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
김인숙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병자호란을 말할 때 떠오르는 인물 셋이 인조와 소현세자, 봉림대군이다. 사실 그동안 나는 봉림대군이 소현세자보다 더 임금으로 적합해서 왕이 된 줄로만 알았다. 소현은 유약하고 봉림은 덕과 카리스마를 지닌 인물인 줄 알았다. 항상 그렇듯, 모르는 것은 죄악이 될 수 있다. 자세한 역사적 내용을 모른 채 혼자 마음대로 생각하는 것은 역사적 인물에 대한 큰 결례가 되기 때문이다. 

  김인숙 작가의 소설은 일전에도 여러 편 읽어보았기에 구성이나 문체에 대한 확신이 있어서 이번 책이 나왔을 때도 주저없이 구입하게 되었다. 특히나 내가 잘 모르고 있는 소현 세자에 대한 이야기라 더욱 ......   내가 조선시대 왕들 중 가장 싫어하는 왕이 인조인데 이 책을 읽고 나서 더더욱 인조에 대한 실망감이 커졌다. 어떻게 자기 아들을 또 손자와 며느리를 그렇게 죽일 수 있는지...... 죽어서라도 자기 아들과 손자, 며느리에게 사죄를 했다면 또 모를까......  소현세자가 왕이 되었다면 조선의 역사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물론 봉림대군도 좋은 왕이 되었지만, 좀더 폭넓은 세계관과 백성을 위하는 정치를 했을 것 같다.  

  춥고 추운 북방에 볼모로 끌려 가서 생활하는 모습을 어쩜 그리도 선명하게 그려낼 수 있었는지... 소현의 고뇌와 역관들과 끌려간 여자들 그리고 환향녀(후일 화냥년이 된) 의 슬픈 이야기들이 겨울철 나뭇가지를 흔드는 거친 바람처럼 내 가슴을 마구 흔들어댔다.  

힘겨운 볼모의 생활을 끝내고 돌아와서 결국은 청과 가까워졌다는 이유로 모함을 받아 죽게 된 소현 세자의 영혼 앞에 엎드려 눈물을 흘리며 진심으로 위로의 절을 하고 싶다. 이 책은 소현 세자의 억울하고 비참한 죽음 앞에 드리는 진혼곡 같은 책이다. 김인숙 작가에게 박수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