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c2
데이비드 보더니스 지음, 김민희 옮김, 한창우 감수 / 생각의나무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올해는 E=mc2라는 위대한 - 사실 그 위대함에 대하여 나는 잘 모르겠는데 세상 사람들이 위대하다고 하는 - 공식이 세상에 태어난지 100년째 되는 해다.

나는 아인슈타인이 그저 위대한 과학자이며 '상대성이론'을 만들어 낸 사람 정도로만 알고 있는, 하지만 내 주위의 사람들과 비교해 볼 때 내가 알고 있는 내용이 그다지 모자라지는 않은 평범한 사람이다. 적어도 아인슈타인이 미국 사람이라고 우기는 우리집 최모 아저씨보다는 낫지 않은가.

그런데 올해는 때가 때이기도 하고, 알라딘을 알게 되면서 처음으로 리뷰를 썼던 책이 '과학콘서트'이기도 하고(과학을 소재로 한 책이 어렵기만 한 것은 아니더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여러 알라디너들이 극찬을 하기도 하고 등등의 이유로 보더니스의 'E=mc2'를 읽어봐야 겠다고 마음을 먹게되었다.

여러날 내 책상에 꽃혀있는 이 책을 보고 내 주변의 사람들은 장식용이라는 둥, 이해는 되냐는 둥, 그게 수학책이냐는 둥 여러 시답지 않은 소리로 이 책을 향한 나의 열정을 무시하려고 애썼으나 결국 나는 읽어내고야 만것이다. 바로 오늘, 2005년 6월 14일!

지금도 사실 잘은 모르겠다. 책을 읽으면서 에너지와 질량, 그리고 빛의 속도를 각기 다룬 부분들은 그저 글자가 내 눈에 박혔다는에 의의를 두는 정도로 지나갔기 때문에 아마 누군가 ' E=mc2'이 뭐냐고 묻는다면 허둥지둥대며 '아인슈타인 몰라? 아인슈타인!'하면서 스리슬쩍 넘어가려고 애쓸 것이다.

그보다는  E=mc2를 위한 기나긴 여정에서 결코 아인슈타인에 비해 처지지 않는 천재성을 보이며 눈부신 이론적 업적을 쌓았던 리제 마이트너(핵분열 연구의 창시자 중 한 사람)나 세실리아 페인(태양이 무거운 철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수소와 헬륨으로 채워져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에밀리 뒤 샤틀레( 그녀는 뉴턴의 mv1에 맞서 속도의 제곱을 곱해야 에너지값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냈다)등의 천재적인 여인들과 반면에 그들을 인정해 주지 않았던 세상,  그리고 세상 밖으로 나온  E=mc2가 처음 인간에게 사용된 계기가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이었다는 데 웃고, 울고 한숨을 쉬면서 이 책 속에 빠져들어갔다.

그 과정은 마치  E=mc2를 소재로 타임머신을 타고 현재와 과거, 동시에 서구의 여러 나라를 한 화면에 펼쳐 보여주는 흥미진진한 영화를 보는 느낌을 내게 선사해 주었고 더불어 대립과 갈등이 반복되는 인생의 문제를 풀어 나갈 수 있는 해답도 안겨 주었다.

"만약 내가 당신에게 광선이 지금쯤 특정한 지점을 지나쳤을 거라고 말하고, 당신은 나에게 미쳤다, 틀림없이 더 오래 걸릴거다, 라고 말한다 해도 아무 문제가 없다. 당신이 말하는 '더 오래'라는 개념이 내가 생각하는 '오래;의 개념과 다르기만 하다면. 그러면 내가 본 것은 진리이고 당신이 본 것과 다르지 않다. 특수 상대성 이론은 그동안 모순으로 보였던 현상들에 대해 우리의 지각에 관한 용어들을 명확히 함으로써 해결해 주었다."(책의 부록 : 주석123번 중에서)

과학은 철학이 아니고 인생을 연구하는 학문이 아니지만 이보다 더 멋진 인생의 해답을 어디서 찾을 수 있으랴. 네가 알고 있는 것이 나와 다르기 때문에, 너의 사고 방식이 나와 다르기 때문에 너는 틀렸고 옳지못하다며 상대를 향해 칼을 들이대는 오늘날의 우리에게 의미심장한 의미를 주는 문장아닌가.(크하하..이쯤되면 엄청난 오버 해석이긴 하다)

마지막으로, 본문만큼이나 흥미진진하며 재미있는 부록이 마지막에 포진되어 있다는 사실을 놓치치 마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