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은 위대하지 않다 (양장)
크리스토퍼 히친스 지음, 김승욱 옮김 / 알마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들과 이야기할 때 대화주제로 삼지 말라는 3가지 내용이 있다. 하나는 정치 문제이고, 또 하나는 종교문제, 그리고 마지막 하나는 자식문제다. 이런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하다 보면 반드시 싸움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책 [신은 위대하지 않다]는 이러한 금기를 깨고 아예 세상에 싸움을 걸겠다는 마음으로 쓴 책 같다.
그는 책 서문에서 어릴 적 자신을 가르쳤던 선생님이야기를 하며 종교에 대한 의심이 아주 오래 전부터 자신의 관심사임을 강조한다. 그리고 그 생각들이 모여 오늘 날 이 책이 완성되었음을 주장한다. 단순히 재미로 썼거나 흥미위주로 쓴 책은 아니라는 것이다.
세상에는 세 부류의 사람이 살고 있다. 종교를 가진 사람, 종교가 없는 사람, 그리고 종교 자체에 관심 없는 사람이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구분은 신의 존재를 믿는지 아니면 신을 거부하는지의 분류가 아닌가 생각한다. 왜냐하면 신과 종교를 하나로 보지 않는 사람도 많기 때문이다.
나 역시 태생교우로 태어나 바로 세례를 받았다. 그리고 종교성이 강한 집안에서 자라다 보니 뭐 하나 잘못해도 죽은 다음 지옥에 갈까 봐 성당으로 바로 뛰어가 고해성사를 본 적도 꽤 많다. 당시에는 종교 없는 세상이란 상상할 수 없는 이상한 세계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이가 먹으면서, 그리고 세상의 지식을 하나씩 쌓아가면서 종교, 그러니까 우리가 말하는 기성종교,가 세상의 모든 것은 아니며, 그들이 신을 가장 잘 아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물론 내가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것은 저자와 비슷하게 신자들의 모습을 통해서 였다.
저자는 나 같은 사람처럼 그가 살아 온 환경 속에서 느낀 종교에 대한 생각을 토대로 이 책을 쓴 것 같다. 특히 몰몬교에 대한 그의 생각은 그 종교를 부정하는 수준을 넘어 종교의 창시자를 세상에 존재해서는 안될 사람으로 표현하고 있다.
‘신’은 존재하는가?
이 질문은 아마 인간이 지구상에서 나타나면서부터 오랜 세월동안 심각하게 대립했던 질문이 아닌가 싶다. 인간은 무엇인가? 우리는 왜 사는가? 죽음 이후에는 무엇이 있는가?라는 별로 하고 싶지 않은 생각을 하다 보면 반드시 거치는 관문이 종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누구도 정답을, 아니 이 질문에 대한 영원불멸의 진리를 이야기한 사람은 없는 것 같다. 왜냐하면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저자 말대로, 죽은 다음에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죽은 자는 말을 할 수 없다.
저자는 종교의 발전과정, 교리, 경전, 그리고 종교인들의 모습 속에서 ‘신은 위대하지 않다’고 말한다. 그러나 실제 내용은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나는 저자의 생각에 일정부분 동의한다. 나도 저자의 생각처럼 기성종교 속에서 신을 찾고자 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종교는 인간의 편의에 의해 만들어진 하나의 의식, 가치체계이며 이를 믿고 말고는 인간 개인이 선택할 문제라는 저자의 말에도 동의한다. 그렇지 않고서야 종교를 믿는 사람과 무신론자 간의 범죄 율에 전혀 차이가 없을 수 있겠는가.
또 천주교는 옳고, 기독교는 틀리고, 불교는 허무주의고, 유대교는 맹신교고, 이슬람교는 투쟁을 위한 밀서라는 식의 표현도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정한 종교의 정의대로 인간의 삶을 이끌고, 가치를 지정해 주는 모든 것은 다 종교이고, 거기에 옳고 그른 것은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 한가지, 저자의 말에 동의하기 어려운 것은 종교가 잘못된 것이기에 신도 없다는 말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그리고 종교인이 잘못되었기에 종교 자체가 틀렸다는 말에도 동의하지 않는다. 사람이 하는 일에는 항상 잘못이 따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신이 진짜 존재하는지 않는지는 죽어보면 알 수 있을 것 같다. 그래서 저자에게 제안하고 싶은 것은, 가능하다면 저자가 한번 죽어 본 다음 사실을 알아 우리에게 다시 한번 진리를 이야기해 주길 바란다.
오래간만에 머리를 움직이게 만드는 책을 본 것 같다. 이런 것이 책을 통해 지식을 쌓은 재미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