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이트 클럽
척 팔라닉 지음, 최필원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검은 바탕의 표지에 한 사내의 주먹이 들어찼다. 사내의 주먹은 보라빛으로 짓물렀다. 표지만으로 작품을 대변하고 독자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그리고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표지에 대한 극찬은 여기서 마무리하고 작품소개로 넘어가 보자. 제목이 어딘가 익숙하다고 여기는 분들이 분명 있을 것이다. 맞다. 이 작품은 데이빗 핀처 감독, 브래드 피트와 에드워드 노튼 주연의 영화 <파이트 클럽>의 원작이다. 쉽사리 뇌리에 잊혀지지 않는 강렬한 영화이니만큼, 영화와 원작의 관계를 쉽게 떠올리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필자는 영상보다는 텍스트에 우위를 두는 활자예찬론자이자, 영화와 소설이 불가분 관계에 놓이는 소설원작 영화에 대해선 원작을 만나기 이전에는 영화를 미루는 룰을 가지고 있어서 아직 영화를 만나보지 못했다. 물론 이 작품 속에서 룰은 중요한 장치다. 영화를 먼저 만나고 원작을 접하신 분은 복잡한 스토리 라인을 따라가는데 지장이 없겠지만 대신 재미가 반감될 것이고, 필자처럼 원작을 처음 접하신 분은 작품 속 장면장면이 어떻게 영상으로 구현되었을까에 주안점을 두고 보시면 즐거운 독서를 만끽하시리라 본다.
필자 역시 처음엔 따라가기 버거운 작가의 문체 덕에 고전을 면치 못했는데, 어느 정도 익숙해지다 보면 영화의 컷 단위로 장면이 전환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작품의 전반적인 색채가 폭력과 반사회를 그리고 있다보니 받아들이는 것도 고욕이었다. 자신의 작품을 거절한 출판사에게 복수할 마음으로 썼다는 이 작품은 내면 깊숙히 자리잡고 또아리를 튼 검은 응어리 그 자체다. 그러나 원래 초고로 구상한 단편인 여섯 번째 장을 통해 '나머지 남자들의 모임'보다는 '파이트 클럽'이 훨씬 낫다는 의견을 끌어냈으니 대단하다.
타일러는 더이상 "자기 개선은 해답이 아닐지도 모른다. 어쩌면 자기 파괴가 해답일 수도" 있다며 파이트 클럽을 만든다. 그리고 "어쩌면 아버지란 우리가 완벽해지기 위해 필요한 존재일지도 몰랐다"며 자신이 그들의 신이자 아버지가 된다. 시대의 젊은이들은 "우리에게는 영혼의 대전이 있어요. 문화에 대항하는 대혁명도 있지요. 대공황은 바로 우리의 삶이에요"라며 내면에 잠재된 폭력성을 자신의 몸 안에서 폭발시킨다. 그러나 필자로썬 메이헴 작전만큼은 절대 긍정할 수 없었다. 이것도 또 하나의 망상일지 모르지만.
작가의 서술상 특징이 가장 집약적으로 나타난 것은 '나'이다. 작가는 그의 발언에 따옴표를 허용하지 않았다. 그로 인해 그는 어딘가 희미한 이미지를 지니게 되었다. 마치 투명인간 같은. 그리고 하이쿠를 즐겨 읊고 종종 자신을 인체의 각종 기관에 비유하는 것도 블랙 유머의 백미를 보여준다. 국내에서는 동명의 영화 때문에 빛을 못보고 사라졌던 <파이트 클럽>이 랜덤을 통해 다시 빛을 보게 되었다. 앞으로 랜덤에서 척 팔라닉의 여러 작품을 만날 수 있다고 하니 이 기회로 그가 재조명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