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교양강의 - 사마천의 탁월한 통찰을 오늘의 시각으로 읽는다 돌베개 동양고전강의 1
한자오치 지음, 이인호 옮김 / 돌베개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사기>는 누구나 한번즈음 접해본 동양의 고전이며 더군다나 인문학을 전공한 이라면 꼭 읽어볼 만한 책이다. 옛 선인들은 특히 사기 열전 중의 백이열전을 많이 읽어 문장력을 키웠다고 한다. 

아뭏든 나는 이 책을 이벤트 때문에 사실 살펴보지도 않고 그냥 골랐다. 이 책은 진 제국의 멸망에서부터 한 무제 시기까지 여러 인물들을 통해서 반복적으로 역사를 평이하게 설명하고 있는데 약간의 지도와 계보도가 있어서 이해에 도움을 주고 있지만 오타가 제법 있고 좀 더 많은 그림이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만리장성이 북한의 청천강 유역에까지 이른다는 한족 지은이의 주장은 그럭저럭 참을 수 있었지만 거듭 우리나라를 한반도에 국한시키는 발언이며 장량이 한반도의 창해군에 가서 장사를 만났다는 대목에서는 어이가 없었다. -내가 알기로 창해군은 발해만 연안인 오늘날 베이징 주변이다.-  사마천이 황제를 내세워 중국민족을 통일하는 운운에서 지은이의 속셈이 느껴지면서 동북공정과 관련해서 사기에도 저런 논리를 집어넣는 어쩔 수 없는 중국인이구나 싶었다....  

어차피 사기를 읽고자 한다면 이 책을 보고 난 뒤에, 전문가가 아니므로 <통감절요>처럼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번역본들과 함께 읽기를 권하고 싶다. <사기>는 사마천의 눈을 통해 본 파란만장한 역사극과 같다. 특히나 이 책에서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는 100년 남짓한 시대는 우리에게 매우 익숙하면서도 흥미진진한 내용이어서 빨려 들어갈 정도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황로사상의 대가인 장량의 처세술과 한 고조의 임기응변에 능통한 용인술이 마음에 들었다. 오늘날, 우리나라에 태산보다 무겁게 죽음을 맞이하는 정치가가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보며 다른 사기 책을 연이어 펴며 이 책을 덮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