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
황모과 지음 / 래빗홀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23년 관동대지진이 일어났다. 이 사건을 우리는 알고 있었을까? 1923년은 일제강점기다. 일제강점기라고 하면 떠올려지는 사건 사이에 관동대지진은 없었다.
소설로 읽은 <군함도>, <시인동주> 같은 책들로 굵직굵직한 사건이나 시대적 생활 이야기를 읽었지만 민중이 민중을 학살한 이야기는 우리도 잘 몰랐지 않았을까?

강제징용이 아니라 일본에 돈을 벌기 위해 떠난 사람들. 조선보다 더 살기 좋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안고 갔지만, 현실은 조선보다 못했고 임금체불에 가학적은 노동착취에 그들은 쥐죽은 듯 살기 바빴다. 그러다 1923년 지진이 일어났다. 규모 7.9의 위력이면 땅과 건물 붕괴는 말할 것도 없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그들은 당장 떠날 생각을 하지 못한다. 찾아간 경찰서건 어디건 조선인을 보호해줄 곳은 없었고, 물과 먹을 것 구하기는 더 어렵다.

대지진의 재앙은 누군가를 특정지어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그 지역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닥친 재난이다. 조선인에게만 먹을 것이 없는 것이 아니었다. 밭의 작물이 모두 탔고, 부엌에 불이 붙었으며 먹을 것을 훔쳐가기도 하고 여성을 겁탈하기도 했다.

지진 후 일어난 착취의 탓을 조선인으로 향했다. 그들이 모든 것을 훔쳐가고 뺏어갔다는 유언비어가 퍼졌다. 민간에서 일어난 유언비어를 정부가 공식화 했다. 조선인, 중국인 모두 죽이라는 말이 나왔다. “착하던 착하지 않던 모두 죽여라.”

모두가 가해자가 된 이 사건을 덮고 왜곡했다. 이 역사를 조사하기 위해 100년 뒤 싱크롤로지라는 기술을 이용해 과거로 들어간다. 조사단으로 팀을 이룬 민호와 다카야는 각자 임무가 다르다. 민호는 그날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고 조금이라도 바꿔보고 싶은 마음이라면 다카야는 그날 일을 덮을 수 있는 조사를 하기 위한 임무를 가지고 떠났다.

싱크롤로지로 참여한 조사단은 역사를 바꿀 수도 없으며 둘 중 하나가 죽거나 둘에게 개입하면 오류가 난다. 민호는 조금이라도 사람들을 살리고 싶어 개입한다. 그럴때마다 번번히 죽고 조사의 다시 출발점으로 되돌아온다. 오류로 죽은 기억이 업다. 다카야도 민호가 출발지로 돌아올 때마다 같이 소환된다. 그러니 민호의 죽음을 아는 사람은 다카야밖에 없고 그 굴레에 갇혀 있다.

이 둘은 어떻게 조사를 무사히 마치고 역사는 어떻게 흘러갈까? 이것이 이 책의 중심이다. 저자는 100년 전 이야기를 통해 지금의 우리를 되돌아볼 수 있긻 바란다고 했다.

📌 182-183쪽
학살에 부역했던 일이 수면 위로 드러났을 때 어두운 곳에서 당시를 회상하면서 서로를 위로하는 자들이 있었다. 어쩔 수 없었다고, 그때는 조선인들이 정말로 머리에 뿔 달린 악마로 보였다고, 사람을 죽이기는 했지만 그대로 어쩌겠냐고, 산 사람은 살아야 한다고 했다. 음울하고 패쇄적인 가해자들의 연대 속에서 다카야도 망각만을 갈구하며 비루하게 살았다. 차라리 처벌을 받았다면 속죄할 기회라도 얻었을까? 주변은 고인 물처럼 변하지 않았고 시간 속에 갇힌 다카야는 새로운 삶으로 갈 길을 찾지 못했다.
(중략)
조선인을 살해한 자들은 대부분 무죄로 석방되었다. 공권력이 작정하고 공문서를 소멸하는 것을, 생사 여부조차 확인할 수 없는 유족들이 영영 찾을 수 없도록 치밀하고 완벽하게 유해를 은닉하는 것을, 어린이들의 수기까지 꼼꼼하게 삭제하는 것을 보았다. 철저하게 기획된 은폐였다. 전부 똑똑히 지켜보았다.

📌158쪽
“고맙소. 이제는 살아서 돌아갈 마음이 생기요, 조선이 그런 곳이 되었다니 참말로 다행이요. 그럼 배고프고 천대받는 사람은 죄다 없어진단 말이지요?”
(중략)
“적어도 백정은 없습니다. 가축 도살을 하는 사람은 있지만 다들 평범하게 삽니다. 다른 식의 계층은 있지만요.”
평범하게 산다는 말이 이토록 가슴 뛰는 일이라니.
.
.
.
현실을 반영하는 말들이 군데군데 나온다.
백정은 없어졌지만 다른 식의 계층이 생겼고, 어른들의 모습을 학습하는 아이들의 장면까지 꼼꼼하게 그려져 있다.

비록 재난이 닥친 상황이 아니지만 비슷한 현실을 마주하는 기분에 씁씁하기도 하다. 저자는 바꿀 수 있는 역사를 보여주고 싶었던 듯하다. 조사단이라는 설정을 통해 결과는 바뀌지 않지만(관동대지진으로 죽은 조선인들) 반성하는 모습의 일본을 그려 넣었듯이 말이다. 씁쓸한 현실도 바뀔 수 있다는 희망적 메세지를 주고 싶은 작가의 마음을 알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