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른 40년을 준비하는 40대 인생경영 - 마흔세 살 김부장의 새로운 직업 찾기
김병숙 지음 / 미래의창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기업에서 40대 중반의 남성은 두 가지의 모습을 가진다. 하나는 기업에서 꼭 필요한 인재(?)라고 평가받아 기업경영의 중추로써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모습이다. 부하직원과 최고 경영자 사이에서 의견을 조율하고 실전에서 싸우는 현장사령관이다.

또 하나는 크게 튀지는 못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크게 실수한 것도 없는 직장인들로, 자의반 타의반으로 직장생활을 마감하고 제 2의 삶을 향해 나아가는 모습니다. 두 개의 모습 중 어떤 것이 더 좋은지는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볼 때는 후자를 위기상황이라고 보는 듯하다.

예전 같으면 나이 60을 인생 황혼기로 보고 40중반이면 서서히 일에서 손을 떼고 삶을 정리할 나이였지만, 요즘 40대는 젊은이와 거의 진배없다. 밤새워 일할 때도, 술자리에 앉아 버티는 시간도, 하다못해 회사에서 체육대회를 해도 2030대의 사원들에게 거의 밀리지 않는다. 거짓말 같으면 농구 같은 거친 운동 말고 족구나 탁구 같이 조금 소프트한 경기를 봐라. 요즘같이 할량한 군대말고 빽  게 군대 생활한 40대들이 더 팔팔 난다. 나이만 더 먹었을 뿐이고, 머리색만 조금 희끗할 뿐이지 마음만은 아직도 청춘이다.

그러나 세상은 이들을 젊음이라 인정하지 않는다. 이제 대학을 나와 뭔가 해보겠다는 열정에 불타는 젊은이들과 비교하여 활동력이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봉급만 가져가는 방해물처럼 생각한다. 어쨌든 책 서평을 쓰면서 이런 이야기를 할 필요는 없겠지만 이런 상황에서 40대는 무척 우울하다.

그런 점에서 이 책 <40대 인생경영>은 내용이 무척 알차다. 40대가 앞으로 자신의 길을 어떤 방법으로 개척해야 하는지, 무엇을 생각하고, 어떤 점을 따져보고, 어디에 가서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 매우 꼼꼼하게 정리해 놨다.

40대에 대한 저자의 애정은 책 내용만 봐도 대충 알 수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크게 4부로 나누어 1부에서는 나이 40이면 자신이, 그리고 주변에서 40대를 어떻게 바라보며, 평가하는지 상세히 써 놨다. 이 책을 읽다보면 40대라면 누구든지 자신의 어려움이 혼자만의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2부는 40대가 해야 할 일, 그리고 조심할 일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리해 놨다. 특정 인물을 묘사한 것 같지만 그 내용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40대 표준형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3부는 나이를 넘어선 자기계발방향을 크게 네다섯 가지로 나눠 이야기한다. 개인브랜드, 자신에게 적합한 직업 찾기, 변화를 위한 준비작업(가족들에게 알리고 함께 하는 것을 포함해서), 그리고 커리어 맵 만들기까지 상세히 이야기해 준다.

마지막 4부는 40대가 기억해야 할 조언들이다. 2030과는 다른 40대만의 모습을 만들라는 메시지다.

다만 이 책이 담고 있는 내용이 조금 시기적으로 늦은 감이 있는 것 같다. 예전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 40대를 대상으로 한 책들이 무척 많이 출간되었다. 그리고 당시 40대를 대상으로 히트 친 저자들이 지금 국내 자기계발분야를 이끌고 있다. 공병호, 한근태, 구본형, 권영설, 전경일 등이다. 물론 이들 중 몇 몇은 40대들에게 직장을 박차고 나와 독립하라고 외치면서 자신은 다시 직장 생활하는 사람도 있지만 말이다.

어쨌든 이제 자기계발과 변화의 핵심연령층은 40대가 아닌 30대로 이동한 것 같다. 40대는 이미 자신의 처지를 몸소 체험하며 루비콘강을 건넜다. 물론 아직도 일정 수가 남아 구조조정을 기다리고 있기는 하나, 이들은 이 책에 나와 있는, 뭐라고 표현하는 것이 좋을지는 모르겠지만, 언뜻 느끼기에 교과서 같은 정설적인 내용엔 별 관심 없을 것 같다. 세상이 변해 이제는 어떤 규칙적인 행동보다는 각자가 알아서 각개 전투해야만 하는 상황이 되었기 때문이다.

독자의 입장에서 볼 때 이 책에 들어있는 내용들을 대상으로 조금 바꿔 30대용으로 다시 만들면 훨씬 값진 책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