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편해도 괜찮아 - 영화보다 재미있는 인권 이야기
김두식 지음 / 창비 / 2010년 7월
평점 :
필자가 이 책을 보게 된 동기는 인권보다는 영화라는 대상을 통해 이야기를 풀어간다는 소개글 때문이었다. 평소 영화나 드라마를 무척 좋아하고(방학 때는 하루에 한 편씩 보기도 하니까), 그것을 통해 사람들의 모습과 세상 돌아가는 것을 느끼고 있어 누군가 영화, 드라마 이야기를 하면 자연스럽게 관심이 간다. 같은 말이라도 필자가 아는 영화를 예를 들어 설명해주면 이해하기도 쉽고, 당시 영화에서 본 장면을 통해 저자가 하고자 하는 말의 의미가 가슴에 와 닿을 것 같기 때문이다. 게다가 언젠가 드라마 내용을 갖고 뭔가 풀어보고 싶다보니 기존에 나온 영화를 어떻게 버물려 인권이야기를 정리했는지도 궁금했다.
하지만 평소 인권문제에 대해 남다른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아서인지, 이 책에 나온 영화중에서 직접 본 것은 별로 없었다. 필자가 본 것은 드라마 한두 개와 영화 두 세편 정도였고, 그나마도 평소 이것들을 보며 저자처럼 이야기 속에서 인권이란 것을 크게 느껴보지 못했다.
다행이도 저자의 설명을 통해 ‘아! 당시 그 장면이 바로 인권과 관련 있는 것이었구나’ 느낄 수는 있었지만 당시 영화를 볼 때는 인권보다는 그저 가슴 아프고, 답답한 심정, 그리고 뭔가 구체적으로는 설명하긴 어렵지만 가슴 어딘가에 찡하고 남는 게 있었다는 기억밖에 없었다. 어쩌면 이런 게 영화, 드라마의 힘이 아닌가 싶다. 까놓고 말하지 않지만 은연중에 사람들의 가치관에 영향을 주는 힘 말이다.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딱 부러지게, “저건 잘못된 것이고 이건 문제가 되는 거야. 따라서 너도 이런 행동을 하면 안 되고, 누군가의 잘못된 행동이 이토록 많은 사람 가슴에 못을 박고 있다는 걸 기억해야 돼.”라고 말하지는 않지만 영화에 빠져 들어 주인공과 동일시되는 순간, 이야기 속의 악은 영화 보는 사람의 악이 되고, 주인공의 고통과 선한 행동, 고통을 이겨내기 위해 노력하는 장면은 그대로 선명한 가치가 되어 시청자 가슴 속에 살며시 내려않는다.
책 내용은 어렵지 않고, 이해하지 못할 것도 없다. 평소 인권문제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진 않았지만 최소한 도덕적인 면에서, 또 사회규범상 선과 악이 무엇이며, 잘못된 시각이 어떤 것인지는 알고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저자의 주장은(필자의 생각이 틀릴 수도 있지만), 이것이 인권이란 것을 대표하지는 않더라도, ‘나에게 문제되는 것은 남에게도 문제될 수 있다’는 시각, ‘나와 다른 것이기에 틀렸다는 가치는 잘못되었다’는 것, ‘가진 자는 못 가진 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그들을 고려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책 내용 중에 가장 기억 남는 부분은 사회구조적인 측면에서 바라 본 인권 문제보다는 개인적인 생활과 관련이 깊은 3장 부분이었다. 여성과 폭력이란 주제를 갖고 있는 3장은 여성성과 패미니즘, 포스트패미니즘에 대한 이야기, 여성에 대한 남성의 폭력이야기, 영화를 통해 느낄 수 있는 폭력성에 대한 내용, 현 사회조직 내에서 뿌리 깊은 성희롱에 대한 이야기 등이다.
저자는 이 부분에서 다른 챕터보다 많은 영화와 드라마를 예로 활용하고 있는데 아마도 여성성과 사랑, 연애, 성, 폭력 등을 소재로 삼은 영화나 드라마가 많아서인 것 같다. 하지만 이 부분에서 저자의 입장은 우리가 평소 드라마를 보면서 느꼈던 것과는 조금 다른 시각이다. 아니 정확히 표현하면 영화나 드라마의 이야기 전개상 그저 별 생각 없이 스쳐 지나갔던 장면들을 앞뒤 이야기를 가상적으로 붙어 문제점을 발생가능한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예를 들면 드라마에서는 남자의 극한 사랑표현을 통해 진실한 사랑의 가치를 표현하고자 했던 부분을 성폭력의 한 장면으로, 남자의 구애방법을 직장 내 성희롱의 사례로, 한 남자의 가슴 아픈 분노표현을 폭력의 극한 모습으로 규정짓고 이런 행동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에 문제를 제기한다. 즉 떠나려는 여자를 차에 태우고 절벽 끝까지 몰고 가는 남자의 모습은 언뜻 보기에는 극적인 사랑표현 같지만 이와 같은 사례가 바로 여성을 공포로 몰아넣는 픅력범, 치한, 스토커와 다를 바 없다는 시각이다. 틀린 말은 아니다. 그리고 저자는 이와 같은 시나리오 작가의 몰이해(자신이 의도한 스토리 전개 상 들어간 장면들이 자신의 생각과는 다른 영향을 주게 되는 부분)에 대해 주의를 준다.
인권문제를 실제 피해사례를 통해 설명하기보다 많은 사람들이 본 영화나 드라마를 활용해 설명하니 일단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단순한 문자가 아니라 영화나 드라마가 보여준 이야기와 영상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앞에서도 말한 것처럼 필자는 기존 영화나 드라마의 활용법에 관심이 많다보니 이렇게 밖에는 활용할 수 없는 것인가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좀 더 독자의 마음을 울릴 수 있는 활용방법은 없을까 하는 궁금증이 여전히 남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