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의 기원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서웠다. 짜릿했다. 지루했다. 궁금했다. .... 나 역시 뉴스에서 보도된 끔찍한 사건을 저지른 사람들을 보며 그들의 정신세계가 궁금했던 적이 있다. 궁금한 정도가 아니라 너무나 경악스러워서 내가 그들의 심리를 이해할 수 있을지 자체가 의문스러웠던 그런 느낌이었다. 정유정 작가에게도 시작점이 거기였다고 했다. 그녀는 그렇게 출발한 시작을 이렇게 멋진 작품으로 완성시켜냈다. 소설을 읽으면서 무섭게 느껴졌던 부분이, 소설을 덮은 이후의 묘한 짜릿함 혹은 작가에 대한 경외심으로 몸을 오소소 떨게 했다.
  정유정 님은 워낙 서사력이 뛰어난 작가지만, 이전에 읽었던 7년의 밤에 비해 종의 기원은 조금 덜 읽히는 게 사실이었다. 그래도 집중도 못하고 책을 오롯이 잘 읽지도 못하는 내가 아침 출근버스에서 눈을 떼지 않고 계속 읽어낼 정도긴 하지만 말이다. 7년의 밤은 장면 자체가 굉장히 많았다. 이야기의 흐름이 어마어마해서 작가의 서술도 그에 따라 영화처럼 끊임없이 장면들을 서술해냈다. 반면 종의 기원은 한 장면을 묘사한 곳에서 그 안에서 이뤄지는 내부 심리묘사가 상당했기에, 그리고 그 인물을 설명할 과거와 현재까지도 그 장면에서 함께 묘사되어야 했기에 그럴 수 밖에 없었을 거라 생각해본다.
  예전에 어둡고 음침한 소설을 읽으면서 이런 게 내 취향이라고 생각했던 적이 있다. 내 취향인지 아닌지를 물으면, 이 소설의 주인공인 유진은 내 기준선에서 조금 넘어가있는 편이라고 본다. 그러니까 무섭기도 했겠지. 어쨌든 이런 소설을 읽을 수 있다는 게 너무 감사하기만 했다. 으으... 멋진 작품을 읽었을 때의 기분 좋은 떨림이 쉬이 사그러들지 않는다.

 

 

"어떤 책에서 본 얘긴데,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서 자신을 지키며 살아가는 데는 세 가지 방식이 있대. 하나는 억압이야. 죽음이 다가온다는 걸 잊어버리고 죽음이 존재하지 않는 양 행동하는 거. 우리는 대부분 이렇게 살아. 두 번째는 항상 죽음을 마음에 새겨놓고 잊지 않는 거야. 오늘을 생의 마지막 날이라고 생각할 때 삶은 가장 큰 축복이라는 거지. 세 번째는 수용이래. 죽음을 진정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대. 모든 것을 잃을 처지에 놓여도 초월적인 평정을 얻는다는 거야. 이 세 가지 전략의 공통점이 뭔 줄 알아?"
나는 고개를 저었다. 대답은커녕 생각하는 시늉조차 하기 싫었다. 그런 이상한 문제로 고민하는 것보다 그냥 죽어버리는 게 쉽고 편할 것 같았다. 해진은 스스로 대답했다.
"모두 거짓말이라는 거야. 셋 다 치장된 두려움에 지나지 않아."
"그럼 뭐가 진실인데?"
"두려움이겠지. 그게 가장 정직한 감정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