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의 변화 - 상
산도르 마라이 지음, 김인순 옮김 / 솔출판사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산도르 마라이의 소설에는 세 명의 뒤얽힌 인연이 등장한다. 페터와 그의 첫 번째 부인 일롱카, 두 번째 부인 유디트. 세 사람은 흔하디흔한 삼각관계를 꾸렸다. 일롱카는 페터를 사랑하고, 페터는 유디트를 사랑하고 유디트는? 제3의 인물을 사랑했는지 어쨌는지는 알 길이 없다. 그녀는 사랑해, 당신밖에 없어, 라고 침대에 누운 남자에게 끊임없이 말하지만 알게 뭔가. 그녀의 영악한 머리가 사랑을 하는지, 사랑을 한다고 말할 뿐인지. 이렇게 말하면서 약간의 오해가 있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유디트가 몹쓸 여자겠구나, 라고 지레 생각하는 건 옳지 않다. 실제로 소설을 읽는 과정에서 유디트가 얄미워진다면 어쩔 도리가 없겠지만. 어쨌든 유디트만큼 직설적으로 이야기를 늘어놓는 사람은 없다. 그녀 덕분에 소설은 완결성을 얻었고, 명확한 갈등구조를 만들었다. 무엇을 말하든간에 직설적인 화법이 가장 선명하게 다가오는 법이다.


삼각관계를 부지런히 꾸린 이들은 서로 다른 말을 한다. (일롱카가 말하길) 세상에 완벽하게 들어맞는 관계는 없어. (페터가 말하길) 그건 거짓이야. 일롱카에게 맞는 사람은 나였어. (유디트가 말하길) 나는 페터를 사랑한 적이 없지만 그는 내게 맞는 사람이었어. (하지만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난 후 나는) 아이러니컬하게도 이들이 공통으로 사용한 말, 서로 맞는다는 표현은 도대체 무슨 뜻일까. 일롱카는 실연한 자신을 위로한 것이며, 페터는 고독을 극복하지 못한 패배를 변명한 것이며, 유디트는 욕망(더 정확하게는 물질에 대한)을 채워줄 수 있는 화수분을 일컬었던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왜 이들은 끌어당기고 밀어내고 빼앗으려들까. 하긴 이런 의문을 던지는 내가 우스워졌다. 그러는 너는 어느 쪽이냐. 끌어당기는? 밀어내는? 빼앗으려드는? 하지만 끌어당기는 것과 빼앗는 건 어떤 차이가 있을까. 물경 밀어내는 것 역시 빼앗는 것일 수 있을 테니.


하지만 사랑의 관계가 늘 빼앗고 훔치고 챙기는 것은 아니다. 결국 신분이 다른 세 사람은 모두 사랑하는 일에 실패하고 말았지만 그것이 빼앗기고 빼앗았기 때문은 아니다. 그들은 남이 만들어놓은 함정(신분)을 뛰어넘지 못했고, 자기가 만들어놓은 함정(피해의식이라고 말해도 될까)에서 허우적거렸다. 사실 자기 손으로 만든 함정에 들어앉는 일만큼 쉬운 일도 없다. 그곳은, 문득 정신을 차리고 보니 와 있었어, 라고 흔히들 말하는 곳이다. 익숙한 발길이 닫는 그곳에 웅크리면 변명할 여지도 만들어진다. (대개 피해의식은 이렇게 운을 뗀다. 내가 왜 이러는 줄 알어?) 그들은 하나같이 제3자, 사실은 아무짝에도 자기 인생에 도움이 안 되는 인생들에게 그 함정에 관한 이야기를 늘어놓는다. 유디트의 경우는 더욱 기막히다. 그녀는 마지막 하나 남은 패물을 침대에 나란히 누운 남자에게 털어준다. 난 이제 빈털터리야, 라고 말하는데 글쎄 그녀의 말을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 라는 생각마저 들었다. 하지만 그녀는 일부러 털리는지도 모른다. 엄한 데서 빼앗은 건 엉뚱한 데로 빼앗겨야 후련할지도.

 

이 소설의 제목이 '결혼의 변화'인 만큼, 소설은 나의 결혼이 어떤 꼴(절대 비하하는 말은 아니지만 그렇게 들리기도 하네)로 변했는지 되돌아보게 한다. 소설은 그들의 사랑 이야기에 걸맞은 부제를 달았다. 열정적 사랑, 용기 없는 사랑, 파괴적 사랑. 하지만 유형별로 그렇다는 얘기다. 사람은 열정적으로 달리기도 하고, 용기 없이 주춤거리기도, 간혹 부셔버리는 파괴행위를 하기도 한다. 상대를 가려서 구사하기도 하고, 어쩌면 단 한 사람에게 세 가지 유형의 사랑을 휘두르기도 한다. 그리고 나와 전혀 관계가 없거나 없을 성싶은 사람을 붙잡고 구구절절하게 풀어놓기도 한다.

