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바다 건너기
조너선 캐럴 지음, 최내현 옮김 / 북스피어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참 특이한 소설이다. 이 말을 전하기 위해 그렇게나 많은 '시간 여행'을 하고, 그렇게나 많은 '나'를 만나다니. 사실 '시간 여행'이란 소재는 내가 그리 좋아하는 것이 아니다. 먼 훗날, 시간 여행이 가능하리라는 그 가능성은 인정하지만, 역자의 말처럼 너무 복작대서 머리 쓰는 것은 별로 즐기지 않기에. 그리고 열 일곱 살의 나를 만나는 것도 그리 즐겁지만은 않다. 지금 이렇게 사는 것을 보여주며, 그렇게 살지마라 충고해줄 수도 없는 것일진데. 고로, 나는 이 소설을 아무런 선결 지식없이 선택했다.
그 결과를 말하자면, 그리 유쾌할 것도 없었는데 유쾌했고, 결말이 만족스럽진 않지만 잘 읽었다 싶었다. 나조차도 알 수 없는 이런 감상을 설명할 길이 없지만서도 말이다. 그래도 비교적 만족스런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 우선, 내가 '조너선 캐럴'의 이름을 어찌 듣게 되었는지부터 시작한다. 그의 이름을 듣게 된 경위는 그의 데뷔작이자 출세작인 <웃음의 나라The land of laughs> 출간 당시. 그때는 그다지 끌리지 않았기에 관심두고 있지 않았지만, '캐럴'이란 성 때문에 '루이스 캐럴'을 연상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이 작가를 꼭 만나보리라 결심한 것은 <벌집에서 키스하기Kissing the Beehive>덕분이었다. 그런데 어쩌다 보니 <나무바다 건너기The Wooden Sea>를 먼저 만나게 되었다. 그럼, 다음으로 이 작품에 대한 소개에 들어간다. 이 작품은 조너선 캐럴의 '크레인스뷰 3부작' 중 마지막 편에 해당한다고 한다. 시리즈 명인 '크레인스뷰'에 괜히 겁 먹지 마라. 그냥 동네 이름이다. 각각의 시리즈도 주인공이 모두 다르니 안심하라. '크레인스뷰 3부작'의 순서는 <벌집에서 키스하기Kissing the Beehive>, <The Marriage of Sticks(미번역)>, <나무바다 건너기The Wooden Sea>이다.
<벌집에서 키스하기Kissing the Beehive>에서는 <나무바다 건너기The Wooden Sea>의 주인공이자 히어로인 맥케이브가 조연으로 나온다고 한다니 벌써부터 기대된다. 미번역작인 <The Marriage of Sticks>에서는 맥케이브의 아내인 마그다가 주인공이 아닐까하는 예상을 했다(헛소리). 독자들이 <나무바다 건너기The Wooden Sea>란 제목에 대해 의문을 품을 것으로 사료되기 때문에 제목의 출처를 밝힌다. 그 제목은 본문에 나온 "나무로 된 바다를 어떻게 노 저어 가시겠습니까?"란 문장에서 나온 것이다.
당신이라면 이 같은 질문에 어떻게 대답하겠는가? 현실적인 사람이라면 '나무로 된 바다'같은 건 없으니까 걸어서 가겠다는 대답을 할 것이다. 우리의 맥케이브도 그렇게 대답했다. 그런데 동일인인 소년 맥케이브는 자신만만하게 "숟가락으로." 건너겠다고 한다. 이것의 의미를 알겠는가? 우리의 맥케이브는 열 일곱 살의 자기 자신을, 아버지의 말씀에 따라 '내 가슴에 사무친 원숭이'라고 한다. 그러나 곰곰히 생각해보면 '과거의 나'도 바로 나 자신이고, '미래의 나'도 곧 내가 될 나 자신이다. 파울로 코엘료의 <연금술사>덕분에 별로 좋아하지 않게 된 '자아'란 단어를 조너선 캐럴은 '자아들'이라고 명명한다.
"우리의 모든 자아를 살려두는 것보다 중요한 일은 없다는 것.
그들 모두의 말을 경청하고 따라야 한다는 것.
(…중략…)
내 인생을 정말로 이해하려면 그들 모두가 얼마나 필요한지 이제 나는 안다.
나무로 된 바다를 어떻게 건널 것인가? 그들에게 물어보라.
그리고 그들의 서로 다른 대답을 주의깊게 들어보라."
그리고 그가 자신의 수양딸인 폴린에게 해주는 말이 참 가슴에 와닿는다. 우리는 평범함과 안전함을 구분짓지 못하고 '평범함'에 자신의 정체성까지 억누르고 살진 않는지 생각하고 반성하게 한다.
"평범해지지 마, 폴린. 절대로 평범해지려고 하지 마.
왜냐하면 그건 치명적인 병의 증상이거든.
평범해지고 싶은 욕구가 찾아오는 걸 느끼면 해독제를 찾아.
네 삶을 살고 있는지 돌아 봐, 폴린.
평범함이 너인 척 가장하고 살아가지 않도록 해."
그리고 마지막만큼이나 멋진 명대사. 코란에 나오는 말이라는데 본문에서 두 번이나 등장한다.
"모든 것의 마지막을 생각하라.
그러면 그 꿈에서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내가 처음 고른 명대사는 바로 이것이었다. 극 초반에 등장하는 조지 데일럼우드의 대사.
"세상에 두려워해야 할 존재는 둘이다.
신과, 신을 두려워하지 않는 자."
내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주는 말이라고 생각했거든. 맥케이브의 입을 통해서 들여다본 저자는 신을 믿음으로 섬기는 자같은데, 나는 '신'보단 '외계인'의 존재가 더 믿음이 가거든. 그렇다면 '왜 외계인이 우리들 앞에 나타나지 않느냐' 묻는다면 대답할 말도 있어. '인간들도 동물원 우리 밖에서 동물들을 보잖아. 외계인도 다 그런 거야." 이건 '이사카 코타로'의 단편 소설에서 읽은 한 부분ㅋㅋㅋ
이야기가 다른 데로 샜구만.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서. 한 없이 진지한 상황에서 내뱉는 농담에 어이없는 웃음을 터트리며 극의 후반으로 가면, 이제는 농담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부분이 등장한다. 앞에서 한 이야기도 그런 맥락에서 나온 것이고, 이제 내가 언급할 영화를 본 사람이라면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겠다. 화려한 예고편으로 보는 이의 눈을 사로잡더니 그리 유쾌하지 못한 반전으로 실망감을 안겨줬던 영화 <포가튼The Forgotten>을 떠올리게 하니 말이다. 그래도 소설이 영화보단 훨씬 만족스럽다.
다른 작품을 어서 만나야지 하는 기대치를 상승시키는 연결고리로썬 미흡했지만, 다른 작품을 만나기에 주저하게 만드는 작품은 아니었다. 우선은 '유머러스한 문체'와 '가공할 만한 상상력'으로 '색다른 작가'를 만나게 된 데에 대해 기쁘게 생각하고 즐겁게 여긴다. <나무바다 건너기The Wooden Sea>가 판타지였다면, <벌집에서 키스하기Kissing the Beehive>는 좀더 미스터리함을 어필하는 작품이니 빠른 시일 내에 다른 작품도 만나보고 싶은 생각이 든다. 차기작인 <The Marriage of Sticks>도 기대된다.