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얼음 땡! ㅣ 웅진 우리그림책 28
강풀 글.그림 / 웅진주니어 / 2014년 7월
평점 :
`엄마 어렸을 적에` 가 생각나는 책
무한도전의 박명수가 생각나기도 하고.
아이와 책을 읽는데
˝엄마, 공터가 뭐야?˝
이래서 씁쓸함을 느끼게 됐었지.
조그만 공터가 있을라치면 주차장이나 건물이 올라가니, 아이들의 약속 하지 않은 약속장소인 공터가 없어져서 안타까울뿐이다.
이어령 선생님이 요즘은 숨을 공간이 없다고 안타까워 하셨다. 집에서조차 실용성을 따져 수납공간을 위해서 빈공간을 모두 써버려 아이들이 숨박꼭질 할 공간마저 점 점 사라져버리고 있다시면서.
규격화되어가는 삶에서 여유의 미덕이 없어짐에 안타까움까지 연결되는 내요인듯 했다.
이 책은 그런 여유의 미덕, 인정을 느끼게 해주는 책이다.
ㅡ강풀의 따뜻한 그림과 글이 너무 잘 어울린다.
어린강풀?이 주인공인 느낌^^
아빠 어렸을 적에는 말이야.
아이는 학교가 끝나면 책가방만 던져 놓고 곧장 공터로 뛰어나갔어. ᆞ ᆞ 우리는 그 곳에서 매일 친구들과 뛰어놀았어. 공티에 나가면 만나자고 약속하지 않아도 늘 친구들이 있었거든.
딱지치기, 구슬치기, 공기놀이, 비석치기ᆢᆢᆢ. 친구들과 모이면 놀 거리가 엄청 많았어. 고무공 하나와 바람 빠진 축구공, 돌멩이 몇 개만 있어도 우리는 한참을 신나게 놀았지. 친구들만 있으면 아무것도 필요 없었어. "야호! 금 안 밟았다!"
말뚝박기를 할 땐 편을 나눠야 했어. 가위바위보로 편을 나누다 보면 한 명이 남기도 했지. 한 사람 몫을 하기엔 조금 모자라거나 약한 친구였어. 그래도 함께 놀아야 하니까 깍두기라고 부르며 아무 팀에나 끼워 주웠어. 어느 편에서나 깍두기는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이었어. ᆞ ᆞ ᆞ ᆞ ᆞ ᆞ ᆞ ᆞ 아이는 친구들이랑 얼음 땡 놀이를 했어. "자, 시작이다! 잡으러 간다~!" 술래가 아이를 쫓아왔어. 아이는 잡히지 않으려고 골목으로 멀리 도망쳤지. 술래는 끝까지 아이를 따라왔어.
막다른 골목에 다다러서 더 이상 도망칠 곳이 없자, 아이는 잡히기 바로 전에 "얼음!"하고 외쳤지.
술래는 그만 포기하고 다른 친구를 잡으러 골목 밖으로 뛰어나갔어.
`얼음` 하고 외치고 나면 가만히 있어야 해. 누군가 와서 `땡` 해 줘야만 움직일 수 있단다. ᆞ ᆞ 얼마나 시간이 지났을까?
ᆞ
저 멀리서 엄마들이 저녁 먹으라고 부르는 소리가 들렸어. 친구들이 하나둘 대답하더니 공터에서 노는 소리가 점점 사라졌어. ᆞ ᆞ 아이는 이제 그만 집에 가려고 발걸음을 떼려 했어. 그런데 이게 웬일이지?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았어! ᆞ ᆞ 아이는 얼음이 되어 버린 거야! ᆞ ᆞ ᆞ ᆞ ᆞ ᆞ 그때였어. 어두운 골목 바깥 저쪽에서 누군가 다가왔어. 누굴까? 규원일까, 준석일까, 주영이일지도 몰라, 아니면 민철인가?
ᆞ
"헤헤, 여기 있었구나." "어디까지 갔는지 몰라서 한참 찾았잖아." 깍두기였어. 아이는 눈물이 찔끔 나왔어. "친구들이 다 가 버린 줄 알았어."
깍두기가 웃는 얼굴로 아이를 툭 치며 말했어. 땡!
아이는 그제야 얼음에서 풀려났단다. 다음 날도 공터로 놀러 나갔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