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을 쫓는 아이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왕은철 옮김 / 현대문학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글의 힘, 글의 힘이라는 말을 한다.
나는 이 글의 힘이라는 말을 문학 작품에서 느끼는 경우가 왕왕있다. 가령 <한국이 싫어서>를 읽고는 지금의 20대의 모습을 볼 수 있고 먹먹함을 느낀다. 10대에서 20대로 넘어갈때 그 꿈 많은 포부들이 미지근한 모습으로 남아 있거나 식어버린 모습에 마음이 시리다.
이 처럼 이 책을 읽고는 나는 세상의 단면만을 보면서 산 것 같아 미안해졌다.
아프간 내전은 말 그대로 먼 나라 이야기, 나와 상관없는 이야기라 귀 기울인적이 한 번도 없었다. 더구나 아프리카 아이들의 영양실조에만 눈길을 끌었지 전쟁에서 고아로 남겨진 아이들에 대한 상처에는 눈길을 돌린적이 없었던 것 같다. 북한의 아이들이 안타깝다면 아프간의 아이들도 똑같이 안타까워져야겠지.

또한 이 책은 아프간을 알리는 책이라는 구실을 통해 마치 이 작가가 독립운동가 같다는 생각을 했다. 일제시대때 우리나라를 알리기 위해 글을 썼던 문단가들이 생각나는 순간이다. 이래서 이 책은 대단하다라는 단어가 꾸준히 떠오른다.

나에게 역사의 단면을 더 알고싶게 만들어 준 책이다. 아프간의 역사에 대해 더 궁금해졌다. 이렇게 해서 또 다른 책이 가지쳐지는 순간이다.

ㅡp.532
나는 사진을 제자리에 놓았다. 그때 나는 문득, 바바가 마음 속으로 하산을 진짜 아들로 생각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고통스럽지 않다는 걸 깨달았다. 소랍의 방문을 닫으며, 용서는 그렇게 싹트는 것일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용서는 화려한 깨달음이 아니라 고통이자기 물건들을 챙기고 짐을 꾸려 한밤중에 예고없이 빠져나가는 것과 함께 시작되는 것일지 모른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