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여섯의 섬 사계절 1318 문고 28
한창훈 지음 / 사계절 / 2003년 9월
평점 :
절판


사춘기는 누구나 피할 수 없는 시기이다.  

억지로 피해 간다면 나중에 더 큰 불안감으로 결국 정신적으로 더 힘들어질 것이다. 사춘기... 많이 고민하고 많이 힘든 만큼 성숙하고 건강한 성인으로 나아갈 것이다.  

이 책은 전라도 어디쯤의 섬에 살고 있는 열여섯 살의 여자 중학생이 보통의 아이들보다 정신적 육체적으로 힘든 현실 속에서 사춘기를 보내면서도 꿈을 잃지 않는다는 이야기이다.  

특별히 색다른 점은 없다. 중간에 등장한 낯선 보헤미안 여자 이야기도 약간은 작위적이긴 하다. 그리고 엄마의 가출과 큰이모의 죽음 등이 너무 부정적이고 어두운 면 투성이이긴 하다.  

그러나 그렇게 생각하는 건 아마도 섬을 잘 모르기 때문일 것이다. 나 역시 섬을 잘 모른다. 대학 때 여행으로 가 본 섬, 결혼하고 아이들 데리고 조개 잡으러 간 섬, 영화에서 본 섬 사람들... 그게 내가 아는 섬의 전부다. 그러나 작가는 다르다. 작가는 섬에서 태어나 섬에서 자라, 섬과 뼛속깊이 동화된 섬의 일부같은 사람이다. 그러니, 섬에서 일어나는 이런 일들이 어느 정도 사실성에 근거했을 것이고 거기에 소설로서는 당연한 약간의 허구성이 가미된 내용이라 받아들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섬... 

그것도 '열여섯의 섬'이라는 제목은 열대여섯 살 무렵의 중학생들이 지나는 사춘기를 '자신의 의지만으로는 쉽게 벗어날 수 없는 섬'에 빗대어 나타낸 것 같다. 그리고 '섬'에서의 현실은 아직 불안하기만 한 존재이다. 과연 어떤 미래가 기다리는지, 어떻게 해야 행복한 미래를 갖게 되는지 아무것도 모르고 아무것도 정해진 것이 없다. 그렇다고 주위에서 하나의 인격체로서 존중해 주는 것도 아니고, 무조건 보살펴 주는 것도 아니다.  

주인공 서이의 이름은 언뜻 듯기엔 섬 아이 이름치고는 무척 세련된 이름이라는 생각이 들지만, 세번째 태어났기에  붙여준 셋(3)의 사투리에 불과하다. 아버지는 섬에서 필요한 아들이 아니라 세번째까지 딸이 태어나자 이름조차 짓기 귀찮아 그렇게 붙였다.  

엄마 대신 자기와 아버지를 돌봐 주시는 큰이모 외에는 자기의 존재감을 알아주는 이 없어 늘 외롭고 힘들기만 한 서이... 그러나 고등학교는 반드시 육지로 가리라 생각하고 그 뒤에는 가고 싶은 곳으로 여행도 다니며 자유롭게 살겠다는 서이는 그래도 꿈이 있어 건강한 사춘기다.  

마지막에 서이에게 바이얼린을 주는 '보헤미안 여자'의 행동이 현실과 괴리감이 있긴 하지만, 청소년들이 읽는 책이기에 아이들에게 희망을 준다는 메시지로 보면 될 것 같다. 그리고 '보헤미안 여자'가 만났던 제3세계의 힘겨운 아이들의 이야기는 힘든 가운데서도 더 힘든 사람들을 생각하고 이겨내라는 메시지로 읽으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