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쪽범죄물을 좋아하는 이유는 사람이 죽기 때문이 아니라 크건 작건 어떤 사건을 둘러싼 사람들의 반응을 즐기기 때문이라는 설명은 너무 길고 구차한데다 상대가 별 관심도 없는 경우가 많아 생략하기 일쑤다. 살인사건보다 살인을 저지른 인간의 심리가 궁금하잖아요, 하는 설명은 어디까지나 같은 취향을 가진 사람들하고나 할 수 있는 얘기다.13쪽‘악‘이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것 역시 스릴러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가 된다.ㆍㆍ내가 스릴러를 좋아하는 이유는 바로 그것이다. 스릴러는 다른 수많은 창작물과 마찬가지로 ‘세상‘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ㆍㆍ사회의 현실을 소설적으로 파고들면 그 끝에 범죄소설이 있다.ㅡ일목요연하게 정리를 했다.스릴러의 정의부터 시대적으로 변한 스릴러의 형식들(남성중심의 스릴러에서 여성이 주인공인 스릴러까지 변모했단다.)에서 픽션과 논픽션의 차이를 설명하면서 현실의 살인사건을 추리소설에 비유해 생각하는 사람들을 보고 논픽션인 스릴러를 소개하며 스릴러가 현실의 피난처로 근사하게 기능해온 시간에 빚진 만큼, 현실이 스릴러 뒤로 숨지 않게 하라고 경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