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실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자이 오자무의 자전적 소설이고, 39세라는 그의 짧은 생애 속 마지막 작품. 너무 심약했던 죄, 그 죄로 인해 인간실격이라는 길로 -만약 진짜 그렇게 말할 수 있다면- 들어선 사람. 남을 파괴하는 일 따위 할 수가 없어서 그 화살이 나에게 돌아와도 피하지 않았던 사람. 나와 어느 면에 있어서는 닮은 것 같기도 하다. 나도 나의 불행이 나약함과 순수함-좋은 의미가 아닌-에서 왔다고 생각하니까.
  도서관에서 민음사 시리즈 중 <설국>이라는 책을 빌리려고 했던 적이 있는데 같은 작가인 것은 오늘 알았다. 이전에 읽었던 <위험한 독서>에서 당신이 "삶은 살 만한 값어치가 있어서 사는 것이 아니라 자살할 만한 값어치가 없어서 사는 것이다."라는 일기를 쓰는 염세적인 사람이라면 다자이 오자무의 <인간실격>을 추천하겠다는 문장이 나왔었다. 그래서 나는 그의 조언대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평범한 삶을 무겁게 여기는 사람이 이 책을 읽는다면 상대적인 행복과 감사함을 느끼고 삶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거라고 생각했을까? 아니면 모종의 공감을 느낄거라 생각했을까? 난 후자이긴 했지만, 미칠듯한 공감도 없었고 내가 느끼는 삶의 무게를 덜 만한 요소도 없었다.
작가는 마지막에 '지금 나에게는 행복도 불행도 없습니다. 모든 것은 그저 지나갑니다.'라고 했다. 맞다. 만약 누군가에게 인생의 주홍글씨가 새겨질 아픔이 있다면, 그 일도 결국은 지나간다. 하지만 그것이 과연 아무 댓가도 없이 지나가는 것일까? 아픔이 있는 자에게 지나간다는 것은 어떤 식으로든 그 아픔을 견디는 것 뿐이고, 새겨진 낙인은 지워지지 않는다.
  다자이 오자무나 그의 작품에 대해서는 천천히 더 많이 살펴본 후 이야기를 할 수 있겠다. 그가 남긴 그의 문학 속에서 그를 읽는 게 아니라, 나를 비춰보는 것이 독자의 일.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다자이 오자무는 삶에 대해, 인간에 대해, 인간의 자격이나 조건에 대해 많은 물음표를 던진 작가라고 생각한다.

 

 

`내게는 불행 덩어리가 열 개나 있는데, 그중 한개라도 주위 사람들이 짊어져본다면 그 한 개만으로도 충분히 그에게 치명타가 될 거라고 생각한 적도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