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만에 읽는 생명의 역사 - 137억 년간의 생성과 소멸 그 순환의 기록
하랄트 레슈.하랄트 차운 지음, 김하락 옮김 / 21세기북스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137억년간의 생성과 소멸, 그 순환의 대기록이 얇은 책 한권에 담겨있다니, 왠지 쉽게 도전하고픈 마음에 선택했다. 사실, 지구상에 생명이 태어나고 번성해온 역사를 학창시절에 배웠지만, 갈수록 가물거리는 기억과 다른 다양한 책들을 통해 알게된 지식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는지가 더 궁금했다. 책의 제목에서 느끼듯이, 진화론의 대서사시를 보는듯하다. 진화의 역사가 얼마나 오래되었을지, 더불어 우주의 탄생까지도 알수 있는 책이기에 공학도의 한사람으로서 꼭 접해보고 싶은 책이었다.

 

책은 우주의 시작, 태초의 시작이 언제부터일까를 풀어놓으면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전문적인 과학서적같은 느낌은 없지만, 편하게 이야기하듯이 나열했음에도 기본적인 우주물리학의 지식이 없으면 처음부터 막막하게 느낄수도 있을것같다. 간단히는 빅뱅이나 광속, 마이크로복사에 대해서만 이라도 안다면, 저자가 우주의 시작이 137억년전이라는 논리를 이해하게 될것이다. 137억년전.. 사실 어마어마한 숫자임에도 이런사실을 밝혀내는것을 보면, 인간의 지식의 한계는 끝이 없는듯하다. 빅뱅의 이론적 근거를 찾다가, 이런 시간의 역사까지도 알아낼 정도가 되었으니 말이다. 우주의 시작, 빛(빅뱅)이 있고난후 엄청난 속도로 확장되어진 우주, 그 우주의 탄생에 대해 이 책의 거의 절반을 다루고 있다. 오래전 읽었던, 스티븐호킹의 '시간의 역사'라는 책에서 보았던 우주물리에 관한 내용과도 연관되는듯하다.

 

학창시절 배웠던 기억에 의하면, 인류의 조상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서 호모사피엔스로 진화되었다고 하는데, 새로운 용어 '호미니드(사람과)'라고 하는 개념도 등장한다. 태초에 단세포 생물의 등장과, 동물,식물 그리고 수생동물에서 육생동물로의 진화, 그 오래된 시절의 역사를 설명하는 내용이 너무 광대해서 오히려 이부분이 잘 이해하기 어려워보인다. 그러나, 모든 생물의 가장 기본단위가 무엇인지, 탄소가 어떻게 유기질로 발전하는가에 대한 설명을 들어보면 화학적, 생물학적 논리들이 놀라운것도 사실이다. 정말 오래고 오랜 시간이 지나면 일어날 수 있는 일일까? 의구심도 많이 생긴다. 그럴수밖에 없는 것이 진화의 역사라고 하는 것이 확실한 증거가 없고, 화석도 극히 일부분만 존재하기때문에 어쩌면 모든 내용들이 상상의 날개를 통한 가설이지 않을까 싶다.  우주속에서 지구라는 곳에 생명체가 살고 있을 확률이 어마어마하게 작은데, 그것 자체가 기적인데, 얼마나 무수한 우연과 특수한 상황이 일치해야만 일어날 수 있는 우주의 창조역사. 생명의 존재확률을 따져보고, 우주의 크기를 논하다보면, 외계인의 존재가능성에 대해서까지 생각해보게 되는데, 지금까지의 이론상 우주의 생명체가 없을리가 없다. 아인쉬타인이  '상상은 지식보다 중요하다. 지식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라고 한 말이 어쩌면, 생명의 탄생, 우주의 탄생을 추정해가는 가장 큰 밑바탕에는 인간의 무한한 상상력의 도움이 크지 않았을까 싶다. 책 한권으로 우주의 시작 및 생명의 시작과 발전을 볼 수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 교양으로서의 과학책이라 할만하다. 이제 더 깊은 지식과 상상이 채워질때 우리가 알지못하는 세계도 열어보게 될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