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을불과 아들 사유
병사가 훈련중에 졸다가 쏜 화살에 맞은 왕 을불. 미천왕이다.
대신들은 소년 병사의 불찰을 엄중히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을불은 용서했다. 백성을 향한 왕의 마음이었다. 하지만, 을불은 그 사고 이후로 병세가 깊어지고 체력도 저하된다.
최후의 전쟁에서, 노쇠한 기력 탓에 전장에서 얼굴조차 내밀지 못한 을불이지만, 그는 마지막 온 힘을 다해 전쟁터에 얼굴을 비춘다. 군사들은 이제껏 왕의 부재가 왕의 죽음이 아닌가 하는 흉흉한 소문이 정말 소문에 불과했음을 알고 사기가 한껏 충전된다. 전쟁엔 이겼으나, 두 아들 사유와 무의 부축으로 겨우 고구려 기를 들고 있었던 을불, 그의 마지막 모습, 미천왕의 최후였다.
아버지 사유와 아들 구부
40년 집정기간 동안 ‘백성을 향한 일편단심‘으로 백성에게 무기를 쥐게 하지 않고 평화롭게 쟁기과 농기구를 들게 해주어야 한다는 원칙이 대신들, 충신들을 다 떠나가게 하고 모용황에게 태후를 두번씩이나 볼모로 잡히게 한다. 두번째는 왕후까지, 5만여 백성들까지 포로로 끌려갔다. 그는 무력으로, 전략으로, 아영태후의 지략으로 모용황 선비족을 궤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오히려 풀어주었다. 충신들, 태후와 왕후, 동생 무까지 그를 이해할 수 없었다. 그러나, 아들 구부만이 아버지의 통치원리를 이해했다.
전쟁은 뺨을 때리는 거와 같다. 뺨을 먼저 때리고 전쟁을 멈추기를 원하지만, 아버지 사유는 자신의 뺨, 고구려가 먼저 뺨을 맞고 멈추기를 원했던 것이다. 그로 인해, 태후도, 왕후도 그에게서 멀어져갔고, 그는 평생 외로움과 싸워야 했다.
백제가 말 길들이는 백제인(포로)을 돌려달라는 명분으로 전쟁을 걸어왔다. 사유는 그는 이미 단호했다. 고구려로 귀화한 포로는 돌려보낼 수 가 없다. 그는 이미 고구려백성이기 때문이다. 도망쳐온 백제군 백성은 돌아가면 목숨을 부지할 수 없기도 했다. 사유는 단 한 사람의 고구려백성의 안전을 위해 나라의 위기를 자초한다.
그가 모르는 사이, 백제군 포로 가족을 백제군 부여고에게 보냈다는 소식을 듣자, 사유는 갑자기 전쟁을 선포한다. 모든 주변인들이 놀라했다. 고구려군이 을불 때와는 달리 전쟁에 익숙치 못한 상황이었다.
다음날 아침, 성문을 여는 군사가 하나 있었다. 누구인가? 그는 바로 고국원왕 사유였다. 평생 처음으로 갑옷을 입고 전쟁터에 나선 왕! 그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갑옷을 입은 셈이다. 그는 화살에 맞아 최후를 맞이한다.
아들 구부는 백제군과의 대치상태에서 이전에 부여고 왕과 약조한 ‘빚‘을 갚으라고 한다. 구부는 어릴 적 방황을 많이했다. 궁을 떠나 방랑하던 시절, 백제왕의 소원이었던 연의 재상 송해를 제거하는 일을 세치혀로 성취했다. 구부는 이 순간 자신의 소원을 이야기한다.
‘말잡이‘포로 가족을 다시 고구려로 보내달라는 것이었다.
그 아버지의 그 아들이었다. 한 사람의 백성이라도 아끼는 마음.
다시 고구려 vs 백제의 대치상황.
부여고왕은 고구려의 군사들의 눈동자가 어제와는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40년 통치기간 동안 적극적으로 전쟁을 치르지 않고 전쟁을 피하며, 때론 굴욕적으로 항복만 해서 나라를 꼴아박게 만든 사유 왕의 처음이자 마지막 전쟁참여는 왕의 최후를 맞았기 때문이다. 백제군은 이 전쟁에선 이겨도 이긴 것이 아니란 판단하에 회군한다. 백제는 이전의 백제가 아니라 상승곡선을 타는 상승세의 백제였다.
이전 백제가 고향이었던 실향민들이 고구려에 흩어져있었다. 이제 다시 고향, 백제의 땅으로 돌아온다면 그들을 관대히 선처해줄 것을 약속한다는 소문을 낸다. 백제군의 회군 길에 길가에 나온 백성들은 백제군을 환영하기는커녕 오히려 그들을 향해 돌을 던진다.
백성들, 그들은 원래 백제민이었으나 지금은 고구려 땅에 뿌릴내렸다. 그들 백성들은 생각한다.
‘그들의 왕은 사유 왕이었다고!‘
진정한 백성의 왕은 바로 사유였다. 고구려 16대 왕 고국원왕이었다.
