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왈츠 - 세대를 초월한 두 친구, 문학의 숲에서 인생을 만나다
황광수.정여울 지음 / CRETA(크레타)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죽음이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것임을 알게 되면 언젠가 자신이 고아가 될 운명임을 깨닫고 육신의 부모뿐만 아니라 정신의 양부모가 필요함을 벼락맞은 듯이 알게 된다. 이후 양부모를 찾아 타인을 만나고 만나는 여정이 인생의 큰 조각인데, 그 양부모는 더러는 친구고, 더러는 연인이고, 더러는 선생이며, 때로는 단 한 번의 물리적 접촉도 없고 시대도 공유하지 않는 문학 속의 누군가, 아예 실존하지도 않았던 영화 속 누군가이기도 하다. 그들과는 정신으로 맺어진 관계이므로 ‘죽음이 우리를 갈라놓을 때까지’라는 말보다 영원을 소망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 이 책에 그 영원의 관계를 찾은 아주 행복한 사람들이 있다.
ㅤㅤㅤㅤㅤㅤㅤㅤ
베스트셀러 작가임에도 정여울 작가의 책은 『끝까지 쓰는 용기』 이전에는 제대로 읽어본 적이 없었다. 이전 저작에 대한 배경지식이 전무함에도 그 책에서 큰 기쁨과 울림을 받았고, 그래서 자연히 그녀가 애정을 숨기지 않는, 그녀가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황광수 평론가에 대한 호기심이 생겼다.
ㅤㅤㅤㅤㅤㅤㅤㅤ
하지만 몇 장 읽기도 전에 호기심 같은 가벼운 마음으로 읽을 일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분의 영면하심으로부터 오는 무거움 때문만은 아니다. 서로를 온전히 이해하고 인정하며 쌓아온 신뢰와 행복의 시간을 독자로서 공유할 수 있는 기쁨과 슬픔을 좀 더 진지하게 느끼고 싶었다.
ㅤㅤㅤㅤㅤㅤㅤㅤ
프롤로그를 지나 두 사람의 서신 교환으로 책은 시작한다. 한 글자도 더할 것도 버릴 것도 없는 것은 시인의 글이 아닌 평론가의 글이라는 생각을 한다. 자신의 세계를 자신의 단어를 사용해 감동을 주는 것이 시인의 글이라면, 평론가의 글은 애정하는 것을 세상이 아는 단어로 설명한다. 오해도 과장도 피하기 위해 단어 하나하나를 벼리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서신은 그래서 한 편의 시다.
ㅤㅤㅤㅤㅤㅤㅤㅤ
편지를 지나면 인터뷰다. 문학 이야기지만 결국은 문학을 통해 풀어내는 사상과 인생에 관한 이야기다. 문학은 소금물처럼 읽으면 읽을수록 그 갈증이 더욱 심해지는 읽기의 괴로움을 동반하는데, 그렇기 때문에 끝없이 고민할 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는 문학을 왜 읽느냐는 것이다. 여기 두 평론가의 문학의 힘과 책임과 기대를 읽으며 나의 읽기에 대한 짐을 내려놓아 본다. 읽고 싶다는 욕망이 민주주의의 이상과도 깊게 관련된다는 말씀이 얼마나 가슴을 두근거리게 하는지.
ㅤㅤㅤㅤㅤㅤㅤㅤ
이어지는 것은 황광수 선생의 유고 에세이다. 안타까운 마음으로 투병과 삶에 대한 글을 읽다가 낯익은 이름에 놀랐다. 바로 황현산 선생에 대한 글이다. 그분은 내가 배운 적도, 직접 뵌 적도 없으면서 내 멋대로 선생님이라고 혼자 부르는 분인데, 물론 그 근거는 그분이 쓰신 글이다. 어떤 이의 독자였다가 다른 이의 독자가 되어 그 둘을 같은 자리에서 읽는 황홀함, 그러나 그들이 모두 세상을 떠났다는 상실감, 그럼에도 여전히 여기에 아름다운 글이 남아서 언제든 내가 펼쳐볼 수 있다는 충만함이 동시에 느껴졌다. 순간 정여울 작가가 엮은 애도 편지인 이 책이 독자인 나에게도 역시 애도 편지가 된다.
ㅤㅤㅤㅤㅤㅤㅤㅤ
책의 곳곳, 그리고 말미에 실린 이승원 작가의 유럽 여행기에서 세 사람의 여행을 읽으며 지금 프랑스를 여행하고 있는 정여울 작가의 인스타그램이 생각났다. 길모퉁이를 돌 때마다, 기차를 타고 아름답고 작은 것들을 볼 때마다, 여전히 압도적인 무언가를 만날 때마다 얼마나 선생님이 그립고 그 마음을 털어놓고 싶을까. 그럼에도 이별 같은 건 생각하지 않는다 한 그녀이기에, 그 마음까지도 모두 다음 책에 여전히 아름답게 녹아들기를 소망한다. 길모퉁이에 있는, 아름답고 작은 것들을 사랑하는, 여전히 압도되고 싶은 보통의 독자로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