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화처럼
김경욱 지음 / 민음사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주문하고 손에 받아들기까지 김경욱, 김경욱하며 노래를 불렀더랬다. 그의 「동화처럼」이 출간되기전의 작품들을 모조리 소장하거나 읽은 책이 하나 없음에도 불구하고 너무 자연스러운 기다림이었다. 또한, 그의 작품의 출간 식을 알고나서는 그 어떤 책도 손에 쥘 수 없었으니, 이 또한 나 조차도 놀랄 수 밖에 없는 집착과도 같은 김경욱에 대한 일종의 뜻모를 애정과도 같은 친애함이었다. 그러니까 내가, 김경욱과 첫 대면을 한 것은 매일 출석도장을 찍어오던 온라인 서점도 아니요, 하릴없이 남던 시간을 할애하려 들어 선 서점도 아니요, 책 하나로 뭉친 동호회에서 주워 들은 귀 동냥도 아니었다. 단지, 그득하게 취기가 오른 채 친분을 나누던 지인의 홈페이지를 둘러보다 우연히 발견한 그의 발췌 된 글귀들과 마주하면서 흐트러진 정신이 바로잡히기까지는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았다. 그래, 바로 그때부터였다. 알 수 없는 감정들이 폭발하 듯 단숨에 그를 신뢰하여 이번 작품을 기다리면서도 층층이 쌓여가는 애정을 어쩌지 못했 던 것 처럼, 말이다.
그의 이번 작품 「동화처럼」은 연애소설이다. 조금의 거짓과 과장없이 가늠해보자면, 연애소설을 마지막으로 읽은 것이 언제인지는 까마득하다. 사랑에 관해서는 해탈과 가까우리만치 터득하고 경험한 탓에 더 이상은 배울 것이 없다 생각했던 오만과 자만으로 연애소설에서 손을 뗀지는 꽤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호기심으로 가득했던 사랑이라는 감정으로 위태로왔던 학창시절에는 오로지 연애소설만을 고집했던 탓도 있으리라. 허나, 김경욱이라는 작가 앞에서 어떠한 장르의 책인 들, 빛나지 않을 수 있을까. 그렇다. 이 소설, 참으로 별 다섯개가 아깝지않다. 김경욱이라서가 아니라, 그의 작품이라서가 아니라, 그는 그대로 작품은 작품대로, 각각의 빛이 난다. 그리고 그 빛 아래 그가 만들어낸 동화가 있다. 눈물의 공주 백장미와 침묵의 왕자 김명제가 사는, 동화처럼 이어지는 지극히 현실적인.
대학시절, 노래를 부르는 동호회에서 서로 다른 이를 첫사랑을 가슴으로 묻은 채 6년이라는 세월이 흘러 그들의 연애가 시작된다. 지켜보는 것 만으로도 달달한 바이러스가 뿜어져 나오는 연애를 거쳐 결혼이라는 새로운 세상과 국면하며 보이지 않던 부분들이 새살 돋 듯 돋아나면서부터 부딪히다 결국 깨어지고 만다. 그 첫 번째 헤어짐을 이야기하자면, 연애를 오래해보지 못 한 연인들에게서나 볼 수 있는 초조함과 자존심 그리고 이기적인 이해와 배려들이 공존한다. 그런 이별이 늘 그러하듯 다시 붙기도 참 쉽다. 서로에게 각인되어진 습관이라던가 함께했던 추억들이 못다한 후회로 밀려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들이 마주하여 다시금 사랑을 피우는 것 처럼 말이다. 두 번째 결혼, 그리고 또 다시 파국. 두 번째는 첫 번째와 확연히 다르다. 서로의 '자아'와 '정체성'과 마주했음이 틀림없기 때문이다. '나'와 '너'가 아닌 '우리'라는 결속이 완전해질 수 없으니 그 관계가 결여되고 마는 것은 명약관화 즉, 불 보듯 뻔한 지당함이 분명하니 말이다.
그들의 연애와 결혼, 사랑을 축약해보니 읽는 내내 웃음만발했던 치킨집에서의 통과의례라던가, 그들의 결혼 후에도 끈질기게 따라붙던 서로의 첫사랑이라던가, 장미의 그악스러웠던 어머니와 명제의 개구리를 삶아 먹던 아버지, 서로 공유하지 못했던 축구나 야구를 자세히 꺼내어 옮기지는 못했지만 이야기의 구성이 좀 더 탄탄해지기에는 충분한 소재들이 넘쳐났다. 무엇보다 안타까웠던 건 장미의 상상임신으로 인한 여자의 시들어가던 존재성이 못내 가슴을 방망이질 쳤다. 제목 「동화처럼」과 같이 아주 어린 시절에 즐겨보던 동화들이 자연스레 튀어나오기도 했고 현재의 내 결혼 생활과 오버랩이 되어버리는 상황과 맞붙어 괜스레 멋쩍어지기도 몇 번이었다.
김경욱, 책을 덮으며 다시금 그의 이름을 되뇌이자 참, 야무진 작가- 라는 말이 덧붙여 소리되어 나온다. 이토록이나 적은 페이지를 불과하고 희로애락의 진정성을 담을 수 있는 작가가 과연 몇이나 될까 싶어, 손가락을 접어따져보아도 마땅히 떠오르지 않는 건 내가 너무 그의 작품에 몰입했거나 독서의 폭이 좁은 내 미숙함이려니 생각해보지만 난 전자에 손을 들어주고 싶다. 그리고 이제와 얘기하는 것이지만, 연애소설답게 장미와 명제는 다시 만나게 된다. 자아정체성에 부딪힌 그들이 과연 어떠한 계기로 다시금 만나게 되었는지는, 책이 말해줄터이니 조심스런 추천과 사랑에 고달픈 이들에게 권해본다. 결국, 사랑이 시작되는 시점과 끝은 자기 자신에게 비롯되어 마침표를 찍는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