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 년의 침묵 - 제3회 대한민국 뉴웨이브 문학상 수상작
이선영 지음 / 김영사 / 2010년 1월
평점 :
고대 그리스를 배경으로 쓰여진 소설이라는 게 먼저 눈길이 갔다.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멋진 소설을 썼던 크리스티앙자크처럼 또 한명의 유명소설가인가 싶었는데, 처음 듣는 작가인지라 조금은 망설였다. 그러면서도 1억원고료의 뉴웨이브문학상수상작이라는 사실이 저절로 마음과 손이 다가갔다.
읽어갈수록 정말 스케일이 장난아니구나, 어떻게 고대 그리스를 배경으로 이렇게 멋진 추리소설을 생각하게 되었을까, 이정도면 어디 내놔도 절대 밀리지 않을만큼의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번 읽기 시작하자 손을 떼지 못할정도로 흡입력이 있다. 작가는 이 소설을 쓰기 위해 얼마만큼의 시간과 노력을 투자했을까? 소설의 중심부에 서있는 피타고라스에 대해서도 많이 연구했겠다는 생각이든다. 피타고라스, 직각삼각형의 공식으로 알려진 인물. 그러나, 사실 직각삼각형의 공식은 피타고라스혼자만의 정리가 아니라는 학설을 바탕으로 이 소설이 쓰여진듯하다.
어느날 발견된 피타고라스 문하생이던 형의 시체, 그 형의 죽음을 파헤치기위해 피타코라스 문하생으로 잡입해들어가는 아리스톤, 그리고 만나게 되는 형의 동문친구 히파소스, 그리고 그리스의 귀족과 하층계층의 사람들. 고위 귀족계층과 학파사람들간의 권력다툼, 그 사이에 끼어 핍박받는 하층민중들. 절묘한 상황의 버무림속에 엄청난 비밀에 다가가는 아리스톤의 이야기가 흥미진진하다.
수에 대한 지식이 권력으로까지 이어지는 현자, 피타고라스의 끝없는 탐욕. 제자의 업적까지도 빼앗으려했던 욕심이 엇갈리는 여러가지 운명과 얽히고 섥혀서 만들어지는 정말 가슴 탁 뜨이는 멋진 소설이다. 그동안의 한국소설에서는 보지 못했던 스토리의 배경이 흥미롭기도 했지만, 이야기에 몰입해가는 저자의 솜씨도 탁월하다. 어쩌면 수학적 지식이 어느정도 있어야만 한다는 점에서 많은이의 취향과는 엇갈리기도 하겠지만, 우리나라에 이정도의 소설은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면서 한국 작가들의 위상도 날로 커지겠다는 기대감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