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봉옥의 서정주 다시 읽기
오봉옥 지음 / 박이정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시에 대한 해석

 

서정주 시인이 자신의 시집 전체에서 직접 고른 한 권 분량의 시들에 대한 시인 오봉옥의 해석이 이 책의 핵심 내용이다. 실제 강의를 녹음했다가 글로 옮기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서인지 쉽게 표현되어있으며, 또한 말하기 방식의 형태이기 때문에 친숙하게 읽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강의가 이루어지는 당시의 분위기와 책을 읽는 분위기의 차이가 존재하고는 있지만 그 간격이 그리 크지는 않다.

시를 해석한다는 것이 가능하냐고 묻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시라는 것이 빨리 읽어버리고 줄거리만 이해하는 글이 아니라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이 공감할 것이다. 교과서적으로 따져보아도 말의 가락을 느껴야 하고, 숨어있는 다양한 상징적 의미들을 찾으며 갖가지 비유들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시를 읽었다고 해야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그리 쉽지만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다고 시험 공부하듯이 다른 사람이 해석해 놓은 것을 막연하게 외워야 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사실 시를 읽는 다는 것에 대해서도 많은 사람들의 의견이 있다. 시인의 숨겨진 의도와 생각을 발견하여야 한다는 사람들도 있고, 시인의 의도와 상관없이 읽는 사람이 느낀 감정만으로도 충분하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어느 것이 정답이라고 말할 수 없는 다양한 방법으로 시가 읽혀지고 있는 것이다.

이 책에서 오봉옥은 서정주의 시들을 일행일설(一行一說)로 풀어가고 있다. 전체의 분위기에만 머무르지 않고 시어들의 관계나 시어를 통해 연상되는 다양한 장면이나 이미지들에 대한 소개는 시를 읽는 방법에 대해서도 많은 도움을 준다.

 

시인과 시

 

‘시인’을 빨리 발음하면 ‘신’이 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신이 이 세상을 창조했던 것처럼 시인도 창조자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표현일 것이다. 시인이 창조자라는 사실에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시인’이 창조자라고 해서 ‘신’과 같이 전지전능하며 절대적인 존재로 비춰지는 것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신이 만든 세상이 항상 아름답기만 한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시인이 만들어 낸 세상 역시 항상 아름답지만은 않을 것이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시는 아름다움을 표현한 것이고, 그 시를 쓴 사람은 아름다운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짙은 것 같다. 요즘같은 가을날, 시집 한 권을 들고 낙엽 지는 나무 아래에 앉아만 있어도 바라보는 시선이 다르다. 하물며 그가 시인이라고 한다면, 당대 최고의 시인이라는 평가를 받는 시인이라면 그에 대한 시선은 온갖 동경과 존경으로 가득 찰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서정주라는 시인과 그의 대표작 ‘국화 옆에서’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유치환과 더불어 생명파 시인이라는 사실은 여전히 교과서에 실려 강조되고 있다. 또한, 친일 행적과 5공화국과의 관계가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물론 나도 그러한 비판에 관심을 두고 있다. 그런데 과연 시인 서정주를 비판한다는 것은 그의 시를 비판하는 것인가 그의 행적을 비판하는 것인가. 아니면 둘 다를 비판해야하는 것인가. 어떤 사람들은 그가 시인이므로 그의 시 작품만을 보자고 하고, 다른 사람은 시는 시인이 가진 세계관의 표현이므로 시인의 행적과 무관하게 작품을 볼 수 없다고도 한다.

오봉옥은 서정주를 시의 맛을 아는 시인으로 표현하고 있다.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나 서정주의 시에 대하여 반감을 가진 다른 시인들의 패러디 작품들을 소개하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서정주의 시 작품 자체에 초점을 두고 시인에 대하여 우호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서정주의 언어를 다루는 솜씨에 내심 탄복했으며 그것의 의미를 찾아 내는 오봉옥 시인의 세심한 감각에도 탄복했다. 그러나 아직도 서정주에 대한 나의 생각은 애매모호하다. ‘질마재 신화’를 읽고 받은 감동과 전두환에게 보낸 축시를 읽고 느꼈던 반감은 여전히 찝찝함으로 남아있다. 서정주. 역시 돌아갈 수 없는 우리 시문학의 거대한 거목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그 거목의 역할에 대해서는 조금 더 생각해볼 문제들이 있다. 앞으로 “국화꽃의 비밀”을 읽을 계획이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릴케 현상 2004-10-25 1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정주의 시를 한번 읽어보고 생각을 해 봐야겠다 하면서도 지금껏 전집1권을 다 못 읽었어요. 1권이 뭐야 앞부분 좀 읽다 말았죠-_- 오봉옥의 책을 먼저 읽어버릴까 보다

메시지 2004-10-25 1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파란여우 2004-10-25 1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혹자들은 서정주가 일제의 앞잡이 노릇을 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그의 시 사상에 돌을 던지고 한다죠. 물론, 저도 예전에는 그 중 한명이었습니다만. 주옥같은 시를 창조한 장본인임에도 불구하고 친일행적이 그의 삶에 치명적인 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 안타깝습니다. 그래도 그는 우리시대의 뛰어난 시인이었습니다.

메시지 2004-10-27 19: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좋은 시 작품은 많이 쓰셨죠^^*

고동실 2005-03-17 0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주부독서회에서 4월 중순에 질마재로, 미당시문학관으로 문학기행을 갈예정인데 ...
한번 구입해서 읽어보고싶습니다.
실은 오늘 서정주 시전집 세권을 모두 주문했는데...
[오봉옥의.....]는 도서관에서 우연히 사서의 책상에 놓여있길래 제목만 적어와서 .....
자세한 서평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