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레버리지 리딩 - 100배의 이익을 창출하는 다독의 기술
혼다 나오유키 지음, 김선민 옮김 / 미들하우스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직장인, 비즈니스맨, 학자 등 모두 다 좀 더 많은 것을 알아, 이를 효과적으로 써 먹기를 바란다. 그리고 이를 위해 수많은 자료들 뒤적이고, 책을 보고, 정리를 한다. 하지만 이들의 공통된 고민은 ‘어떻게 하면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지?’ ‘어떻게 하면 남보다 더 빠르게 많은 정보를 습득할 수 있지?’에 대한 것이다.
그러다 보니 책을 정리하는 방법, 정보를 습득하는 방법, 하다못해 책을 빨리 보는(?) 방법인 속독에 대한 책까지 계속 출간되고, 독자에게 읽힌다. 아마 이런 종류의 책은 날이 갈수록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을 것이고, 그런 가운데에서 결국은 정보중독자 세상이 올 것 같다. 내가 너보다 더 많은 것을 빨리 보기 시합이다. 그리 좋은 세상은 아니지만 어쩌겠는가. 나 혼자 바꿀 수 있는 세상도 아닌 것을.
하지만 뭐든지 하고자 할 때는 내가 왜 그것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 볼 필요는 있을 것 같다. 즉 중요한 것은 얼마나 빨리 많이 보느냐가 하니라, 내가 왜 빨리 많이 봐야 하는가의 목적이다. 마치 드릴을 사는 사람은 드릴 그 자체를 사는 것이 아니라, 구멍을 뚫기 위해 사는 것처럼 말이다. (드릴 파는 사람은 드릴이 아닌 구멍을 파는 사람이다.)
어쨌든 이 책은 세 가지 메시지를 전달하는 듯하다.
첫째, 책을 빨리, 남들보다 많이 읽어야 하는데, (저자는 월 400권을 읽는다고 한다.) 그것은 속독이 아닌 레버리지 리딩법으로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책 전체를 빠른 속도로 읽는 것이 아니라, 책 내용 중에서 중요한 것만 골라 읽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위해서는 우선 내가 왜 책을 보는지, 그 책에서 무엇을 얻고자 하는지 분명히 알고 봐야한다고 한다. 그래야만 책 내용 중에 자신이 원하는 것을 빨리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책 내용 전체를 보지 않고, 필요한 것만 골라 봐야하는지의 이유를 파레토의 80/20법칙에서 찾고 있다. 즉 전체 내용 중 정말 필요한 내용은 20%밖에 안 되기 때문에 허접한(?) 내용까지 볼 필요가 없고, 알맹이가 있는 20%만 보면 충분하다는 것이다. 틀린 말은 아닌 것 같다. 대부분의 책, 특히 경제, 경영 관련 책은 몇 마디의 핵심 내용을 정리한 후, 나머지 내용들은 모두 이를 증명하기 위한 근거자료이기 때문이다.
둘째, 책을 험하게 다뤄야 한다. 저자는 책을 무척 험하게 다룬다고 한다. 특히 그는 아침에 일어나 목욕을 하면서 책을 보기 때문에 책이 젖기도 하고 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저자는 이를 개의치 않는다. 중요한 것은 책 자체가 아니라 그 안에 들어 있는 정보이고, 그 정보를 머리 속에 다 정리하면 된다는 것이다. 장식품으로 쓰지 않을 바에는 말이다.
그러다 보니 그가 책을 읽을 때 꼭 해야 한다는 것은 중요한 내용은 반드시 표시를 해라 다. 그것이 연필이든 볼펜이든 색깔있는 싸인펜이든 상관없이 나중에 다시 찾아보기 쉽게 표시를 하라. 그리고 다시 그 부분을 접어두라고 한다. 그러면 그 부분이 눈에 띄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메모를 하라고 한다. 책을 깨끗이 하겠다는 생각만 버리면 책의 여분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좋은 연습장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책을 보다 뭔가 생각이 났을 때는 그것을 구지 다른 곳에 쓸려고 하지 말고 그냥 책 여분에 정리하라고 한다. 그래야만 나중에 그 책을 다시 봤을 때 과거 자신이 생각했던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고, 그 생각에 새로운 생각을 덧붙이기 편하다는 것이다.
셋째, 책을 읽고 나서 꼭 정리하라. 책을 보다보면 나중에 써 먹을 문구, 기억해야 할 말, 실천에 옮길 필요가 있는 내용들이 있다. 그 내용은 나중에 다시 보겠다고 생각하지 말고 반드시 정리해서 암기하거나 실천하도록 하라는 말이다. 저자는 책을 다시 본다는 말 자체가 생각은 쉬울지 모르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한다.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는 책들을 계속 봐야 하는 상황에서, 계속 앞으로 나가야 하는 직장인, 비즈니스맨 입장에서 신간을 보기도 바쁜 상황에서 예전에 봤던 책을 다시 볼 시간이 있겠느냐는 말이다. 일리 있는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책을 볼 때 중요한 내용은 반드시 정리해 놓고 그 책을 잊어버리라는 말이다.
독서는 무척 중요하다. 아무리 인터넷이 발달하여 검색 키워드 하나만으로 많은 정보를 손쉽게 찾을 수 있다손 치더라도 깊은 내용을 알기 위해서는 책을 봐야 하고, 게다가 책 한권에는 저자의 오랜 경험이 녹아있기 때문에 돈 만원으로 한 인간의 몇 년 더 나아가 몇 십 년의 삶을 사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속도보다 중요한 것은, 본인 생각으로, 책을 편하게 볼 수 있는 환경과 마음가짐인 것 같다. 더 빨리, 더 많이 보겠다는 생각 자체가 독서를 일로 만드는 것은 아닌지.
아무리 독서가 투자라고 해도 편한 마음으로 여유롭게 투자하는 것과 반드시 본전 뽑겠다고 이를 악물고 투자하는 것과는 조금 다르게 와 닿을 것 같다. 나라면 좀 더 여유롭게 투자할 것 같다. 내가 이를 악물고 매달린다고 해서 본질적으로 손해 볼 것이 이익으로 변할 것 같지는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