한 사람, 한 군주의 처절한 외로움과 피말리는 통치는 이해하기 어려운 여정이었고, 독자에게 분노까지도 이글거리게 했다.
하지만, 백성들에게 진정한 왕됨, Kingship을 심어주고 떠났다. 왕이 어떠한 사람인지를 확실하게 방점을 찍어주고 떠났다. 고구려는 그런 왕들이 즐비한 나라였다.
을불이 그러했고, 사유는 또 다른 색깔로 그러했고, 아들 구부와 이련 또한 그런 왕됨을 보여주었다. 그 아버지의 그 아들이었다!
김진명의 ‘고구려‘를 읽은 이후로 역사와 픽션의 경계 때문에 ‘고구려왕조실록‘을 구매했다. 같이 보고 있는데, 요약은 잘 된 듯 한데, 내가 워낙 역사의 문외한이다 보니 잘 모르겠다.
김진명의 소설의 핵은 ‘고구려‘이다. 방대한 만주벌판을 대륙적 기상을 품고 달렸던 고구려의 혼이 우리 민족의 뿌리라고 외치는 소설가이다. 그는 어쩌면 죽기직전까지 <고구려>소설을 쓰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다 이루었다!‘(십자가의 그리스도처럼)하고 마침표를 찍지 않을까? 싶은 작가이다. 내 생각이다. 근데 내가 김진명의 소설을 중독자처럼 읽고 난 후에 내린 결론이다. 난 김진명에게 감사한다. 역사와 픽션을 넘나들어 독자를 너무나 헷갈리게 하지만, 그러나, 그가 가진 민족에 대한 애정의 중심은 너무나 존경한다. 개인적으로 김진명을 통해 나는 한국사를 접근하고 있다.
그런데, 너무 힘들다. 역사전공자가 아니라서 힘든 것도 있지만, 아파서 그렇다. 몸이 아픈게 아니라 마음이 힘들어서 한국사를 읽는다는게 요즈음은 부담이 된다. 진도도 잘 안 나간다. <조선총독부> 이것도 반 쯤 읽고 지지부진이다. 지적 환기가 좀 되고 나면, 다시 돌아갈 수 있을까? 지금은 한국사의 치부로 발을 들여놓을 자신이 없다. 대학원때 그렇게 들었던 친일파 전통이었는데, 더 깊게 들어가보려하니 겁이 난다. 그게 우리의 역사인데.
또 한 가지는, 내가 배운 역사가 정직하지 않은 역사일 수도 있다는 패러다임 충격때문이다. 역사가 이처럼 정직하지 못하게 기술할 수도 있다는 프레임을 가진 이후로 더 그러하다. <고구려는 천자의 제국이었다> 이 책은 평가를 못하겠다. 제대로 읽어보지를 못했다. 다시 역사순례가 이어지면 읽을 듯 싶다.
원래, 아버지의 아들, 부자관계를 중심으로 ‘어버이 날‘ 기념으로 페이퍼를 쓰고자했는데, 늦어버렸다. 소설<고구려>는 미천왕부터 광개토대왕까지 이어지는 김진명의 아이템이다. 왜? 광개토대왕이 고구려대륙의 최고 정점을 찍었던 군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김진명의 소설에서 광개토대왕릉비에 대한 소재가 주구장창 나온다. 지겹더라도 어쩔 수 없다. 그 양반의 마지막 정상은 ‘광개토대왕‘이기 때문이다. 그렇게라도 미치면서 글을 내는 불굴의 에너자이저가 우리나라에 좀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권력을 둘러싸고 자기 배를 불리기에 급급한 좀비들이 천지인 이 땅에 그래도 김진명이란 작가가 있음에 위로받았음 좋겠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와 아들, 부자관계에 대한 좋은 책 하나,
고구려가 아니고 이번엔 <조선>이다. 도서관에서 이 책 발견하고 얼마나 좋아했는지, 감동의 물결이다. <조선의 아버지들>이다. 백승종 교수가 쓴.
여기엔 정약용, 이황, 박세당, 김숙자, 이익, 유계린, 김장생, 김정희, 이순신, 김인후, 이항복과 영조이야기를 다룬다. 아버지로서 자녀들에게 어떻게 대했는지. 특히, 이 황이 자기 아들에게 대한 부분은 우리세대가 본받아야 할 대목인 듯하다. 책 읽으면서 눈물 훔친 적이 얼마나 많은지. <조선의 아버지>는 나중에 리뷰를 적기로.
독서를 하면서 느끼는 것은 독서를 많이 한다고 무조건 좋은 게 아니고, 내 안에 소화되지 않은 지식들이 가득 있다는 것, 아웃풋이 안 된 인풋만 가득한 것은 정말 그것도 문제란 생각이다. 독서법 책들을 읽으면서 뼈저리게 느끼는 것은 어제 오늘 경험하고 이렇게라도 배출을 해야 책을 읽을 수 있을 것 같아 겁나게 적었다. 너무 길다. 아...다들 안 읽고 넘어가려나? ㅎ 그래도 좋다. 배설하고 나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