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레의 밤
로베르토 볼라뇨 지음, 우석균 옮김, 알베르토 모랄레스 아후벨 그림 / 열린책들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8년 올해의 문장

나도 한 번 해보자 싶어 시도해본다. 근데 이거 30개까지 올려야 하는거 아닌가요? 볼라뇨의 글은 빠져들기가 수월치 않다. 끝만 보고 달리고 있다. 마지막에 이 작가가 내게 줄 선물이 무얼지 기대하면서...



(다 읽은 후)




아...또 이 맛은 무언가요? 볼라뇨의 매력이 이런 것인가요?

<작가의 조국은 여럿일 수 있지만, 그 조국에 도달하기 위한 유일한 통행증은 글의 품격>

우아...이런 문장을 쓸 수 있다니 오오....볼라뇨, 좋아하지 않을 수 없는 작가인 듯!


레***님, 감사해요^^

내 생각에는 나름대로 재주가 있었다. 나는 아직도 그렇게 생각한다. 재주, 뭐랄까?, 자기 자신 속으로 숨고, 자기만의 꼬투리에 갇혀 있고, 내면에 파묻히는 재주이다. 다른 이들은 그런 재주를 벗어던지고,
커튼을 걷고, 망각해 버렸다(128p)

<작가의 조국은 여럿일 수 있지만, 그 조국에 도달하기위한 유일한 통행증은 글의 품격>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오직 품격만을 생각하는 창작 행위는 아찔한 낭떠러지 위 계곡 길을 걷는 것처럼 대단히 위험한 일>이라고 말했다. 문학적 순수성과 그 치열함을 지키려면 문단의 우상, 유혹, 관행 등과 위험한 대결을 벌여야 하고, 그러다 보면 생존까지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167p).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8-12-21 15: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헉, 올해의 문장 아직도 진행 중인가요? 끝난 줄 알았는데...

근데 불라뇨가 빠지기 어려운가요?
작가의 책은 아니고 작가에게 헌정하는
여러 작가가 쓴 책을 가지고 있는데 그들은 하나 같이
작가를 찬양하던데...

카알벨루치 2018-12-21 15:30   좋아요 1 | URL
2018년 나만의 문장은 1/10까지 하네요 ^^ㅎㅎ

카알벨루치 2018-12-21 15:39   좋아요 1 | URL
남미문학, 라틴문학 맞나요? 이쪽은 제가 문외한이라서 그럴수도 있어요 정치적 사상적 배경이 전무하니. 곧 끝이 보이니 모든이가 찬양하는 이유를 발견할 수 있겠죠 ㅎ

카알벨루치 2018-12-21 16:22   좋아요 1 | URL
왜 찬양하는지 알겠습니다 와우~

레삭매냐 2018-12-21 19:2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드디어 읽으셨군요 <칠레의 밤>...

8년 전엔가 열린책들에서 볼라뇨 시리즈를
내겠다고 했을 당시의 짜릿함이란 정말 !!!
이루 다 표현하지 못할 정도였답니다.

저희 독서모임에서 제가 하자고 했다가 까
였다고 지난 달에 말했는데 아무도 기억하
지 못하시더군요 ㅇㅇ

계속해서 달려 주시기 바랍니다.

라틴 작가들 정말 매력적입니다. 전 최초의
스페인 작가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카밀로
호세 셀라의 <파스쿠알 두아르테 가족>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카알벨루치 2018-12-21 20:13   좋아요 0 | URL
까였다고 ㅋㅋㅋ진짜 이 책 레삭매냐님만 믿고 달렸습니다 대화랑 지문이랑 띄워쓰기도 안 해주고 젠장...


읽는데 눈은 가는데 생각은 따로 놀기도 하고 대단한 은유와 비유와 상징이 있는 듯해서 재독했다는 레삭매냐님 의도를 알 것 같기도 해요~

마르케스와는 또 다른 매력이 있더군요 햐~참 엉클하신 볼라뇨 엉클이시구만요

암튼 레삭매냐님 아니었다면 볼라뇨를 몰랐을텐데 빌린 책 한달만에 읽었는데 이 책 중고라도 사놓아야하나 고민됩니다 ㅋㅋ감사 감사 또 감사🙏

2018-12-21 21: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2-21 21:5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