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적
김호연 지음 / 나무옆의자 / 2015년 9월
평점 :
품절
독서하다 말고 문득 이런 생각이 든다. 소설은 찌질한 사람들이나 읽는 거라는.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소설만 빼고 읽는다거나 아예 책을 읽지 않거나 둘 중 하나일 거다. 내가 말한 찌질함은 표면적인 게 아니라 내면에 숨어있는 어떤 응어리를 말함인데, 이것을 인식하는 사람은 그에 대한 갈증해소와 현실도피의 이유로 소설을 찾게 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독자는 자신의 찌질함을 건드는 이야기를 만날 때라야 공감이 우러나오고, 간접적인 경험과 감정을 느끼는 과정에서 치유를 받는다. 나는 보이지 않는 내면에 못처럼 박힌 응어리를 밖으로 끄집어내는 이야기야말로 위대한 작품이라 믿는다. 그것이 내가 생각하는 소설의 힘이고 소설다움이다. 그런 작품을 쓰는 소설가의 반열에는 항상 김호연 작가가 있었다. 인생을 실전으로 배웠던 그는 힘들게 얻은 내공을 작품 안에 얇게 펴 발라 독자의 찌질함을 살살 어루만져 준다. 설령 의도한 바가 아니래도 그만큼 독자에 대한 배려가 깊다는 뜻일 테다.
납골당의 한 유골함을 들고 튄 황당한 두 남자 이야기. 유골은 이들이 사랑한 여인의 것이었고, 그녀가 좋아했던 여행 장소에 가서 뿌려주자는 충동적인 계획을 실행한다. 그리하여 연적이지만 뜻을 위해 임시 동맹을 맺었는데, 어째 하는 일마다 펑크가 나서 티격태격한다. 틀어진 계획을 다시 짜기 위해 두 사람은 그녀와의 추억들을 하나씩 공유하였고, 알지 못했던 혹은 알고 싶지 않았던 정보들로 더욱 착잡해진 동행이 돼버린다. 여행이 길어지면서 직장이 걱정되는 주인공과, 그녀보다 회사가 더 중요하냐며 자존심을 긁어대는 파트너. 그렇게 가슴이 시키는 대로 하다가 결국 제주도까지 날아간 이들의 충동 여행은 얼마나 더 가야 끝이 나려나.
재미는 있지만 겨우 브로맨스 얘기라면 좀 곤란하다 싶었는데 역시나 괜한 걱정이었다. 일단 인물 소개 먼저 하자면 고인이 된 그녀는 무명의 시나리오 작가이자 출판사와 계약한 소설가였고, 주인공은 그 출판사의 팀장이며, 그의 연적은 최근에 사업을 말아먹은 헬스장 대표이다. 너무도 다른 두 캐릭터의 아슬아슬한 케미가 기본 베이스인데, 이들의 계획이 꼬일수록 짠하기는커녕 웃음만 나오는 게 아이러니이다. 나름대로 애도 중인 둘의 감정에 독자들도 맞춰줘야 하거늘, 시트콤 같은 상황이 반복되니 실례인 줄 알면서도 참지 못할 웃음이 곧 킬링 포인트인 셈. 확실히 김호연 작가는 연속 단타로 독자를 무장해제 시키는 게 주특기이다. 적당한 템포와 선을 지키면서 필요할 때만 텐션을 끌어올리는 것도 볼 때마다 감탄이 나온다. 진정 독자와의 호흡만큼은 김호연을 따라올 작가가 없다고 본다.
이 작품은 <망원동 브라더스>, <고스트라이터즈>와 함께 ‘작가 3부작‘으로 불린다. 세 권 다 주요인물의 직업이 작가이고, 작가의 쓰라린 현실을 조명하는데 <연적>은 그 비참함이 가장 두드러진 작품이다. 작중에선 죽은 그녀에 대한 회상 신을 통해 무명작가들이 어떻게 생계를 유지하는지, 권위 앞에서 어떻게 휘둘리고 착취 당하는지, 출판시장이 얼마나 넘사벽인지를 자세히도 말해준다. 그렇게 맑고 화창했던 하늘에 먹구름이 끼더니 지독한 장마가 시작된다. 주인공은 무단결근에 대한 대가를 치러야 했고, 가족 간에 불화가 커졌으며, 부모 집에서 반강제로 쫓겨나게 된다. 그리고 그녀의 시나리오를 작품화하여 스타가 된 영화감독의 소식을 듣는다. 마침내 퓨즈가 끊어지자 유골함을 훔칠 때의 돌발행동을 하는 주인공과 파트너. 통쾌한 한 방, 아니 두 방을 먹여 복수하고 나니 어느새 장마는 물러가있었다.
김호연 작가의 위로 방식은 독특하다. 모두가 잘못된 길이라 하지만 나는 그저 멀리 돌아가고 있을 뿐, 틀리지 않았다는 확신을 심어준다. 자신도 한 명의 루저로써 그 길을 걸었기에, 모든 루저들이 멈추지 말고 가던 길을 갔으면 하는 마음이지 않을까. 그래서인지 작품마다 루저가 꼭 있는데, 작가는 이들의 찌질함을 반드시 극복시키고 자기혐오에서 구해낸다. 이대로도 괜찮다고, 지금도 잘하고 있다는 흔한 말보다 이런 은은한 위로가 더 고맙고 힘이 된다. 여하튼 이것으로 김호연 작품의 도장 깨기가 끝났다. 또 어떤 작품으로 돌아올지, 그의 귀환이 기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