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네 살의 인턴십 - 프랑스의 자유학기제를 다룬 도서 반올림 12
마리 오드 뮈라이유 지음, 김주열 옮김 / 바람의아이들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의 주인공 루이의 모습은 누군가의 눈치를 보는 듯했다. 무엇에 대한 경계인걸까? 루이의 걱정스런 모습을 보고 책을 펼쳤다.  동화책이나 소설책이나 책속에 이야기가 있고 사건이 있는 글을 읽으면 나오는 이들의 모습이 보이고 내용들은 드라마같이 혹은 영화를 보는 듯한 착각에 빠지곤 한다. 대부분 책을 다 읽어가면서 주인공을 응원하게되고 주인공과 함께하는 가족이나 친구들 그리고 학교 선생님들도 모두 루이를 응원해주길 바라면서 나또한 응원했다.  열네 살이면 우리나라의 나이로 열다섯이 된다. 프랑스를 배경으로 시작되는데 프랑스에서는 중학교 졸업반들의 대부분 학생들이 직업 현장에서 일주일간 인턴십을 해야 한다. 처음 인턴십이라고해서 그 나이에 시작되는 사춘기를 다룬 이야기로 알았다. 하지만 사회인의 모습을 미리 경험해보는 직장의 생활 인턴십을 배우는 것을 알았다. 루이는 남자이지만 외할머니께서 권해준 미용실 보조를 하게된다.  나의 친정언니도 미용실학원에서 수업후 자격증을 따고 대회에서 상장도 따고는 결혼후 미용실을 차렸었다. 언니는 루이처럼 머리컷트를 잘 했었다. 나에겐 언니가 남긴 가위가 두 개가 있다.  일찍 지병으로 죽은 언니는 아마도 하늘나라에서도 멋진 컷트 솜씨를 뽐내고 있는 지 모르겠다. 루이의 아빠는 외과의사로 미용실의 인턴십을 못마땅해 한다.  

손님의 옷을 받아들고 보조하는 보조미용사의 보조를 하면서 머리컷트하는 모습을 흉내내보기도 하면서 자신에게 미용 일이 소질이 있다는 것을 알게된다.  미용실의 원장의 안타까운 과거를 알게되고 다른 미용사들의 생활을 엿보면서 자신도 그곳에 속해진다. 그러면서 미용실의 생활에 푹 빠져들면서 학교를 두주 빠지면서 미용실에 나가게된다.  학교에 더 나가지 않으면 졸업을 못하게될 위기에 처하고 마이테미용실을 대표하여 피피가 학교 교장선생님을 찾아와서 루이가 미용실에서 얼마나 착한 학생인지를 이야기하면서 재능이 많다고 알려준다. 그리고 교장선생님과 계약서를 쓰게된다. 중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학교도 마치고 수요일과 토요일 오후에 미용 실습을 한다는 것이다. 나중에 루이의 아버지가 모든 것을 알게되고 미용실에서 루이를 데리고 나와서는 다투다가 루이를 때리게되고 쓰러진 루이는 이도 부러지고 병원에 입원을하게된다. 그리고 가족모두가 완강한 아버지를 무서워한다는 것도 알게되고 모든 것을 제대로 알게된 루이아버지는 미용학교에 루이를 보내게된다.

루이는 아이디어를 내면서 자기발전을 하게된다.  아버지와 길거리에서 대화한 후 10년이 흐르고 루이의 아버지는 루이의 든든한 후원자가 되어있었고 루이는 아버지에게서 받은 고액의 수표로 필립과 동업을 하게되고 마이테 미용실을 인수하고 현대식으로 미용실 개조를 한다.  미용실은 24시간 문을 여는 최초의 미용실이 되고 미용실은 어린이들에겐 그림책이 있는 공간을 주고 비디오게임과 DVD 플레이어를 갖춘 청소년실과 휴게실등의 마련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게된다. 루이가 처음 인턴십을 하게될 때의 미용실의 가족들을 하나하나 찾아내고 모두에게 일거리를 주게된다. 크게 확장한 미용실은 이름도 [루이와 피피]로 바꾸게되고 프랑스 전국에 450개의 체인점을 가지게된다. 그리고 루이는 '루이 페리에'라는 남성용 모발 제품회사도 세웠다.  지금 루이는 몇 살의 나이일까? 대학교수인 자신의 여자친구인 아네스와는 결혼을 했을까?  가끔씩 보는 유선방송의 외국프로그램속의 마술같은 솜씨로 어떤 사람의 어떤형태의 헤어라도 눈깜작할 사이에 변신시키는 헤어디자인의 모습이 루이같다고 생각되었다.  학교에 다니면서 방황하고 또래들과 몰려다니면서 지내는 우리나라의 청소년 모습과는 사뭇달랐다. 만약 우리나라에도 이런 사회생활의 인턴십을 하는 교육정책이 있다면 사회생활의 편안함과 미래를 위해서 고교시잘부터 입시전쟁에서 머리 아파하는 아이들보다 미리 자신의 미래를 경험하는 청소년들이 더 많이 생기지 않을까? 무조건 미성년자는 하면 안된다는 것만 내세우면서 공부만 하라고 주택가나 버스정류장 앞에는 학원들이 가득하다. 이 책을 정치인들이 본다면 우리나라의 현실이 조금은 기대하는 만큼에 가까이 다가가지지 않을까?  학교에서 교과서 차례에 맞춰서 수업하고 시험치고 다시 학원다니고 하루 24시간이 모자라는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이 불쌍하고 안타깝다. 난 얼마전 학교에서 보내온 설문지아래에 건의 사항이 있는 칸에 적은 글을 떠올렸다. "중간고사나 학기말고사 등 학교 시험을 없애주세요."  난 내 아이들이 열네 살이 될 즈음에 지금보다는 바뀐 자유가 있고 자신의 미래를 미리 경험해보는 그런 수업이 있었으면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