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빌 브라이슨 발칙한 유럽산책 - 발칙한 글쟁이의 의외로 훈훈한 여행기 ㅣ 빌 브라이슨 시리즈
빌 브라이슨 지음, 권상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여행책이라는 것은 이래야 된다고 생각한다. 여행지에서의 감상만 전하는 것이 아니라 글로 감성을 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진 한 장 없지만, 상상이 되고 내가 그 거리를 걷기 위해 지금 짐을 싸고 있는 것 같고, 그 기분을 느끼고 있는 그런 것.
정유정작가의 히말라야 환상방황과 더불어 내 친구의 여행담을 듣는것 같은 책.
그 안에서도 진지함도 서려있고, 특정 나라에 대해 궁금함을 느껴 역사적 배경지식을 채워넣고 싶어지는 그런 책.
나도 짐을 싸서 직접 발로 뛰면서 숙소도 찾고, 교통편도 알아보면서 여행하고싶다.
작가가 마지막에 그런것들에 이제는 지쳐서 집에 돌아가고 싶다고 느끼는 것처럼, 나도.
ㅡ여행은 어차피 집으로 향하는 길이니까.
그리고 나도 돌아갈 준비가 되어 있었다. 가족이 보고 싶었고, 내 집의 친숙함이 그리웠다. 매일 먹고 자는 일을 걱정하는 것도 지겨웠고, 기차와 버스도, 낯선 사람들의 세계에 존재하는 것도, 끊임없이 당황하고 길을 잃는 것도, 그리고 무엇보다도 나 자신이라는 사람과의 재미없는 동행이 지겨웠다. 요즘 버스나 기차에 갇혀서 속으로 혼잣말을 중얼대는 내 모습을 보고 벌떡 일어나 자신을 내팽개치고 도망가고픈 충동을 얼마나 많이 느꼈던가? 동시에, 나는 계속 여행을 하고 싶다는 비이성적인 충동을 강하게 느끼기도 했다. 여행에는 계속 나아가고 싶게 만드는, 멈추고 싶지 않게 하는 타당성이 있다. 해협 바로 저편에 아시아가 있다. 지금 내 눈 앞에 보이는 저기가 아시아 대륙이라고 생각하자 경이로웠다. 몇 분이면 아시아 땅을 밟을 수 있다. 돈도 아직 남았다. 그리고 내가 가보지 못한 대륙이 내 눈앞에 펼쳐져 있었다. 그러나 나는 가지 않았다. 대신에 콜라를 한 잔 더 주문하고, 오가는 페리들을 바라보았다. 다른 상황이었다면 아시아로 갔을지도 모른다. 어쨌든 아무래도 상관없다. 여행이란 어차피 집으로 향하는 길이니까. (p.385-3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