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음식이 면역력을 떨어뜨려요

‘우리 아이는 툭하면 아파서 병원에 가요.’ 잔병치레로 시달리는 아이를 보는 엄마의 마음은 애달프기만 하다. 어떻게 하면 우리 아이가 잔병치레 없이 건강하게 자랄까? 아이의 건강을 해치는 가장 큰 문제는 지금 우리 식탁에 가득한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음식들. 이제 식탁을 바꾸어야 한다. 면역력을 길러주는 음식과 떨어뜨리는 음식.

이런 음식이 면역력을 떨어뜨려요

◈ 가공 이유식
태어난 지 3개월이 되면, 엄마들은 아이에게 이유식을 먹인다. 그것도 슈퍼에서 제일 좋다는 것만 골라서. 바로 이 비싼 이유식이 아이의 면역력을 떨어뜨린다는 것은 생각지도 못한다.

이유식 단계에서 아이들은 다양한 음식의 맛을 경험하고, 음식을 씹는 법과 삼키는 법을 배우게 된다. 이 과정을 제대로 거치지 않으면 편식이 심해지거나 음식을 먹더라도 제대로 흡수시키지 못하게 된다. 음식을 씹지 않고 삼키는 아이, 단맛 나는 인스턴트 음식만을 좋아하는 아이들의 대부분은 슈퍼에서 파는 이유식을 먹고 자랐다.

판매되는 이유식이 안 좋은 이유는 여러 가지다. 먼저 판매되는 이유식은 아이들이 인스턴트 음식을 좋아하게 만든다. 그 이유는 설탕이 24%나 들어 있어 상대적으로 달지 않은 밥이나 반찬보다는 달콤한 맛이 감도는 인스턴트 음식을 더 좋아할 수밖에 없다.

또 이유식을 먹일 때 젖병에 넣어 빨아먹도록 한다는 것도 문제다. 이 시기에 씹어 삼키는 것을 연습하지 않으면 꼭 씹어서 삼켜야 하는 밥과 반찬을 기피하게 된다. 또 먹더라도 제대로 소화 흡수가 되지 않는다.

조금 귀찮더라도 엄마가 다양한 음식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이유식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 이때 연령에 따라 씹어서 삼킬 수 있는 이유식을 먹이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 무가당 주스·떠먹는 요구르트

설탕은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식품 첨가물이다. 하루에 100∼150g의 설탕을 먹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마크로파지’라고 하는 면역 세포가 5시간 동안 꼼짝하지 않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 설탕은 소화 없이 섭취되는 단순당으로 이를 많이 먹게 되면 혈당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된다. 혈당이 떨어지면 뇌의 움직임이 불안정하게 돼, 초조·산만·집중력 저하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인스턴트 식품에는 이런 설탕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우리 아이들이 즐겨 마시는 청량음료엔 12∼13%, 아이스크림엔 22∼23%의 설탕이 들어 있다. 게다가 설탕을 넣지 않았다고 선전하는 무가당 주스, 요구르트도 안전하지 않다. 무가당·무설탕 음료엔 설탕 대신 액상 과당이 들어 있는데, 액상 과당도 단순 당질로 설탕과 별반 다를 게 없기 때문이다.

◈ 식물성 마가린
포화지방산이 함유된 동물성 기름이 각종 성인병의 주범으로 여겨지면서 각종 인스턴트 음식엔 ‘순 식물성 기름’이라는 문구가 무슨 상표인 양 붙어 있게 되었다. 그 대표가 바로 마가린. 하지만 마가린은 원재료만 식물성이지 포화지방산과 다를 바 없다. 식물의 불포화지방이 제조 과정에서 수소와 합쳐져 포화지방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라면과 과자 등 유탕 처리 식품에 사용된 기름도 마찬가지. 보통 유탕 처리에 사용되는 기름은 식물성 팜유로, 말이 식물성이지 상온에서는 고체 상태인 포화지방산이다. 결국 식물성 팜유는 동물성 기름과 다를 바 없다.

◈ 식용유·참기름·들기름
요리에는 식용유·참기름·들기름 등 다양한 기름이 첨가된다. 많은 사람들이 이들 기름이 식물성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안심하고 사용한다. 하지만 식물성 기름에도 약점은 있다. 식물성의 불포화지방산은 유통·보관 과정에서 쉽게 산화되어 ‘괴산화지질’이라는 발암물질을 만든다.

따라서 식물성 기름을 사용할 때는 산화를 방지하는 여러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먼저 기름을 살 때 보관 기간이 길지 않도록 작은 용기를 구입한다. 또 구입 후에는 천연 토코페롤(디알파토코페롤)을 넣어둔다. 천연 토코페롤은 지용성 비타민으로 기름에 녹아 지방의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열에 강해 맛있는 튀김을 할 수 있는 온도인 180℃에서도 파괴되지 않아, 기름을 사용해 만든 음식이 산화되는 것을 막는 효과도 볼 수 있다.

