까운 청소년도 아닌 어중간한 시기의 나이. 내 경험을 떠올려 보자면 그때 나는 속으로는 이미 내가 다 컸다고 생각을 했었다. 그렇지만 지나고 나서 생각을 해 보니 그때 내 생각만큼 내가 자랐던건 아닌것 같다. 어른의 눈으로 보기에는 아이지만 그들 스스로는 더이상 아이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시기. 그런 시기가 14살이 아닌가 싶다.

비교적 평범한 가정에서 자라 평범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극중 화자인 데츠로. 지상에서 100m도 더 높은 고층 아파트의 부잣집 아들이지만 조로증 (노화가 빨리 진행되는 병) 을 앓고 있는 나오토. 넷 중에서 가장 어른스럽고 성숙한 준. 가난한 집에 폭력적인 아버지를 둔 180cm의 거구 다이. 이렇게 네명은 같은반 친구이다. 그들은 자전거를 타고 놀러를 다니고 편의점에서 탄산음료를 사 먹고 이제 막 성에 눈을 떠서 포르노 잡지를 열심히 사 본다. 

어른들이 아이들에 대해 가장 큰 착각을 하고 있는건 뭔가 모른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문제가 일어나도 이건 어른들이 해결할 문제이니 너희들은 아무 걱정 말고 (혹은 쓸때없는 생각하지 말고) 그저 열심히 공부하고 씩씩하게 자라라고만 한다. 하지만 아이들이라고 해서 문제에 대해 완전하게 제외되어 그들 말처럼 아무 걱정이나 생각을 안 할수 있는건 아니다. 어른들이 겪는 만큼, 어쩌면 그 이상으로 아이들 역시 겪어내고 있는데 단지 얼마 살지 않았다는 이유로 어른들은 언제나 아이들을 문제에서 열외시키려고 한다. 그들 역시도 나름대로 문제에 대해 고민도 하고 해결도 하며 살아간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

일면 평범해보이는 네명의 아이들은 제각각의 세상과 부딪쳐서 살아간다. 어른들의 눈에는 아직 꼬마로 보이는 그들이겠지만 그들은 자신의 문제뿐 아니라 타인 혹은 어른들의 문제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고민하고 행동한다. 물론 아직은 나이가 많지 않고 세상 경험이 풍부하지 않아서 그들의 생각은 미성숙하고 행동은 충동적이다. 하지만 다들 그렇게 해서 나이가 든다. 처음부터 다 잘하는 사람은 없는것처럼 그들 역시도 하나씩 새로 느끼고 배워나간다. 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말이다.

학교와 집만 왔다갔다 하면 되고 돈을 벌지 않아도 되고 누군가를 먹여살리지 않아도 된다고 해서 그들의 고민이 절대로 어른들보다 못한건 아니다.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 치열하게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나의 14살을 떠 올려 보면 그때는 빗나가지 않으려고 입술을 피가나게 깨물었던 시절이었다. 어른들은 내가 아무 생각없이 학교만 다니고 공부만 하면 되었다고 생각했을지 모르겠지만 나는 내 인생의 어떤 시기보다도 가장 치열하고 힘든 시간을 보냈었다. 그리고 그들이 생각하는 것 보다 나는 훨씬 눈치가 빨랐으며 적어도 그들과 완전히 분리되어 독립적인 삶을 살지 않는한 그들의 말 처럼 그들의 일이 그저 '어른들이 알아서 할 어른들의 문제' 라고 생각하지 않았었다.

14살에게도 세상은 있다. 하지만 그게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 처럼 열네살만의 세상은 아니다. 물론 어떤 부분에 있어서는 어른들이 침범하지 못하는 세상이 있겠지만 그 세상또한 어른들이 살아가는 세상의 부분집합이다. 네명의 아이들은 자기들의 세상과 어른들에게 속해있는 세상속을 매일 오가며 산다. 지나치게 진지하지도 않으며 그렇다고 해서 아무 생각없는 어린이는 아닌 그들은 나름의 문제를 가지고 있고 또 그 문제들의 답을 찾아간다. 정답은 아닐지 모르겠지만 최선의 해결책을 찾아가며 그 과정은 오히려 어른들보다 훨씬 훌륭하다.

