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정복한 남자 류비셰프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그라닌 지음, 이상원.조금선 옮김 / 황소자리 / 200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시간을 정복한 남자. 얼마나 멋진 카피인가.
 
처음 서문에서도 작가는 자기가 류비셰프에서
발견한 시간의 비결을 알려주리라 뜸을 들인다.
 
침이 꿀꺽 넘어갔다.
이제야 시간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을까.
 
하지만 비결은 없었다.
아니 있었지만 내가 기대했던 것은 아니었다.
어찌 보면 내가 잘못된 기대를 했던 것 같다.
 
요즘 나오는 시간 관리 책들은
우선순위 매기기와 시간 확보에 대한 얘기가 전부다.
 
이 책은 시각이 다르다.
 
알렉산드로 알렉산드로비치 류비셰프(1890~1972)
1916년(만26살)부터 시작된 자신만의 시간통계를 통해
하루 10시간 잠을 자고 취미생활을 즐기면서도,
죽을 때까지 70권의 학술서적과
총 1만 2,500여 장에 달하는 논문과 연구자료를 남겼다.
 
여기서 비법이라 할만한 것은,
10분까지도 체크하고 기록하고
목표에 맞도록 빈틈없이 사용하여
그냥 버리는 시간이 없도록 하는 것.
그것도 평생동안.
 
류비셰프는 연초에 계획을 세우고
연말에 결산을 하면 1% 오차 밖에 나지 않았다고 한다.
정말 대단하다. 그는 인간이 아니라 기계였던 것이다.
또한 계획을 통해 자기가 하고 싶었던 것들까지 다 해낸다.
 
물론 이러한 일이 안정적으로 가능하기까지는 21년이 걸렸다고 한다.
그가 목표한 것처럼 그는 초인이 되었다.
 
누구나 할 수는 있지만, 아무나 할 수는 없는 일.
 
하지만 여기서부터 책과 내가 좀 멀어진다.
작가의 시각도 비슷하지만,
이건 보통 사람들이 할 수가 없는 일이다.
이걸 다하는 사람은 보통 사람이 아니다.
어느 정도까지만 하는 것도 분명히 도움이 될 것이다.
 
솔직히 말하면,
나는 기술서를 원했는데, 이책은 도덕책이었다.
그것이 불만이었다.
 
시간관리에 대해 속시원히 풀어줄 책은 정녕 없는 것일까?
오늘도 나는 시간에 허덕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의 그림자 1 잊힌 책들의 묘지 4부작
카를로스 루이스 사폰 지음, 정동섭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바람처럼 읽혀지는 소설.
 
더위와 함께 시작된 소설은
바람이 선선해져서야 끝났다.
밖은 어둑하니 해가 뉘엿뉘엿.
 
'바람의 그림자'
문장은 따뜻하고, 글은 풍부하며, 풍경은 아름답다.
등장인물 한사람 한사람이 살아움직이니
더할 나위 없다.
 
한권의 책이 한사람의 인생을 바꾸기도 한다.
 
어린 다니엘은 잃어버린 책들의 묘지에서 책 한권을 얻는다.
그 책의 작가는 '훌리오 카락스'. 비운의 천재작가이다.
하지만 책은 전세계에 몇권 남지 않았다.
다니엘이 가진 책이 그 중의 한권.
그 한권의 책이 그의 인생을 바꾼다.
과연 작가는 어떤 사람이었을까?
다니엘은 모든 사실을 찾아낼 수 있을까?
 
한권의 책이 한사람의 인생을 바꾸기도 한다.
책은 그런 것이다.
한사람의 인생을 바꿀만한 책을 만나기란 쉽지 않다.
 
조선말 기학자 최한기.
한양 시내에서는 그를 '책만 사다 망한 사나이'라 불렀다.
그는 책을 사는 이유를 말했는데.
책값이 아무리 비싸더라도
실제로 내가 가보지 않고도 경험해볼 수 있으니
그 가격에 비하면 언제나 싼것이라고.
 
