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람스를 좋아하세요...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79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복잡 미묘한 남녀의 심리를 잘 그려낸 작품. 나 자신으로 책을 읽었을 땐 조금 당황스럽기도 했다. 하지만 내 나이 39세에 -나를 외롭게 하지만- 사랑하는 연인이 있고, 그 때 브람스를 좋아하냐 물어오는 25살의 청년이 있다면 이해하지 못할 감정도 아니었다.
  내 사랑이 정말 사랑이 맞는 건지 가끔 혼란스러워질 때가 있는데, 그 벗어나지 못하는 혼란의 경계를 균열시키는 것이 바로 브람스다. 그리고 브람스도 14살 연상의 클라라 슈만을 사랑했다고.
나는 마지막 장면에 너무 몰입하지 않았나 싶다. '그녀는 자신은 결코 느낄 수 없을 듯한 아름다운 고통, 아름다운 슬픔, 그토록 격렬한 슬픔을 느끼는 그가 부러웠다.' 그가 나를 거절한 이유도 이런 것이었을까... 쉬이 사그러질 수 있는 열정을 지켜볼 수 밖에 없는 건 크나큰 고통일테니까.
  분명 20대와 30대, 40대, 50대의 사랑은 다를 것이다. 절제할 수 있는 능력이 자리잡은 곳은 뜨겁던 열정이 사그라든 자리일 터이고, 그런 의미에서 나이가 든다는 것은 열렬히 태울 감정이 남아있지 않다는 뜻일 것이다. 그런 사람에겐 아무리 예쁘고 멋지고 빛나는 사람이더라도 젊은 열정은 부담일 수 밖에 없지 않을까.
  사랑의 영원이 아니라 덧없음을 믿는다는 사강. 사랑은 길어야 3년 뿐이라고, 열정 이외엔 아무것도 믿지 않는다는 그의 말이 아직도 쓸려가지 않고 남아있는 듯 하다.

 

 

`당신이 다시는 저를 보고 싶지 않다고 해서,
제가 당신을 사랑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지는 마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