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원시 시대 인간들은 굶는 날이 많았다. 중세와 근대에도 '굶기를 밥먹듯한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굶는 사람들은 여전히 많았다. 그러면 생명공학과 유전자 공학의 발달로 인류의 수명이 늘어나고 먹을거리가 남아도는 오늘날에는 어떤가?  이 풍요의 시대에 적어도  기아 문제만큼은 70 ~ 80%는 해결되고 있으리라 생각했었다.  

 그러니, 지구에 살고 있는 인류의 절반이 굶고 있다는 이 책의 제목은 가히 충격적이었다. 유엔식량특별조사관이 쓴 책이니만큼 거의 100% 사실에 가까운 내용들이 담겨 있음이 분명할 터인데, 왜 이렇게 끔찍하고 비참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책을 읽어나가면서 그 의문은 해소할 수 있었지만  분노와 답답함이 대신 그 자리를 차고들어왔다.  

 나는 그동안 기아는 나라가 가난해서 또는 환경적으로 열악해서만 발생하는 것으로 알았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인 장 지글러 유엔 식량특별조사 관이 들려준 바에 의하면, 

  첫째, 자연 재해로 인한 식량 부족(아프리카의 여러나라들)

  둘째, 권력 다툼 등 정치의  부패로 외국 원조마저 차단하는 나라들(소말리아

  셋째, 세계  메이저 곡물회사들의 시장가격 조작(미국의 컨티넨털 그레인과 카길 인터내셔널, 스위스의 앙드레 S.A. 그리고 프랑스의 루이 드레퓌스 등)

   넷째, 전쟁으로 인한 기아 (아프리카의 앙골라 내전과 시에라리온 전쟁  그리고 중동의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 등이 있다.  

   특히, 세계 옥수수 생산량의 1/4을 잘 사는 나라의 소들이 먹어치운다는 것과 (물론 그 소들은 잘 사는 나라의 인간들에게 자신의 고기를 내어주기 위해 이용되지만), 미국의 경제봉쇄로 인해 5세 미만의 아이들이 매일 200여명(매달 5,000 ~ 6,000명)이 영양실조로 생명을 잃고 있다는 사실이 너무 충격적이었다.  

  저자는 이 책에서  북한의 기아문제도 언급되고 있으며 왜 유엔의 힘만으로 기아문제가 해결되지 못하는지도 잘 설명해 주고 있다.

  기아 문제에 대해 그동안  무관심했던 것은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제 기아문제를 알게 되었으니 뭔가 행동으로 옮겨야 할 때이다. 이 책의 저자인 유엔 조사관도, 아니 유엔 사무총장도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하물며 일개 가정주부인 내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겠는가?  

  그러나 예전에  중지한 유니세프 후원금을 다시 내는 것으로 미약하나마 힘을 보태고자 한다. 월드비젼이나 지구촌공생회 같은 단체에 후원금을 내는 것도 시작해 보려 한다. 또 주변 사람들에게도 이 책을 읽어보기를 권하고 이런 이야기를 전해주며 후원을 권하려 한다.  그런 날이 하루하루 지나다보면,  기아로 죽어가는 생명 또한 하루 하루  그 수가 줄어들게 되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