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일곱 살인 아이는, 작년부터 돈을 셈하기 시작했다.
셈이 빠르다기보다는, 돈에 너무 일찍 눈을 뜬 건 아닐까, 걱정하는 마음이 들었다.
할머니가 주로 키우는 아이다 보니, 언제부터인가 아이는 할머니 친구들을 비롯한 동네 어른들을 만날 때마다 한두 푼씩 돈 받는 재미를 쏠쏠 키워가고 있었다. 게다가 문방구에서 파는 고가의 장난감에 눈을 돌리기 시작하면서 아이는, 돈에 대한 관심이 지나쳐 욕심을 부리기 시작했다.
아이는 심지어 이런 말을 했다.
"엄마, 나 돈벼락 맞고 싶어."
그 말은 내게 너무 충격적이었다.
돈에 일찍 눈을 뜬 아이를 위해 몇 가지 방법을 생각해 냈다.
1. 어른들이 준 돈 천 원 이상은 무조건 통장에 저금한다. - 그렇게 통장에 저금한 돈은 나중에 대학 등록금으로 쓴다.
2. 빨래 널기, 빨래 개기, 등의 집안일을 할 때에는 300원, 세차를 도울 시 500원을 받는다.
3. 딱지를 비롯한 장난감을 살 때엔 집안일을 해서 모은 돈을 쓴다.
4. 피아노 같이 비싼 물건을 사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부지런히 돈을 모아야 한다. 그래서 피아노 저금통을 만들어 틈틈이 돈을 그 안에 넣는다.
5. 고가의 장난감은 생일날 양가 할머니, 할아버지에게, 그리고 산타 할아버지에게 부탁한다.
6. 동전이 많아지면 조금씩 "월드비전 빵 저금통"에 돈을 넣는다.
갈수록 규칙이 늘어나는데, 규칙이 많다고 좋은 것은 아니고,
일단, 아이에게
"누가 준 돈은 가짜 돈이고, 자기가 열심히 일해서 번 돈은 진짜 돈이야. 그러니까 누가 준 돈은 금방 없어지고, 열심히 일해서 번 돈은 오래오래 남아 있는 거야."
아이에게 이 말을 세뇌시키고 있던 차에, 이 책을 발견했다.
![](http://image.aladin.co.kr/cover/cover/898071226X_1.jpg)
돈이 열리는 나무에 게걸스럽게 붙어 피폐해지는 인간 군상, 돈이 열리는 나무를 버드나무처럼 그냥 보살펴 주기만 하는 정원의 주인. 가짜 돈을 향해 욕심을 품었을 때 구질구질해지는 어른들의 모습이 이 책에 나와 있다.
아직 일곱 살의 아이가 그 내용을 깊이 이해하기에는 어렵지만,
엄마와의 이야기가 있으면 충분히 깊이를 더해 갈 책이라고 믿는다.
무엇보다도 아래와 같은 좋은 책을 쓴 사라 스튜어트의 글이라 믿음이 간다.
![](http://image.aladin.co.kr/coveretc/book/coveroff/8972596361_1.jpg)
"장난감을 사도 사도 계속 사고 싶어."
"그래, 엄마도 책을 사도 사도 계속 사고 싶어."
"정말? 엄마도 나랑 똑같아?"
자신의 욕심을 죽이려고만 한다면 얼마나 힘들까?
내 안의 욕심을 바로 보는 연습이, 아이도 나도 필요했다.
그래서 나는 아이와 다시 한 번 <<도서관>>을 읽었다.
책을 사도 사도 끝을 보지 못했던 주인공이 마침내 도서관을 만들어 사람들과 책을 나눴다는 그 이야기를.
욕심을 키웠다 잠재웠다 하면,
어느새 우리의 욕심은 누군가와 나눠갖는 마음으로 별할지도 모른다.
세상은 그렇게 요술 같이 움직인다는 것을,
나는 아직도 믿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