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공생명
스티븐 레비 지음 / 사민서각(다정원) / 1995년 6월
평점 :
품절
(YES 24가 글이 안 올려진다 ..진심 빡치구나...ㅠㅠ)
이 책은 오래된 책이다
1995년에 초판이 나왔는데 지금은 절판된 책이다
도서관에서나 볼 수있는 책
그러니깐 1995년정도 까지 '인공생명'을 만들기 위한 인류의 모험을 담은 책이다
내가 생각하는 생명의 정의란 이렇다
1 경쟁성 (박테리아..바이러스와도 경쟁한다)
2 번식능력
3 apoptosis와 regeneration(재생)-세포분자내 양전자..전자 등등 입자의 미묘한 상호작용에 의한
이다 .......(물론 이것만으로도 불충분하겠지만 서도)
인공생명은 양전자..전자의 미묘한 상호작용에 의한 조직의 apoptosis라든지 재생능력 등등
vital feeling이 결여 되어있다...
탄소기반의 생물체의 feeling이 안난다는 것...
그리고....
아주 중요하게 보통 생물체와 다른 점은...
대칭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다
대칭성이란 무엇인가...
태아가 엄마 자궁속에서 자라나기 시작할 무렵..
태아의 몸체는 대칭성을 갖는다..
몇주간 어떤 형태의 대칭성으로 있다가 몇주지나면 대칭성의 형태가 바뀐다는 것이다
인공생명체에는 그것이 부재한다......
(물론 대칭적으로 만들수 있기야 하겠지만..뭔가가 부재한다)
그러나...
인공생명과 진짜 생명과의 공통점은 (내 기준으로)
초기자극을 통한 생명유지를 하는 부분이 있다는 것 (ex) 심장박동의 시작)
그리고 뭔가 알고리즘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인공생명하면 대표적인것이 conway의 game of life인데
(이건 앱을 다운받아 해볼 수 있다)
game of life도 조건을 먼저 입력해서..
어떤 식으로 변화하는지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이 책에서 나오는 '인공생명'들은 주로 컴퓨터의 창작품들인데..
역시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해온 ..태고적 지구의 원시수프에서 생성되어..진화와 여러가지를 거쳐 탄생된 생명과는 역시 근본적으로 다르다
(인공생명이라길래...뉴스에서 나온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세포나....유전자를 조합하여 만들어진 세포덩어리들을 생각하면 안됨)
컴퓨터 내에 2차원, 3차원으로 주로 제작되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잠깐 정리해보면(이외에도 아주 많다..)
3차원>>
크레이그 레이놀즈- 보이드
식물의 3차원적으로 표현한 L계의 정원
2차원>>
conway- game of life
폰 노이만-세포자동차
노만 패커드 -세포 자동차 눈송이
크리스 랭턴-자기 재생산 루프
UCLA의 artificial ants
레이의 띠에라계
인공생명은 대중을 기만하는 단순한 컴퓨터 장난인가?
아니면....
정말 '뭔가'있는 학문인가?
이 책을 통해서도..지금도 알 수가 없다....
우선....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또다른 우주를 만드는 것이 가능한가?
어떤이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 자체가 정보가 구현된 세상이라고 한다...
(매트릭스의 정보 매트릭스같이)
그니깐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한지도..
그러나..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우주는 알고리즘(?)이 너무 복잡해서 컴퓨터로 구현하기 어려울거라 생각한다 (지금의 지식과 기술로는...)
그러나......
학문의 발전으로 물리적..수학적으로 우리세계를 단순화해서 보려는 "대통일이론(?)"이 등장한지 오래다...
단순한 2차원세계에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공생명'을 창조하여 그것의 생활사와 다른 종과의 interaction을 보려는건 별의미가 없을 수 있다
이건...순전한 내의견인데..
컴퓨터로 공식과 알고리즘을 data하여 홀로그램형식으로 3차원으로 구현하는 방식이 더 적절할 수도 있다...(정말 전적인 내 의견..)