기름 1.8ℓ한 병에 천연 토코페롤 1000 I.U 한 개 정도를 터뜨려서 넣으면 충분하다. 또 기름을 보관할 때는 반드시 마개를 덮어두고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 포테이토칩
많은 엄마들이 아이들 간식으로 포테이토칩을 만들어주거나 사준다. 감자가 알칼리성 식품으로 몸에 좋으니 포테이토칩도 당연히 그럴 거라고 생각해서다. 하지만 실상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 포테이토칩이나 프렌치 포테이토는 조리 과정에서 감자가 아닌 전혀 다른 식품이 된다.

감자는 전분질 식품으로 1%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다. 하지만 프렌치 포테이토는 지방을 20% 함유하고 있고, 포테이토칩은 40% 정도의 지방을 함유한다. 또 감자 삶은 것은 100g당 72kcal를 내는 반면 프렌치 포테이토는 324kcal, 포테이토칩은 528kcal를 낸다. 감자에 함유된 비타민도 튀기는 과정에서 완전히 상실된다.

때문에 감자의 영양가를 아이에게 먹이고 싶다면 기름에 튀기는 포테이토칩이나 프렌치 포테이토가 아닌 찌거나 굽는 다른 조리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옥수수 가공식품
옥수수를 완전식품으로 착각하고 있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식빵을 살 때도, 콘플레이크를 살 때도 일부러 옥수수로 만들어진 것을 산다. 문제는 이를 보조 식품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주식으로 하는 데 있다.

주식으로 하기에 옥수수는 필수 아미노산이 부족하다. 쌀의 단백가가 75인데 반해 옥수수의 단백가는 54밖에 되지 않는다. 또 옥수수에는 비타민 B3를 만드는 트리토판이 함유되어 있지 않아, 주식으로 할 경우 비타민 B3 결핍증인 만성 설사, 피곤, 어지럼증, 만성 두통, 수족 냉증 등을 불러올 위험도 있다.

◈ 콜라
콜라가 몸에 안 좋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이 콜라를 마실 때 막는 부모들은 별로 없다. 피자를 먹을 때는 아예 콜라를 피처로 시켜주기도 한다. 아직까지도 콜라의 유해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결과다.

무심코 마시는 콜라의 문제는 보기보다 심각하다. 먼저 콜라에는 50㎎의 카페인이 들어 있다. 같은 양의 커피에 들어 있는 카페인은 60㎎. 하지만 콜라는 커피처럼 한 잔만 마시는 것이 아니라 몇 잔이고 계속 마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결국 아이들은 커피보다 더 많은 카페인을 콜라를 통해 섭취하게 된다. 카페인은 공격형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여, 아이들을 산만하고 공격적인 성향으로 만들어버린다. 또 콜라 안에 담긴 설탕도 아이에게 안 좋은 영향을 끼친다. 콜라에는 설탕이 13%나 들어 있다. 콜라 200ml를 먹게 되는 경우 26g의 설탕을 먹게 되는 것이다. 단순 당질인 설탕의 과다 복용은 면역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뇌 대사를 혼동시켜, 아이들의 정서를 불안하게 한다.

콜라에 들어 있는 인산염도 문제다. 인산염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몸에 필요한 칼슘이 녹아내린다. 콜라를 많이 먹으면 뼈에 안 좋다는 이야기는 여기서 나온 것이다.

기획·김수근 기자, 최영선(프리랜서)
도움말·유태종(식품영양학 박사), 김수현(영양과 건강 약국 약사) 

 

출처  모유클릭닉 http://www.momilk.co.kr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arrysky 2004-06-14 16: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흑, 다 제가 좋아하는 거예요.. 요새도 병에 든 과일 이유식 같은 거 몰래 사먹는데.. ㅠ__ㅠ 글구 포테이토칩과 콜라 없이 무슨 재미로 이 세상을.. 게다가 아이스크림~~!!! 어흑..

밀키웨이 2004-06-14 16: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뭐먹고 살지 막막~~합니다, 저도 -_-

다연엉가 2004-06-14 17: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먹는것이 겁나는 세상이여....지는 그냥 감자나 한박스 사다놓았습니다. 아이들 간식으로 이젠 한동안 감자입니다.
뭘 먹여야 할지.....

두심이 2004-06-14 23: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얼마전 방송에서 아이들의 미각에 대한 검사를 했는데..초등학교 다니는 아이들은 완전히 미각을 잃었다는 결과를 보고 너무 놀랐습니다. 인스턴트음식에, 학교앞에서 간식을 하는 아이들은 단것에 대해 너무 노출되어있더군요.. 놀랐습니다. 그정도일줄은..올려주신 글이 많은 부모들에게 참고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