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 개의 찬란한 태양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왕은철 옮김 / 현대문학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번엔 아프가니스탄에서 내전을 겪으며 떠나지 않은 여성의 모습을 그려낸 이야기다.
연을쫓는아이 읽으면서도 아프간이라는 나라가 궁금해서 찾아보기는 했지만 이번 책을 읽으면서는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애썼다.
히잡과 부르카가 뭐가 다른지 찾아보다가 이들 내전의 이야기 이슬람의 이야기까지 얕지만 넓게 읽어보았다.
전쟁 중 여성의 모습은 우리의 1900년대 중반 모습 같았다. 하지만 이 나라는 190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로 넘어와 지금 현재까지도 남녀 차별의 중심에 있다는게 큰 차이다. 시간이 어쩜 이 나라에서만 멈춘 것 같다.
예전 뉴스에서 선교활동 가서 피랍이 되어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했을때 위험한 나라에 선교활동을 간 이들에게 차가운 시선을 보낸 것도 사실이긴 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니 이 아프간이라는 나라가 궁금해졌다. 꼭 한 번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예전 정유정 작가님의 책을 읽고 히말라야에 가고싶다는 막연한 생각에서 박노해 작가님, 이현석 작가님의 책들을 읽으면서 히말라야에 대한 여행이 고착화 되었듯 이 나라도 꼭 한 번 가고싶다.
예전에 친구와 그런 얘기를 했다.
친구는 여행을 가면 우리가 얘기하는 선진국을 가고 싶어하지만, 동생은 우리보다 경제발전이 늦은 나라를 가고 싶어한다고.
생각해 보면 나도 후자가 아닐까싶네.
ㅡp.524ㅡ525
그녀는 그가 한 말의 의미를 안다. 어쩌면 이것은 필요한 것인지 모른다. 어쩌면 부시의 폭탄이 더 이상 떨어지지 않게 되면 희망이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아버지와 어머니에게 일어났던 일이 아프가니스탄에 있는 누군가에게 일어나고 있고, 아무것도 모르는 아프간 아이들 자신처럼 로켓탄에 의해 고아가 되는 상황인데 그런 말을 할 수는 없다. 라일라는 도저히 그런 말을 할 수는 없다. 좋아하는 건 어렵다. 그건 위선적이고 사악해 보인다.
ᆞ모든 전쟁의 얼굴에 희망이 있을 수 있을까? 내전이든 독재를 없애기 위한 목적이든 그 로켓탄을 맞는 것은 전쟁을 일으킨 자들이 아니라 진정으로 희망을 원하는 국민들 뿐인데.
ㅡp.524ㅡ525 그녀는 그가 한 말의 의미를 안다. 어쩌면 이것은 필요한 것인지 모른다. 어쩌면 부시의 폭탄이 더 이상 떨어지지 않게 되면 희망이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아버지와 어머니에게 일어났던 일이 아프가니스탄에 있는 누군가에게 일어나고 있고, 아무것도 모르는 아프간 아이들 자신처럼 로켓탄에 의해 고아가 되는 상황인데 그런 말을 할 수는 없다. 라일라는 도저히 그런 말을 할 수는 없다. 좋아하는 건 어렵다. 그건 위선적이고 사악해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