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누굴 먹는 거야! - 내 아이 생각을 바꾸는 책
오바라 히데오 지음, 시모타니 니스케 그림, 홍주영 옮김 / 함께읽는책 / 2002년 8월
평점 :
품절


  자연생태계의 기본 성질을 파악하고 생태계의 순환을 이해하여 자연스럽게 환경문제를 인식하도록 만든 책이다. 과학 도서가 자칫 재미가 없을 수도 있는데, 이 책은 각 단락마다  먼저 추상적인 그림을 제시한 다음 본문 해설을 하는 독특한 구성으로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자연이 순환되는 것이라는 데에 초점을 맞춰 식물, 동물, 미생물 등의 역할과 순환에서  맡고 있는 일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책의 제목에서 글쓴이의 의도를 나타냄으로써 미리 읽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책의 구성 면에서 그림은 유아적인데 비해 그 상징성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내용이 초등학교 생물의 거의 모든 분야를 다루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그림을 곁들여 내용을 설명하고 있어서, 부모나 교사의 도움을 받는다면 저학년 아이들에게도 유익한 책이다. 그러나 질소, 광합성, 미생물 등의 어려운 단어를 이해하며 읽으려면 5학년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이미 4학년에서 동식물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고 5학년에서는 식물과 동물의 환경이나 미생물에 대해서도 배우게 된다. 교과 과정에 나오는 내용을 읽음으로써 관심도 더 가지게 되고 독서효과도 클 것이라 생각한다.
 내용이 광범위하다 보니 여러 가지 공부할 것이 많지만 다음 세 가지 정도는 알고 넘어가야 하겠다. 첫째, 생물과 무생물 사이에서 미생물의 역할을 이해하여 자연이 순환되는 것임을 안다. 생물의 시체나 배설물을 미생물이 먹어(분해) 질소나 탄소 등 무기물을 만들고 그것을 다시 식물이 이용한다. 미생물이 생물을 무생물로 되돌려 놓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둘째, 생태계 순환에 있어서 식물의 위치와 동물과의 관계를 이해한다. 식물은 물, 이산화탄소, 질소 같은 '무생물'과 햇빛에너지를 사용하여 자기 몸을 만드는데, 이것이 바로 무생물이 생물이 되는 과정이다. 또한 이 식물은 초식 동물이 먹고, 초식동물은 육식 동물에게 먹히는 먹이 사슬로 이어진다. 한편 먹이 피라미드에서는 위로 올라갈수록 개체 수가 줄어들며 맨 위에는 인간이 존재하는 것이다.   
 셋째, 자연과 인간은 공생관계임을 알고, 이를 위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생각해본다. 인간도 순환되고 있는 자연의 일부분임을 알고 인간이 더 이상 자연을 파괴하지 않는 방법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더불어 살아야 하는 자연의 순환을 이해함으로써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주변의 생물을 삶을 영위해 나가는 공동체로 받아들여 자연스럽게 환경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는 내용을 요약하는 그림이 있는데 작가의 의도를 잘 알 수 있는 그림이긴 하지만 비위약한 어린이에게는 거부감을 줄 수 있을 것 같다. 한편 화장에 대해서도 자연의 순환 고리를 끊는 행위로 표현하였는데, 이는 이견이 있을 수 있다. 요즘 우리 나라에서는 화장을 권장하고 있다. 이는 매장할 때에 생기는 무분별한 토지 잠식으로 인한 경관훼손을 막고 국토이용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생각할 때 두 가지 제도의 장단점을 설명해 주어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