 

소설 속에서 나올 즈음, 기묘해진 사랑의 유형을 짚어본다. 하지만 이들의 모질어진 삶이, 단순히 사랑만의 유형으로 나눌 일인가 의문이 든다. 유형을 짚다니, 이처럼 허황된 일이 있을까. 알다시피, 사랑은 주변에 널린 수많은 요소들을 주워들어 변화무쌍해지지 않던가. 어쨌거나 그들은 사랑이라 말하는 옷을 입고 살았다. 지구상의 작은 나라가 어느 날 소멸되거나 말거나 남편의 옛애인을 찾아 미친듯이 달려가는 여자가 있었고, "남자들은 여자들과는 본질적으로 다르지"라고 말하면서도 옛애인을 찾아 자기의 모든 것을 버리는 남자가 있었고, 가진 자의 삶을 증오하면서도 똑같이 그 자리에 들어앉아 죄 빼앗으려 했던 여자가 있었다. 그리고 인과관계가 전혀 없이 몸통만 뚝 떨어진 간절함이, 소설의 끝에 남았다. 사랑은 원래 그러하거든, 이라고 말할 수 있었으면, 하는.

 

 


댓글(7)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haire 2006-12-12 18: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도르 마라이의 '열정'을 인상깊게 읽었지만, 그 후론 그의 소설을 한 편도 안 읽었네요. 꽤 많이 나왔고, 몇 번은 읽고 싶었던 적도 있었지만, 그리 간절하지는 않았던 모양이에요. '열정'에서도 그는 삼각관계를 얘기하던데, 이 책에서도 그 틀은 유사한가 봐요. 마라이에겐 숭고하다 싶을 정도로 인간의 밑바닥에 서린 감정들을 서슬퍼럴 정도로 신랄하게 묘사하는 기술이 있는 거 같아요. 사랑이란 게 정형화될 수 없는 것이기에 그는 계속해서 그 관계에 대해 말하는 거겠지요. 이, 소설, 암튼, 또 일단은 보관함에..^^(이기호 소설도 이안 님꺼 보고 냉큼 샀건만, 게을러서 아직 표지도 못 넘겨봤거든요. 히~)

2006-12-12 13:4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6-12-12 17: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내가없는 이 안 2006-12-13 03: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카이레님, 산도르 마라이를 저도 꽤 좋아는 하지만, 이상하게도 마음먹고 읽게 돼요. 사실은, 이 소설도 몇달 전에 사놓고 지금에서야 읽었으니까요. 아무래도 부담을 느끼는 작가가 아닐까 싶어요. 틈틈이 읽기보다는 통째로 확 읽어버리고 싶은, 뭐 그런. ^^ 그러고 보니까 이 작가는 삼각구도를 많이 등장시키네요. 열정도 이혼전야도 이 소설도.
이 사람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이 조금 섬뜩하게 와닿을 때가 있어요. 이를테면 표출되는 감정의 시작은 엉뚱하고도 기막힌 꼬투리에서 잡아낼 때요. 왜 그럴 때 있잖아요, 난 저 사람이 왠지 싫어, 라고 말하지만 사실 끄집어내다 보면, 그 사람의 나보다 키가 커서 내려다보는 느낌이거든, 이 딸려나오는 거. 산도르 마라이는 그런 미세한 이유를 핀셋으로 잡아내는 것 같거든요.
근데 저랑 비슷하세요. 책을 묵혔다가 읽는 거. ^^

속삭인님, 이거 참. 서재로 갈게요. ^^

속삭인님, 이 소설 읽을 때 저도 약간의 냉전이 있었어요. 어쩌면 일부러 결혼의 변화를 꺼내들었을지도 모르죠. 단순하게도. 이 소설 그런 거 보면 참 재밌어요. 냉전을 조금 냉정하게 들여다보게 하지만 포기할 건 포기하고 얻을 건 얻게 하는, 꽤 실용적인 코드가 있거든요. ^^

icaru 2006-12-13 1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문학에서는 얻기가 꽤 힘들다는 그 실용적인 코드!
음.. 읽어야겠어요 ^^
엄마 손길이 조금 부족하게 느껴지는 찬이도 그 와중에 무럭무럭 크고 있고,,, 근데 저만 왔다갔다 중간에 정신 없네요 ^^;;;

sandcat 2006-12-13 1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이 좋다는 리뷰는 많이 봤는데 선뜻 손이 가질 않아요. 제목들이 죄다 하수상해서 겁이 나는 게죠. 언젠가는 읽겠다고 한다면 무슨 책을 먼저 볼까요, 추천해 주시면 좋겠어요.

내가없는 이 안 2006-12-13 17: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카루님, 실용적인 코드라는 게 뭐 받아들이기 나름. 저야 엄청 공감하고 타산지석(?)으로도 삼고 혼자서 결혼지침서인 양 읽었지만 제가 좀 오버하잖아요. 클클. 나중에 저한테 그릇된 정보를 흘렸다고 눈흘기지 마세요. ^^ 찬이 얼굴 함 보여줘봐요. 얼마나 무럭무럭 열심히 컸는지.

샌드캣님, 이 작가의 작품은 그럭저럭 몇 작품 빼고 읽긴 했는데 워낙 처음에 접한 열정이 너무 인상적이라서요. 열정과 유언은 그 느낌이 비슷하고요, 이혼전야는 제목에 끌려서 기대를 많이 했지만 조금 못 미쳤더랬죠. 혹자는 결혼의 변화를 그의 작품 중에서 가장 먼저 꼽기도 하던데요, 저도 이 작품 대단하다 싶어요. 마지막 주인공, 하녀로 살았다가 귀족의 아내로 올라선 유디트의 이야기가 워낙 강렬해서 말이죠.
그런데 가온이 말이죠, 갈수록 장난꾸러기 기질이 다분해보여요. 표정만 봐도 알겠는 거 있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