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하는 회사는 이유가 있다
이시하라 아키라 지음, 노은주 옮김 / 메가트렌드(문이당) / 2008년 1월
평점 :
품절


성공하는 사업과 실패하는 사업간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그렇기에 어떤 업종을 봐도 승하는 회사가 있고, 망하는 회사가 있지 않겠는가. 그러나 기업의 흥망성쇠의 핵심 요인이 반드시 아이템문제는 아닌 것 같다. 왜냐하면 정말 죽어가는 시장에 뛰어들어 고군분투하지 않는 한 어떤 시장에서도 승자는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런 사실을 알면서도 항상 잘 되는 사업 아이템을 찾는다. 아마도 자신은 좋은 아이템만 찾으면 망하지 않을 것이라 확신하는 모양이다.

예를 한번 들어보자. 남들이 수익사업은 아니라고 집어 던진 검색엔진사업. 이 곳에서 마이크로소프트에 대적할 수 있는 유일한 기업이라고 평가 받는 구글이 탄생했고, 돈벌이와는 거리가 먼 여행업종에서 여행박사란 회사가 순식간에 제 자리를 잡았다. 그런가 하면 이제 품질경쟁은 끝났다고 사람들이 말하는 노트북시장에 애플이 새로운 노트북, 조금 과장해서 말하면 종이 장 같은 노트북을 들고 나와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다.

사업의 성공은 저자 말대로 어떤 업종을 선택하느냐의 문제보다 경영자 자신이 성공할 수 있는 길로 가느냐가 더 중요한 것 같다.

이 책을 보며 나도 모르게 머리가 끄덕였던 것은, 저자는 세상을 관심 있게 바라만 볼 수 있다면 그 곳에서 너무나도 값진 여러 가지 교훈을 배울 수 있다고 한 말이다. 하루하루 달라지는 매장 디스플레이에서 사람들의 반응을 찾아 낼 수 있고, 줄이 길게 늘어선 가게를 유심히 바라보면 사람들이 줄을 선 이유를 알 수가 있다는 것이다. 이런 것은 그 업체가 돈을 들여 경영연습을 한 것이나 마찬가지이니, 자신은 돈 한푼 쓰기 않고 다른 사람의 돈을 통해 공짜로 배우는 것과 진배없지 않냐고 한다.

이 말을 봤을 때 나는 정말 그래 라고 소리지를 뻔했다. 한발자국만 집 밖으로 나가면 널려 있는 것이 매장이고 가게다. 그리고 그 곳에서 많은 기업들이 사업을 꾸려가기 위해 여러 가지 생각을 해 보고 이것 저것을 실행한다. 물론 자신의 돈을 써 가면서 말이다.

단지 우리는 그것을 바라보며 나는 그것들을 통해 어떤 느낌을 받는지, 왜 그런 느낌을 받았는지, 그런 느낌 중에서 우리를 구매로 이끈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가만히 생각해 보면 된다. 그리고 그것들을 모아 나에게 적합한 모양으로 조금 변화시키면 된다. 고맙게도 남들이 돈 들여 시장 테스트한 결과를 우리는 그저 잠깐의 관심만으로 얻을 수 있다.

하루에도 수십 군데의 매장을 지나가며 무엇인가 느꼈을 텐데, 그것들을 한번도 깊이 생각해 보지 않았던 내 자신이 조금 부끄러웠다.

저자의 말 중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이 있는데, 그것은 영업에 대한 것이다. 그는 영업사원을 무작정 밖으로 몰지 말라고 한다. 경영자들은 회사에 안아 있는 것보다 밖에서 뛰어 다니며 고객을 찾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자신의 가망고객이 누구인지, 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도 알지 못한 상태에서 고객을 찾아 다니는 것만큼 무지한 것도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고객이 상품을 구입하는 시기는 그가 그 상품을 필요로 하는 시기이지, 영업사원의 설득 때문은 아니기 때문이다. 도리어 가만히 앉아 그들이 원하는 자료를 제공하고, 그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고객 스스로가 무엇인가를 요청하도록 만드는 게 더 좋은 것 아니냐고 반문한다. 허망한 고객 20명을 만나러 밖으로 도는 것보다, 가능한 고객 2~3명을 찾아내 그들에게 집중하는 것이 이득이기 때문이다. 밖으로 돌아다니는 것, 그것도 돈 드는 일이다.

저자는 영업을 전문으로 하기에 내용이 무척 간결하고 실용적이다. 하지만 짧은 말 속에 뼈가 들어 있어 저자가 그 말을 왜 했는지 깊이 생각해 보고, 그것을 자신의 사업에 대입하면 무척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