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작은 발걸음 - 작고 쉬운 실천을 통해 인생의 목표를 이루는 지혜
앨 세쿤다 지음, 최유나 옮김 / 경영정신(작가정신)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뭔가 새로운 것을 하려고 하면 가장 먼저 나를 맞이하는 것이 귀찮은 마음이나 두려움이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인가?’ ‘정말 잘 해 낼 수 있을까?’ 또는 ‘이걸 꼭 해야 하나?’와 같은 것 들이다. 이런 생각들은 평소 무척 좋아했던 일인데도 불구하고 발길을 가로막고 앞으로 나가려는 나를 머뭇거리게 만든다. 분명히 내가 그 일을 처음 하고자 했을 때는 원대한 꿈이 있었고, 또 나름대로 그 일을 통해 뭔가를 얻고자 했던 일들이지만. 하지만 내 마음은 어느새 그 모든 것을 과거로 돌려버리고 현재의 불편함을 갖고 고민한다.




사람 마음이란 것이 요상한 존재라 어떤 일이든지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순간 재미있었던 일도 짐처럼 느껴지고, 가능하면 아무 것도 안한 채 편안하게 보내길 원하기 때문이다. 막상 할 일이 없으면 따분하다고 느끼면서 말이다.




저자는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려면 단순히 꿈과 희망만 갖고는 어렵다고 한다. 어떤 일이든지 처음 시작할 때는 뜨거운 열정으로 첫발을 디디지만 시간이 지나면 처음 품었던 열정은 사라지고 답답함과 짜증만 남기 때문이다. 마치 연애하던 시절의 뜨거움이 결혼으로 바뀌면 그때부터 의무와 책임감만 남는 것처럼 말이다. 따라서 자신이 바라는 것을 이루려면 꿈, 희망 이외 자신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줄 무엇인가가 필요하고, 이를 그는 ‘15초의 법칙’이라 정의한다.




그가 이 책에서 독자에게 주고자 한 것은 크게 4가지로, ‘’15초의 법칙‘, ’포용의 법칙‘, ’즐거움 우선 원칙‘ 그리고 가장 어려운 새로움을 향한 ’문열기 과정‘이다.




우선 ‘15초의 법칙’은 자신의 꿈을 향해 나아갈 때 힘들고 어려운 일이 생기면 자신이 그 일을 왜 하려고 했는지 15초 동안만이라도 생각해 보라는 의미다. 현재의 어려움을 어려움 자체로 생각하지 말고 ‘내가 왜 그 어려움을 극복해야만 하는지’ 진정한 목적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라는 말이다. 물론 이때 중요한 것은 ‘용서의 마음’이다. 즉 목표대로 이행하지 못한 자신을 나무라고 원망하지 말고 ‘못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다시 시작하라는 것이다. 내

자신을 용서하면서.




두 번째, ‘포용의 법칙’은 우리가 꺼리는 생각이나 감정을 무조건 거부하지 말고 그런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인정하라는 말이다. 우리의 고통은 무언가를 수행하는 것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하기 싫어 발버둥치고 거부하는 태도로부터 발생하기 때문이다. 실제 나도 뭔가 하기 싫어 발버둥 치다가도 막상 일을 시작하면 부정적인 생각이 사라지면서 ‘내가 왜 이 일을 그렇게 하기 싫어했지?“ 하며 후회하는 경우를 자주 만난다. 고민했던 시간이 아깝기 때문이다. 게다가 일단 일을 시작하면 생각 외로 쉽게 해결되는 경우도 자주 봤다.




세 번째, ‘즐거움 우선 원칙’은 결과보다 과정을 중요시하게 되면 어떤 일이든지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는 말이다. 반드시 이겨야 한다거나 남보다 앞서야 한다는 강박관념 속에서 즐거움을 느끼기는 무척 어렵다. 그러나 결과는 하늘에 맡기고 현재 하는 일 자체의 완성도만을 생각하며 그 일에 자신을 몰입시킨다면 동일한 일을 하면서도 더 많은 즐거움을 얻을 수있다. 또 결과만을 생각하며 일을 했을 때보다 더 좋은 결과를 얻는 경우도 많다. 무슨 일이든지, 하다못해 연애까지도, 힘을 줘서 반드시 이루겠다고 악을 쓰는 것보다 자연스럽게 하나씩 처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때가 많다.




네 번째, ‘문 열기 과정'이다. 이는 자신이 평소 꺼리던 부분과의 만남을 통해 보다 나은 모습을 만들 수 있기에 익숙하지 않거나 평소 두려웠던 일이라도 과감하게 맞대면하라는 말이다. 이때 두려움은 실제의 두려움보다는 과거의 기억이나 경험으로 인한 것이 많기 때문이다. 물론 자신이 두려워하는 것을 대면하면 당연히 두렵다. 하지만 문제는 내 앞에 놓인 일의 두려움은 일로 인한 것보다는 과거의 경험이나 기억에 의한 것일 때가 많다. 저자는 이런 상황에서 두려움 자체를 마음속에서 증폭시키지 말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라고 한다. 꼭 기억해둬야 할 말인 것 같다.




책 내용이 현실적이면서도 무척 부드럽다. 일반 자기계발서처럼 ‘~해라’조가 아니라, 다른 사람의 이야기, 저자 자신의 경험을 말하면서 독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책 내용에 몰입할 수 있게 만들었다. 새해를 맞이하며 자신의 마음가짐을 다시 한 번 되돌아 보고자 하는 사람이 읽으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