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 있는 나날 민음사 모던 클래식 34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송은경 옮김 / 민음사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앞부분은 여행의 낯설음이나, 커튼 사이의 햇살, 혹은 연못에 앉아 있으면서 불쑥 떠오른 예전 일에서 마무리 짓지 못한 결론에 다다름에서 여행이 주는 의미를 따라가고 있었다.

하지만 맨끄트머리에서 ‘품위‘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그 ‘품위‘라는 단어가 떠나지 않았는데, 사건과 연관지어 생각할때 갑갑증 유발하는 책으로 결론 내렸다.

주인공은 자신을 헌신하여 평생을 바쳐 일한 품위있는 집사라고 자부한다. 자신이 헌신해도 될만큼 존경하는 주인을 만났다고 생각하고 한시의 허트림도 없이 행동한다. 하지만 그 주인은 독일에게 이용당해 나치를 지지하게 돼 국민들에게 모욕을 당하고 마는데, 그 길이 잘못된 길이라는 것을 알고도 집사는 주인에게 의견을 내세우는것은 집사의 역할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묵인했다.
그리고 국민들에게 손가락질 받는 주인을 두고 거기에 자신은 일말의 책임은 없다고 얘기한다. 주인의 몫이지 집사의 몫은 아니라고.

그래서 갑갑증을 유발한다.
품위를 그만큼 내세우는 집사지만 시대가 바껴 사람들이 그 전 주인에 대해 물을때 모른다고 일관하는 모습에서 의아했지만, 결국 자신의 품위는 떨어뜨리기 싫다는데 있지않나 싶다.

정말 품위가 무엇인지, 겉으로 보이는 품위만을 중시하는 집사로 남게 된 것이다.
악을 방관하는 악에 대해 악이 아니라 할것인지 악이라고 비난할 수 있을지는 언제나 고민거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