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세스 1 - 빛의 아들
크리스티앙 자크 지음, 김정란 옮김 / 문학동네 / 199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1권 빛의 아들 .......   이집트의 파라오 세티의 둘째 아들인 람세스는 열 다섯 살 되던 해에 아버지로부터 죽음에 대결하는 시험을 받게 된다. 이미 형이 왕세자로 책봉되어 있지만 여러 모로 부족한 그를 대신해 파라오는 람세스를 후계로 세울 계획이 서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혈기왕성한 람세스는 왕의 길과 현실적 쾌락 사이에서 고민하다 여러 신전의 신들로부터 인정을 받고 세티의 후계자 수업을 받으며 훌륭한 왕의 재목으로 성장한다. 물론  그 와중에는 형 쉐나르와 숙적 힛타이트의 계략에 의한 죽음의 고비를 몇 번이나 넘기게 되나 결국은 아름답고 현명한  네페르타리를 왕비로 맞이하며 거대 이집트의 왕 파라오가 된다.         

제2권 영원의 신전... 람세스가 이집트의 카르낙과 테베 등에 신전을 건립하고 신을 찬양하는 내용.

제3권   카데슈 전투 ... 힛타이트와의 피할 수 없는 대 전쟁을 그려 놓았다. 

제4권  아부심벨의 여인 ...... 람세스가 그의 최고의 동지이자 심장이 녹을 정도로 사랑하는 여인인인 왕비 네페르타리를 위;해 아부심벨에 신전을 지어 준다. 그러나 네페르타리는 신전의 완공식장에서 람세스의 품에 안겨 영원의 나라로 떠난다. 

제5권  제왕의 길 ......  지긋지긋하게도 람세스를 괴롭히던 형 쉐나르와 마법사 오피르도 죽고, 모세가 히브리 백성을 이끌고 떠났지만 힛타이트의 대왕 무와탈리스의 아들 우리테슈프가 오피르의 동생 말피와 함께 람세스를 공격한다. 그러나 람세스는 그이 70년지기인 아메니, 세타우 그리고 충직한 호위대장 세라마나와 함께 그들을 전멸시키고, 무와탈리스의 종생 하투실이 다스리는 힛타이트와 동맹체제를 공고히 하는 큰 업적을 완성한다.  그리고 89세로 생을 놓고 영원의 길 위로 오르는 람세스의 모습은 정말 평온하다. 아카시아 나무 밑에서 위대한 파라오는 부왕 세티와 어머니 투야 그리고 사랑하는 왕비 네페르타리의 곁으로 간다.

 제1권에는 이문열의 '이집트 기행문'이, 제4권에는 이윤기의 '모세에 대한 두 가지 소문'이라는 글이 실려 있다. 이윤기는 모세가 히브리인이 아니라 이집트인이었는데, 히브리인을 이끌고 이집트를 탈출해서 가나안에다 자신의 종교인 아톤교(이집트의 유일신교- 원래 이집트는 다신교이다)를 재건했다고 주장하는 프로이트으이 설을 제시함으로써 헤브라이즘의 기원이 이집트에서 출발햤을 개연성을 던져준다.  

나도 이 책을  읽으면서 구약성서의 내용들을 다시 한 번 되짚어 보는 묘미를 맛볼 수 있었는데, 이윤기의 글을 읽으면서 새로운 세계로 시야가 뻗어가는 흥분을 체험하게 되었다.  

람세스의 친구들인 아샤, 아메니, 세타우, 모세 등은 좋은 장점들을 많이 가진 개성 있고 매력적인 인물들이다. 그러나 역시 내 스타일은 람세스뿐이다. 물론 이 책은 역사책이 아니라 소설책이라는 것을 문득문득 재인식해야했지만, 그래도 웬지 람세스를 한 번 만나볼 수 있다면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그에게 빠져들었다.  그래서 박물관에 누워 있는 람세스를 꼭 만나보고 싶고,  거대한 신전의 나라 이집트를 꼭 방문해야겠다는 꿈을 갖게 되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넓은 이집트 평원에 거대한 신전이 우뚝우뚝 세워지는 현장을 목도하는 느낌과 , 온갖 과일과 육류 그리고 황금이 넘쳐나는 풍요로운 이집트에서 실제로 생활하는 느낌을 맛볼 수 있었으니 참으로 행복하고 웅장한 책읽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