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읽기능력이 평생성적을 좌우한다 - 상위 5%를 결정짓는 학년별.과목별 읽기 전략
김명미 지음 / 글담출판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제목 그대로 이 책은 초등학교 1학년, 아니 그 이전 어렸을 때부터의 읽기 능력을 강조한다.
한참 ’다독’의 열풍이 불어 교육열 높은 엄마들 사이에선
아이가 읽은 책을 쌓아놓고 경쟁하듯 몇 권인지를 자랑한다고 들은 적이 있다.

물론 나 역시 어렸을 때 부터 책을 너무나 좋아해서 많이 자주 읽었던 것이
후에 중 고등학교 학업에 많은 영향을 끼쳤던 것을 경험했기에
책은 무조건 가까이 해야 한다는 생각은 변함없이 확고하다.
또 이왕이면 다양한 분야의 책을 많이 접하는 것 역시 학업 뿐만 아니라 인생에도 도움이 된다고 믿는다.
하지만 아이를 공부시키면서 요즘 아이들은 기본적으로 책을 어느 정도는 다들 읽는데
왜 학업 성적이나 여러가지 면에서 점점 차이가 날까 하는 의문이 생기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러면서 다독의 열풍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이제는 
읽기 방법이나 읽으며 생각하기에 대한 방법론이 나오는 것 같다.
이 책 역시 모든 학업의 근본은 ’교과서’를 ’잘’ 읽는 것에서 출발한다고 여러번 강조한다.
다독의 중요성 보다는 정독의 중요성을 강조한달까.

어떻게 읽어야 하나. ’How to read’ 에 관한 방법을 아주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고
(사고력이 중요한 읽기, 각 과목별 다른 읽기 방법 등등)
뒷부분으로 갈수록 각 학년에 필요한 읽기 능력을 정리해 놓았고
유용하게도 학년별 추천도서들을 요약해 놓았다.

책을 가까이 하게 하면서도 정확하게 구체적으로 어떻게 읽어야 할지 가이드 해주기 애매했었는데
이 책은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자세하게 그 지침을 알려준다.
모든 과목은 ’국어’로 통한다~
모든 학습은 ’읽기’로 통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