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호남의 회계 문화 - 한국 경제 민주주의의 기원을 찾아서, 호남 역사문화 연구총서
전성호 지음 / 다할미디어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얼마 전에 이 교수의 박사학위 논문을 책으로 엮은 <조선 후기 미가사 연구>를 읽고 나서 우연히 리두 책을 뒤적거리다 연이어 이 책을 읽고서 몇 자 적는다.

1. 매우 흥미로운 책이다. 대학 교재로 쓰이는지 중고책으로 많이 나와 있지만 책꽂이에 한 권 두고서 계속 볼 만한 책으로 여겨진다. 유학파로서 세계 여러 나라의 회계 문화에 관한 설명도 좋고 글도 잘 읽히며 지곡서당 출신인지라 한자어 풀이까지 해 주어 아주 좋다.

1. 내게 우리 전통 회계에 관련된 책이 몇 권 있는데 아직 다 읽지는 못했지만 그 중에서 썩 좋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내게 큰 도움이 되었다. 리두도 물론이거니와 실제로 어떻게 장부에 기재하는지를 잘 알려주었다.

1. 내가 여태껏 제법 많은 교수분들의 저술을 읽었지만 이렇게 서론과 결론에서 초지일관 전라도를 거론하면서 너무나도 분명히 노골적으로 자랑 또는 애정을 표현한 책은 본 적이 없다. 좋은 학술서적에 굳이 광주사태까지 들먹이면서 운동권 출신이라는 것을 널리 알릴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 든다. 소위 386세대라고 불리던 운동권 세대에 관해서 호불호가 엇갈리겠지만 나는 솔직히 개인적으로 탐탁치 않다. 평준화 세대로서 우골탑을 세우며 대학에서 시위에 전념하느라 공부도 제대로 안했지만 그들이 타도할려고 했던 군사정권의 도움 아닌 도움으로 눈부신 경제발전에 힘입어 졸업만 하면 취직이 절로 되고 석사수료만 했어도 교수가 되고 교사도 시험없이 되던 그런 호시절에 살던 운좋은 세대다. 그 아래세대는 평생 민주화에 앞장서느라 현실감각이 없던 어느 대통령탓에 취직할려는 시기에 IMF를 맞아 거의 전멸하다시피했다. 나 역시 이런 사족을 달 필요가 없는데 괜히 눈에 거슬려서 한소리하게 되었다. 이해하시라.

끝으로, 내가 늘 가지고 있는 소원인데 우리의 전통문화가 현대에 되살아나 이를 다시금 사용하는 것이다. 이 책 283쪽에 '고유의 회계 기술이나 용어가 존재해 왔고 그 의미가 서구의 회계 기술이나 용어와 같은 뜻을 간직하고 있다면 당연히 그 용어를 재생시킬 필요가 있다'는 지은이의 주장에 십분 공감하며 지은이의 바람대로 언젠가 하루바삐 '부기'란 말 대신 '치부' 등의 전통 용어가 쓰이기를 기대해 마지 않는다.

앞으로도 이 분의 뛰어난 저술을 기다리며 계속 읽을 작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