물론 이것도 그저 우리현실세계를 모식화한 '식상화'된 방식이고...'새로운''상식을 완전히 깨뜨리는 방식'은 아닐 것이다
어쩌면...
전혀다른 물리법칙과 전혀다른 우주상수가 적용되는 또다른 우주 (우리우주 말고)개념을 도입하여 인공생명을 만든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아무튼...이책에서 말하는 '인공생명'이란.. 뭔가 혼(SOUL)이 들어간것이 아닌 자기조직이라는 개념이 강하다..
그래서 새로운 자기접합(self splicing) 리보자임은 AIDS등 위험한 질병에 치료제로 시도되고 있다
(이를 보면..아직까지 생명의 연금술이라는 이미지가 강한 이 컴퓨터를 통한 작업들이 의학등 여러가지 중요한 곳에 응용될 수있는 것 같다..)
인공생명을 만들려면..보통생명과 같이...유전자라는 부분을 깊이 생각해봐야 하는데...
코자라는 분은 '유전프로그래밍'을 깊이 연구하셨다
유전프로그래밍은 계가 자신에게 부과된 많은 문제들을 극복해 나가는 특징적인 방법인데..
2차방정식,적분,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거나..소수를 찾는다거나...6개의 화소로 이루어진 망막을 시뮬레이트하여 pattern을 인식한다거나..더구나 ..움직이는 수레위에서 빗자루를 세워 균형을 유지하는 방정식같은 비선형 물리학문제를 풀 수 있게한다..
아무튼 이는 (내생각인데) 주로 자신이 당면한 문제를 극복하는데 이용되는 프로그래밍이 아닌가 싶다..흠흠
예전에도 관련 책을 읽어봤는데..
유전알고리즘은 거시적 계(system)에서는 별로 적용이 안되고...개개의 발달에 (소규모)에 어울린다고 한다...
(이것도 내생각인데) 게임이론 같은 문제에서도 빛을 발하지 않을 까 싶다...
"레이의 띠에라계"등..이 책에서 소개된 인공생명의 토대가 되는 컴퓨터내 인공환경은..먼저 설정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작동하는 <게임>내 환경과 별로 다를 바 없어 보이기도 한다..
컴퓨터로 인공생명을 창작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이유중 하나는 컴퓨터내 '카오스'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것이다
(물론 카오스상태도 컴퓨터로 예견하긴하지만..문제점으로 지적된 바 있다)
가끔 '띠에라 계'같은 컴터내 환경에서도 돌연변이가 발생한다
초-초-기생충(hyper-hyper-parasite)는 "남의 복제코드"를 제멋대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VIRUS와 닮았다
어쩌면 컴퓨터내에서..복잡계등등 이 생성되어 영향을 주었는지도 모르겠다 ^^
린덴마이어라는 식물학자는 알고리즘을 컴퓨터에 적용시켜 인공식물을 표현했는데..
3차원이미지를 보면 아주 그럴듯하다..
그저 단순한 알고리즘으로 이렇게 그럴듯한 식물을 만들다니..대단한것 같다
(원래 식물은 꽃잎수도 정해져있는 경우가 많고 ..잎의 곡면도 어떤 법칙을 따르는 경우가 많아..이미 프로그래밍된것이 표현된것이라 보는 게 맞는지도 모른다...)
1990년대 초에는 컴터내 각각 생명체에 인공지능신경망을 부여하여 실험을 진행했는데
(예를 들면..UCLA의 ant farm이나 데이비드 에클리의 'AL')
아무튼 이건 전적인 내생각인데....
2차원으로 인공생명을 아무튼 줄기차게 만드는 건 그렇다 쳐도
인공지능신경망을 부여해서 뭘하나 싶다 ㅉㅉ (이게 젤 헛수고네 ;;)
이책은 절판된 책이지만 소규모도서관에서도 많이 찾아볼 수 있는 책이다
인공생명에 관심이 있으면 꼭 읽어봐야할 책인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