절대 동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지털 포트리스 1
댄 브라운 지음, 이창식 옮김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앞선 두 작품을 너무나 재미있게 봐서
별 망설임 없이 구입했고
이제야 다 읽었다.
 
속도감은 대단하지만,
알맹이는 거의 없다.
기대가 너무 큰 탓이었나 보다.
 
미국 NSA 내에서 발생한
세계 최고의 컴퓨터 '트랜슬터'도 풀지못하는
전대미문의 암호체계 '디지털 포트리스'를
둘러싼 천재들의 24시간 동안의 전쟁.
 
소재 자체는 아주 흥미로우나,
국내에선 너무 늦게 발간되어서 그런지
시대에 뒤떨어진 느낌이 크다.
 
'다빈치 코드'나 '천사와 악마'의 팬들은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한 경험이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댄 브라운이라는 작가는 작품이 거듭될수록
발전하는 작가임에는 틀림없다.
그의 다음 작품이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식인을 위한 변명
장 폴 사르트르 지음 / 보성출판사 / 2000년 1월
평점 :
품절


 
대학교 때 설날 기차를 타고 상경하면서 깜빡이는 불빛 아래서
이해도 못하면서 폼 잡는다고 읽었던 책.
6시간 정도 걸려서 다 읽고나니 나는 지식인이 되는 것이 힘들다는 결론에 이름.
 
그 이후 가슴에 계속 남아있는 단어.
쁘띠 부르조아. (절반만 부르조아라는 말)
저 말에선 지식인이라는 자부심보다 기회만 엿보는 회색분자라는 느낌이 강렬함.
 
내가 딱 그상태.
돈도 제대로 없으면서 노동자의 편이기 보단 자본가의 논리에 영합.
때때로 자본가도 욕하면서 홀로 고고함을 유지하려고 함.
 
하지만 결국은 아주 불쌍한 쁘띠 부르조아.
어디에도 속할 길 없어 외로운 족속들.
사이비(似而非).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림자 정부 (미래사회편) - 이미 시작된 인간 지배 음모 그림자 정부 시리즈
이리유카바 최 지음 / 해냄 / 2005년 4월
평점 :
절판


그림자 정부 미래사회 편을 읽은지 꽤 시간이 지났다.
기대했던대로 여러가지 신기한 얘기도 많았다.
 
세계 최대의 감청조직 에셜론.
지구 전체를 점령할 수 있는 전자무기.
지속적인 전자파 노출로 인한 뇌파조정.
 
미래사회는 이러한 도구들로 세계정부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얘기다.
 
그 중에 니콜라 테슬라라는 인물이 나오는데, 이 사람 가히 세기급 천재다.
이사람이 뭘 말하는지 간단히 정리해 보자.
지구 자체가 자기 덩어리이기 때문에 이것만 잘 이용하면,
연료고 뭐고 필요없다는 것이다.
이걸로 무한정 전기를 켤 수도 있고, 자동차를 달리게 할 수도 있단다.
그중 가장 주목되는 것이 전자무기로서의 가능성이다.
이 무기만 있으면 지구 어디에 있는 무엇이라도 정확하게 흔적도 없이 없애버릴 수 있다.
이렇게 엄청난 것을 발명해 내었지만, 아쉽게도 그 비밀은 역사 속에 묻혀버리고 만다.
 
작년말 동남아시아에 사상 최대의 쓰나미가 발생했었다.
그 때 여러 기사에서 미국이 고의로 지진을 일으켜 쓰나미가 발생했다는 얘기가 있었다.
무기는 계속해서 발명되고 끊임없이 실험되고 있지만 아는 사람은 몇명 안된다.
이러한 음모가 모두 사실은 아니겠지만 가능성은 다분하다.
그 가능성이 무서운 것이다.
 
- 쓰나미 당시 음모설에 대한 기사들.
 
- 니콜라 테슬라 관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