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am 8:48
운동 시간 01:58:02
운동 거리 10.25km
11'30" 페이스, 심박수 138, 케이던스 166, 칼로리 757
제주 종합 운동장
달리기 전 컨디션 : 나쁨. 못 뛸 것 같음
달리는 중 컨디션 : 좋음. 하루 종일 뛸 수 있을 것 같음
오른쪽 무릎 쑤심? 아픈건가? 긴가민가
왼쪽 등에서 허리 짧은 통증 2회
달리기 직후 컨디션 : 온몸 쑤심 애구애구 모먼트
몸풀기 : 반신욕, 폼롤러
다음날 컨디션 : 개운함. 처음으로 엉덩이 뻐근(!)
어제 LSD(long slow distance) 로 과부하 주고, 오늘 컨디션 체크하는데,
몸 잘 풀고, 반신욕까지 하고 푹 쉬어서 그런지, 개운했다. 그 동안은 달리기 하고 나면, 종아리랑 발만 아팠는데, 오늘은 엉덩이도 아파서 와아! 나 어제 엉덩이 근육 쓰고 달렸나보다. 뿌듯했지.
어제는 제주 종합운동장 트렉 달리기 했고, 두세 달 전 동생이 처음 달리기 봐준 장소였어서 그동안 는 것이 눈에 보였다.
두 세바퀴 뛰고 다리에 쥐난다고 쉬다가 두 세바퀴 더 뛰었는데, 어제는 스무바퀴도 넘게 뛰었다.
트레일 러닝은 10키로 넘게 두 번 (답사 한 번, 대회 한 번) 뛰었지만, 중간에 멈추기도 하고 (병목), 오르막길은 걷게 되어 쉼없이 달리기는 아닌데, 어제는 처음으로 10키로 안 쉬고 달렸다.
컨디션도 별로고, 두 시간 달리기 못 할 것 같은데, 안 될 것 같은데, 뛰기 시작했고,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130대 심박 달리기(존2 달리기), 저강도 달리기, 동생이 옆에서 두시간 내내 오십번도 더 심박수, 심박수 계속 체크하면서 페이스 메이트 해줘서 저
처음으로 저강도 달리기 성공했다. 평균심박 138
요령은 처음 달릴때부터 130대 유지해야 하는데, 나는 달리다가 (149후반 150 후반) 속도 늦추니깐 심박이 안 떨어져서 걸어도 140대였던거. 완전히 멈추고 3분쯤 지나면 30 정도 떨어지는데, 운동인들은 멈추면 바로 떨어진대. 동생만 봐도 그렇다. 그러니, 처음부터 속도 아주 천천히 뛰어야 하고, 케이던스는 170 목표. 이거도 나는 140 후반에서 시작하면서 170 말이 되냐. 했는데, 지금은 160 후반에서 170 초반 뛰고 있다.
5-6키로 달리기 할 때, 처음엔 힘들어 죽겠다 구간 지나면 좀 뛸만 하네. 상태 되는데, 어제처럼 달리는건 하루 종일도 달릴 수 있을 것 같았다.
지난 두 달간 그래도 월 100키로씩은 뛰었는데, 진짜 헛 뛰었네 싶었던 참에 어제 마라닉 유튜브에 80 저강도 20 고강도 운동에 관한 책 소개해주면서, 자기가 그동안 중강도로 4-5년 뛴게 뭔가 싶었다는거 봤다.
초보든 숙련된 러너든 중강도 달리기 하는 이유는 다양한데, 다들 중강도- 고강도 하고 있다는거.
어제를 기점으로 이제 평일은 저강도 130대 심박으로 한시간 달리기, 그리고, 일주일에 하루는 거리/시간으로 과부화. 다음 주 목표는 12키로 달리기다.
지난 트런 후 컨디션 어땠냐고 물어보는데, 괜찮았던 것 같은데, 말하고 보니, 기록을 좀 해놔야겠다 싶다.
안그래도 달리기 일기 계속 쓰고 싶었는데, 어디다 쓰지, 일기장 더 늘리기 싫은데, 생각만 계속 하던 차였다.
매번 이렇게 길게 쓰지는 않겠지만, 간단하게 기록과 컨디션과 느낀점 써둬야지. 기록은 구글시트에 따로 하고 있다.
어제 달리는 사람들 보니 멋졌다. 일요일 이른 아침, 달리기 하고, 남은 일요일 보내러 가겠지. 수천, 수만 걸음을 한 발, 한 발 번갈아 내딛으며 앞으로 나가고, 다시 출발점으로 돌아오는 행위를 반복하는 사람들.
슬로러닝 유튜브도 몇 개 더 봤는데, 댓글들 중에 인상적인 것이 달리기의 기쁨을 알게 되었다는 것. 내가 어제 딱 그마음이었어서. 식단 기록하는 식단방에도 달리기 기록 계속 올리고, 슬로러닝 예찬 했더니, 한 분이 오늘 점심때 달리고, 딱 그 이야기 해서, 순간 달리기방이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