이런 멋진 책을 읽고 겨우 이정도 감상문밖에 적지 못하는 나는 어쩌면 이미 그 시절이 너무 까마득해져버린 어른이라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실제로 이 책을 쓴 사람이 14살은 아니지만 (1960년 생이니 나보다 오히려 나이가 많다.) 그는 비교적 그 시절을 완벽하게 복원했다. 질풍노도도 오기 전의 그 복잡 다난한 시절을 말이다. 그의 다른 작품 LAST가 벼랑끝에 선 어른들의 암울한 얘기였다면 이 책은 암울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아직 벼랑끝에 서지는 않은, 앞으로 살아갈 날들이 훨씬 더 많고 어떤 모습으로 살아갈지 채 정해지지 않은 14살 소년들의 얘기이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AYLA 2004-10-27 21: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플땐 항상 가장 아프단 말처럼...인생은 어느 순간에도 힘들고 가장 벅차다고 생각합니다..
아 뭐 저도 과거 떠올릴 만한 많은 나이는 아니지만서도 중학교 시절을 떠올려 보면 그때 가장 많이 자랐던거 같아요. 고딩되고나선 입시로 인해서 진정 저를 되돌아볼 시간이 없었던듯 합니다. 작가정신 시리즈는 좋은거 같던데 ...오오오
이것도 읽어야 겠어요.
근데 래스트는 정말 암울하던데요...진짜 너무 현실적이어서 주위를 둘러보게 되고 ...^^

플라시보 2004-10-28 1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LAYLA님. 그런것 같아요. 인생은 어느 한 순간도 녹록한적이 없죠. 다 그때 그때마다 힘들고 버겁고... 그래도 지나고 나면 안좋았던 기억보다는 좋았던 기억들이 더 오래 남는것 같고, 그 힘으로 사는것 같아요.^^

마냐 2004-10-29 01: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좋았던 기억들....문제는 14살은 여전히 기억이 잘 안나요...
그리구...플라시보님...비교하는게 우습긴 하지만...님도 이 작가만큼은, 혹은 그보다 낫게 쓰실 수 있다니까요. 함 해보세요...(계속 쪼구 또 쫘서...매니저라두 해볼까요. ^^;;)

플라시보 2004-10-29 10: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냐님. 아유...저는 그냥 제가 좋아 쓰는거지 사실 본격적으로 나서기에는 택도없지요. 제 스스로 이런말 하긴 부끄럽지만 그래도 제 장점중에 하나가 주제파악은 확실히 입니다. 흐흐. 저는 최초의 기억이라고 할수는 없지만 아기때 가장 강렬한 경험이 박통이 돌아가셨을때 입니다. 아기 주제에 사이렌 소리가 어찌나 시끄럽던지...흐흐 (제가 76년생인데 박통이 돌아가신게 79맞나요? )

픽팍 2004-11-05 1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사람 책 진짜 꼭 보고 싶네요

나름대로 중학교 시절이 내적외적으로 저에겐 엄청나게 힘들었던 시절이어서

님 말대로 그 당시에 가장 많은 성장을 한 게 아닌지,

지금 생각하면 후회도 되고, 반성도 하게 되지만, 역시

아련하다고 할까 뭐 그런 게 있네요.

그때 그 시절 닐릴리야 ㅋㅋ


플라시보 2004-11-05 1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픽팍님. 그러게요. 애도 아니고 어른도 아닌 어정쩡한 시기였지만 그래도 그때 제일 많이 자란게 아닌가 싶습니다. 추억은 지나고 나면 뭐든 다 아름다운 법이라고 하지만 진짜 그때를 떠 올려보면 아름답다는 생각이 절로 듭니다. 아직 가능성이 무한하고 말랑말랑한 열린 사고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 만으로도 아름답기에 충분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